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3)

대학연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又能伺候上意而爲阿諛하니 恩寵之所以益固也 惟明主之觀人也 不以文華而以德行하며 不以虛譽而以功實하며
不以承迎己意爲善而以規弼己過爲忠하나니 如此則雖百朱异 不能惑矣
原注
夫入則睢盱於前하여 卑伏如鼠하고 出則橫恣於外하여 貪噬如虎하니 姦臣之常態也
故朱异 旣以阿諛 得幸於上이요 則以威福으로 取賂於下矣어늘
人主 不察하여 但見柔而可喜하니 又豈知其情態之眞也哉리잇고


原注
18-17-나()
[신안臣按] 이것은 양사梁史를 쓴 사관이 주이朱异를 설명한 말입니다. 문재文才가 있고 명민했으니 군주가 기뻐했을 것이요, 세상의 명예를 다방면으로 추구했으니 사람들의 의론이 기뻐했을 것입니다.
게다가 또 능히 군주의 뜻을 잘 살펴 비위를 맞추고 아첨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은총이 더욱 굳건하게 된 이유입니다. 오직 현명한 군주만이 인재를 살필 때 그 사람의 재주를 보지 않고 덕행을 보며, 그 사람의 허명虛名을 보지 않고 실적實績을 보며,
자신의 뜻에 영합하는 것을 훌륭하게 여기지 않고 자신의 허물을 바로잡아주는 것을 충성으로 여깁니다. 이와 같이 한다면 비록 백 명의 주이가 있다 한들 미혹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原注
무릇 조정에 들어가면 군주 앞에서 우러러보아 생쥐처럼 납작 엎드리고, 조정에서 나오면 밖에서 제멋대로 행동하여 범처럼 탐욕스러우니, 이것이 간신의 본모습입니다.
이 때문에 주이朱异가 이미 비위를 맞추고 아첨하는 것으로 군주에게 총애를 얻고 나서는 상과 벌을 주는 권한을 가지고 아랫사람들에게 뇌물을 취했던 것입니다.
그런데도 군주가 이를 살피지 못하고 단지 그 유순하여 기뻐할 만한 점만을 보았으니, 또 어떻게 그 참된 정상情狀을 알았겠습니까.


역주
역주1 梁史……阿諛 : ‘文華敏給’, ‘曲營世譽’, ‘伺候人主意’ 등의 어구가 《南史》 卷62 〈朱异列傳〉에도 보인다. 다만 ‘文華敏給’의 ‘給’이 《南史》에는 ‘洽’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