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孟子 將朝王注+齊宣王也.이러시니 使人來曰 寡人 如就見者也라니이라 不可以風일새 朝將視朝호리니
不識케이다 可使寡人으로 得見乎잇가 對曰 不幸而有疾이라 不能造朝로소이다
明日 出吊於東郭氏注+東郭氏, 大夫. 其家有喪, 故孟子吊之.러시니 公孫丑注+孟子弟子. 曰 昔者 辭以하시고 今日吊 或者不可乎인저
曰 昔者疾 今日愈어니 如之何不吊리오
使人問疾하시고 醫來어늘 孟仲子注+ 對曰 昔者 有王命이어시늘 有采薪之憂注+古者有疾, 自稱曰不能采薪, 謙辭也. 不能造朝러시니
今病小愈어시늘 趨造於朝하더시니 不識케라 能至否乎아하고 使數人으로 要於路曰 請必無歸而造於朝하소서
不得已而之景丑氏하여 宿焉注+景丑氏, 齊大夫.이러시니 景子注+卽景丑氏. 曰 內則父子 外則君臣 人之大倫也
父子 主恩하고 君臣 主敬하니 見王之敬子也 未見所以敬王也케이다
注+孟子言.注+歎辭. 是何言也 齊人 無以仁義與王言者 豈以仁義 爲不美也리오
其心 曰 是何足與言仁義也云爾則不敬 莫大乎是하니 非堯‧舜之道어든 不敢以陳於王前하노니 齊人 莫如我敬王也니라


10-4-가
맹자가 齊 宣王을 뵈려고 했는데,注+‘王’은 齊 宣王이다. 왕이 사람을 보내와서 말하였다. “과인이 찾아가 뵈려고 했는데, 감기가 들었으므로 바람을 쏘일 수 없기 때문에 내일 아침에 조회를 보려고 합니다.
모르겠습니다만 이때 과인이 뵐 수 있을는지요?” 맹자가 대답하였다. “불행히도 병이 들어서 조정에 나아가지 못하겠습니다.”
다음 날 맹자가 東郭氏에게 조문을 가려고 하니,注+‘東郭氏’는 齊나라 대부이다. 그 집안에 초상이 났기 때문에 맹자가 조문을 간 것이다. 公孫丑가注+‘公孫丑’는 맹자의 제자이다. 말하였다. “어제 병을 이유로 거절하시고 오늘 조문을 가시는 것은 아마도 옳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맹자가 말하였다. “어제 앓았던 병이 오늘 나았으니, 어떻게 조문을 가지 않을 수 있겠느냐.”
왕이 사람을 시켜 병세를 묻고 의원을 보내오자, 孟仲子가注+‘孟仲子’는 맹자의 종형제로, 맹자에게 배운 사람이다. 대답하였다. “어제 왕명이 있었으나 采薪之憂가 있어서注+옛날에는 병이 났을 때 병자 스스로 ‘땔나무를 할 수 없다.’고 칭하였으니, 謙辭이다. 조정에 나아가 뵈러 갈 수 없었습니다.
오늘 병이 조금 나으시자 조정으로 급히 가셨습니다. 도착하셨는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는 몇 사람을 보내어 오는 길목에서 기다렸다가 맹자에게 말하게 하였다. “반드시 돌아오지 말고 조정으로 가십시오.”
맹자가 부득이 景丑氏의 집에 가서 유숙하였다.注+‘景丑氏’는 齊나라 대부이다. 景子가注+‘景子’는 바로 景丑氏이다. 말하였다. “안으로는 부자지간이, 밖으로는 군신지간이 인간의 큰 윤리입니다.
부자지간에는 은혜를 위주로 하고 군신지간에는 공경을 위주로 하니, 저는 왕이 선생을 공경하는 것은 보았고, 선생께서 왕을 공경하시는 것은 보지 못하였습니다.”
맹자가 말하였다.注+‘曰’은 맹자가 말한 것이다. “아,注+‘惡’는 감탄사이다. 이게 무슨 말인가. 齊나라 사람 중에 仁義를 실천하는 문제로 왕과 말하는 자가 없는 것은 어찌 인의를 좋지 않다고 여겨서이겠는가.
그 마음속으로 ‘이 사람과 어찌 인의의 실천 문제를 말할 만하겠는가.’라고 생각해서일 것이니, 그렇다면 不敬이 이보다 더 큰 게 없다. 나는 堯‧舜의 道가 아니면 감히 왕 앞에서 아뢰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나라 사람 중에 나만큼 왕을 공경하는 이가 없는 것이다.”


역주
역주1 10-4-가 : 《孟子》 〈公孫丑 下〉 제2장에 보인다. 《孟子集註大全》의 小注에 따르면, 맹자가 이때 賓師의 지위에 있어 녹봉을 받은 적이 없었으므로 제나라 왕이 신하로 대할 처지가 아니었다. 왕이 맹자를 찾아가 만나지는 못할망정 도리어 맹자를 불렀으니 이미 禮에 어긋난 것인데, 병을 핑계 삼아 또 성의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맹자가 왕에게 가지 않은 것이다.
역주2 寒疾 : 趙岐는 惡寒으로 해석하였다. 《孟子注疏 公孫丑 下 趙岐注》
역주3 : 사고본에는 ‘魯’로 되어 있다.
역주4 : 대전본에는 ‘疾’로 되어 있다. 통행본 《孟子》에는 ‘病’으로 되어 있다.
역주5 孟子……者也 : 《孟子疏》에서는, 맹중자가 맹자의 종형제인지는 미상이지만 맹자와 同姓인 점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그러할 것이라고 보았다. 《孟子注疏 公孫丑 下 孫奭疏》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