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洪範注+《周書》篇名, 箕子作也. 惟辟이사 作福注+惟, 獨也. 辟, 君也. 福, 謂慶賞之類.하며 惟辟이사 作威注+威, 謂刑罰之類.하며 惟辟이사 玉食注+玉食, 謂珍貴之食.하나니 臣無有作福‧作威‧玉食이니라
臣之有作福‧作威‧玉食하면 其害于而家하며 凶于而國注+而, 也.하여 人用側頗僻注+人, 謂有位之人. , 皆不平不正之意.하며 民用僭忒注+僭, 謂僭上. 忒, 差也.하리라


9-8-가
《서경》 〈洪範〉에注+‘洪範’은 《書經》 〈周書〉의 편명으로, 箕子가 지은 것이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오로지 임금이라야 포상을 내리며,注+‘惟’는 ‘오로지’라는 뜻이다. ‘辟’은 ‘임금’이라는 뜻이다. ‘福’은 賞과 같은 것을 말한다. 오로지 임금이라야 형벌을 내리며,注+‘威’는 형벌과 같은 것을 말한다. 오로지 임금이라야 진귀한 음식을 받으니,注+‘玉食’은 진귀한 음식을 말한다. 신하는 포상을 내리거나 형벌을 내리거나 진귀한 음식을 받아서는 안 된다.
신하로서 포상을 내리거나 형벌을 내리거나 진귀한 음식을 받으면 네 집안에 해악을 끼치며 네 나라에 재앙을 끼쳐注+‘而’는 ‘너’라는 뜻이다. 벼슬이 있는 사람들은 공평치 않고 부정한 처신을 하게 되고注+‘人’은 지위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 ‘側’‧‘頗’‧‘僻’은 모두 공평치 않고 부정하다는 뜻이다. 일반 백성은 분수에 넘치는 짓을 하여 잘못을 할 것이다.”注+‘僭’은 윗사람에게 분수에 넘는 짓을 한다는 말이다. ‘忒’은 ‘잘못을 하다’라는 뜻이다.


역주
역주1 9-8-가 : 《서경》 〈洪範〉에 보인다. 洪範九疇 가운데 여섯 번째인 ‘三德’(正直‧剛克‧柔克)을 설명하는 부분에 있는 말이다.
역주2 : 대전본에는 ‘洪’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3 側‧頗‧僻 : 蔡沈은 이 세 가지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側’은 바르지 않다는 뜻이며, ‘頗’는 균평하지 않다는 뜻이며, ‘僻’은 공정하지 않다는 뜻이다. 《書集傳 洪範》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