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1)

대학연의(1)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3-8-나(按)
之文 凡百篇이라
皆人主之軌範也어늘 武帝 初以爲樸學이라하사 弗好하시니 旣失之矣
及聞寬說 可觀이라하사대 又止從問一篇하시니 則是其弗好 如故也
然聖經之蘊 無窮이라 隨其所入하여 皆必有獲이니 百篇之書 無所不備
使帝於其一篇 果嘗深玩而服膺焉이면 修己治人 亦有餘用이어늘
而帝之行事 未見有一與書合者하니 是亦徒問而已
果何益哉리잇고


原注
3-8-나(按)
【臣按】 典‧謨‧訓‧誥‧誓‧命의 글로 이루어진 《尙書》는 모두 백 편입니다.
모두 임금의 규범인데도 武帝가 처음에는 樸學이라고 여겨 좋아하지 않았으니, 이미 잘못한 것입니다.
倪寬의 말을 듣게 되어서는 읽어볼 만하다고 하였으나 또 그에게 단지 1편을 물어보는 것에 그쳤으니, 이는 그 좋아하지 않는 마음이 여전한 것입니다.
그러나 聖王의 경전에 담긴 깊은 뜻은 무궁하여 읽어 들어가는 부분에 따라 모두 반드시 얻는 것이 있으니, 《상서》 백 편은 갖추고 있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만일 무제가 그 1편의 글에 대해 과연 깊이 玩索하고 가슴에 새겼다면 자신을 수양하고 남을 다스리는 것이 또한 쓰고도 남음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무제가 행한 일 중에 어느 한 가지도 《상서》의 뜻과 부합되는 것이 보이지 않으니, 이는 그에게 물어보기만 한 것일 뿐입니다.
과연 무슨 보탬이 되었겠습니까.


역주
역주1 典謨訓誥誓命 : 《尙書》의 〈堯典〉‧〈舜典〉, 〈大禹謨〉‧〈皐陶謨〉, 〈伊訓〉, 〈湯誥〉‧〈大誥〉‧〈康誥〉‧〈酒誥〉‧〈召誥〉‧〈洛誥〉‧〈康王之誥〉, 〈甘誓〉‧〈湯誓〉‧〈泰誓〉‧〈牧誓〉‧〈費誓〉‧〈秦誓〉, 〈說命〉‧〈微子之命〉‧〈蔡仲之命〉‧〈顧命〉‧〈畢命〉‧〈冏命〉‧〈文侯之命〉 등의 편을 이른다. 여기에서는 〈益稷〉‧〈禹貢〉 등의 편들까지 포함한 《상서》 전체를 이른다.

대학연의(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