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程子 曰 顔子 問克己復禮之目이어늘 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聽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라하시니
四者 身之用也 由乎中而應乎外하나니 制於外 所以養其中也
顔淵 事斯語하니 所以進於聖人이라 宜服膺而勿失也니라 因箴以自警하노라
原注
曰 心兮本虛하니 應物無迹이라 操之有要하니 視爲之則이라
蔽交於前하면 其中則遷하나니 制之於하여 以安其하라 克己復禮하면 久而誠矣리라
原注
曰 人有秉彝 本乎天性호대 知誘物化하여 遂亡其正하나니 卓彼先覺 知止有定이라 閑邪存誠하여 非禮勿聽이니라
原注
曰 人心之動 因言以宣하나니 發禁躁妄이라야 內斯靜專이니라 矧是樞機 興戎出好하나니
吉凶榮辱 惟其所召니라 傷易則誕이요 傷煩則支하며 己肆物忤하고 出悖來違하나니 非法不道하여 欽哉訓辭어다
原注
曰 哲人 知幾하여 誠之於思하고 志士 勵行이라 守之於爲하나니
順理則裕하고 從欲惟危니라 造次克念하여 戰兢自持하라 習與性成하면 聖賢同歸리라
原注
章問答 乃傳授心法切要之言이니 非至明이면 無以察其幾 非至健이면 無以致其決이니
故惟顔子 得聞之而凡學者 亦不可以不勉也 程子之箴 發明親切하니 學者 尤宜深玩이니라


原注
11-3-나6(程)
程子가 말하였다. “顔子가 사욕을 극복하여 예에 돌아가는 조목을 묻자, 공자가 ‘예에 맞는 것이 아니면 보지 말며, 예에 맞는 것이 아니면 듣지 말며, 예에 맞는 것이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에 맞는 것이 아니면 動하지 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보는 것[視]‧듣는 것[聽]‧말하는 것[言]‧동하는 것[動] 이 네 가지는 몸의 작용이니, 안에서 말미암아 밖에 응하는 것이다. 밖에서 제어하는 것은 그 안을 기르기 위한 것이다.
顔淵이 이 말씀을 받들어 힘썼으니, 때문에 성인의 경지에 나아간 것이다. 聖人을 배우는 자들은 이를 가슴속에 새기고 잃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를 계기로 잠을 지어서 스스로 경계하노라.
原注
視箴은 다음과 같다. ‘마음은 본래 虛靈하니 외물에 응하는 것에 자취가 없다. 마음을 잡는 데는 요령이 있으니, 보는 것이 그 법이 된다.
물욕이 앞에서 가리게 되면 그 마음은 그리로 옮겨가게 되는 법이니, 밖에서 이를 제재하여 그 안을 안정시키도록 하라. 사욕을 극복하여 예에 돌아가면 오래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되리라.’
原注
聽箴은 다음과 같다. ‘사람이 秉彝의 良心이 있는 것은 天性에 근본을 둔 것이지만 물욕의 知覺이 외물에 유혹되고 동화되어 마침내 그 올바른 천성을 잃게 된다. 탁월한 저 선각자들은 그칠 바를 알아 定함이 있었으니, 邪를 막고 誠을 보존해서 예가 아니면 듣지 않았다.’
原注
言箴은 다음과 같다. ‘人心이 動하는 것은 말을 통해 표현된다. 말을 꺼낼 때에 경망스럽고 허탄한 말을 하지 말아야 안이 이에 고요하고 專一해지는 것이다. 하물며 이 말은 몸의 樞機인지라,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고 우호를 내기도 한다.
吉凶과 榮辱은 오직 그 입이 불러온다. 지나치게 쉽게 하면 虛誕해지고, 지나치게 많이 하면 支離해지며, 내가 말을 함부로 하면 남도 거스르는 말을 하고 나가는 말이 도리에 어그러지면 오는 말도 어그러지는 법이다. 법이 아니면 말하지 말아서, 성인의 가르침을 공경할지어다.’
原注
動箴은 다음과 같다. ‘哲人은 기미를 알아 생각할 때에 성실히 하고, 志士는 행실을 힘써 행동할 때에 이를 지킨다.
天理를 따르면 여유롭고 인욕을 따르면 위태롭다. 경각에도 능히 유념하여 두려워하고 조심하여 스스로 지키라. 익숙해져 본성처럼 되면 聖賢의 경지에 이르리라.’”
原注
이 章의 문답은 바로 心法을 전하여준 절실하고 긴요한 말씀이니, 지극히 명철한 사람이 아니면 그 기미를 살필 수 없고 지극히 굳건한 사람이 아니면 그 결단을 이룰 수 없다.
그러므로 오직 顔子만이 이를 들을 수 있었으나, 聖人을 배우는 자들 역시 이것을 힘쓰지 않으면 안 된다. 程子의 箴이 설명하기를 절실하게 하였으니 배우는 자들이 더욱 깊이 완색해야 할 것이다.


역주
역주1 11-3-나6(程) : 《伊川文集》 〈四箴〉에 보이며, 아울러 《論語集註》 〈顔淵〉 제1장의 朱熹 註에도 보인다.
역주2 學者 : 사고본에는 ‘後之學聖人者’로 되어 있다. 통행본 《論語集註》도 사고본과 같다.
역주3 : 사고본에는 이 앞에 ‘其’가 있다. 통행본 《論語集註》도 사고본과 같다.
역주4 : 대전본에는 ‘內’로 되어 있다.
역주5 : 대전본에는 ‘外’로 되어 있다.
역주6 : 사고본에는 이 앞에 ‘其’가 있다. 통행본 《論語集註》도 사고본과 같다.
역주7 : 사고본에는 이 앞에 ‘其’가 있다. 통행본 《論語集註》도 사고본과 같다.
역주8 : 사고본에는 이 앞에 ‘其’가 있다. 통행본 《論語集註》도 사고본과 같다.
역주9 : 사고본에는 이 앞에 ‘愚按’이 있다. 통행본 《論語集註》도 사고본과 같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