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1)

대학연의(1)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6-29-나(按)
按 子之身 出於父母하여 本一體而分焉하니 猶枝之出於幹也
傷其枝則傷其幹矣 持身之不敬이면 寧不傷其親乎
故曾子 戰戰兢兢하여 以終其身하시니 蓋敬奉遺體하여 不敢以少慢也
凡爲人子者 皆所當然而人主之身 爲尤重하시니
祖宗之基業 於我乎託也之神靈 於我是依也 然則一言動一擧措 其可忽乎잇가
曾子臨淵履氷之言 執玉奉盈之喩 宜深體之니이다


原注
6-29-나(按)
【臣按】 자식의 몸은 부모에게서 나온 것이기에 본래는 한 몸인데 나누어진 것이니, 이는 나뭇가지가 줄기에서 나온 것과 같습니다.
나뭇가지가 상하면 줄기가 상하는 것이니, 몸가짐을 조심하지 않으면 어찌 그 부모를 상하게 하지 않겠습니까.
이 때문에 曾子가 전전긍긍하면서 일생을 마쳤던 것이니, 부모가 물려주신 몸을 공경히 받들어 감히 조금도 함부로 해서는 안 됩니다.
자식 된 자들은 모두 당연히 그렇게 해야 하지만 그중에서도 임금의 몸은 더욱 귀중합니다.
祖宗의 基業이 자신에게 맡겨져 있으며 宗廟의 신령이 자신에게 의지해 있으니, 그렇다면 하나의 언동이나 행동거지를 어찌 소홀히 할 수 있겠습니까.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하고 살얼음을 밟듯이 하라는 증자의 말씀과, 옥을 손에 받들 듯이 하고 물이 가득 찬 그릇을 받들고 가는 것처럼 해야 한다는 《禮記》의 비유를 깊이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역주
역주1 : 저본에는 ‘袥’으로 되어 있으나, 대전본‧사고본에 근거하여 바로잡았다.
역주2 禮記 : 저본에는 ‘記禮’로 되어 있으나, 6-29-가에 근거하여 바로잡았다.

대학연의(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