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4)

대학연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24-3-나(按)
按 漢世佞幸之臣 雖衆이나 然其窮寵極貴 未有如董賢者하니 其所以得此於帝者 柔和便辟하여 善爲媚以自固而已
是時 어늘 丞相 以爲寵賢之應이라하고
亦以爲寵賢之應이라하니 夫人君 親一嬖幸之臣而天爲之示戒 如此하니 可不懼哉
原注
如此 父子 可以終其性命이라하니 二臣之言 惓惓懇懇하여 非獨效忠人主 亦欲保全幸臣이어늘
而帝 溺於寵愛之私하여 排忠言而不聽하고 方且擢賢하여 以至三公하여 鼎覆 曾莫之䘏하니
原帝之意컨대 豈非謂其柔和巧媚 非能爲惡而不知陰忍之資 操權擅事 未有不爲害者
漢業 旣由此大壞하고 而賢 亦不免於誅하니 蓋親便嬖而遠仁賢 其禍 必至此也하나니 人主 其亦懋戒之哉인저


原注
24-3-나()
[신안臣按] 나라 때 아첨하여 총애를 받았던 신하들이 비록 많았지만, 총애와 존귀함을 극도로 누린 것이 동현董賢만 한 사람은 없었으니, 그가 황제에게 이러한 총애와 존귀함을 얻었던 이유는 유순하고 남의 비위를 잘 맞추어 아첨을 잘함으로써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했기 때문일 뿐입니다.
이 당시에 산이 무너지고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정월 초하루에 일식이 발생하자 승상 왕가丞相 王嘉가 이러한 현상을 애제가 동현을 총애한 응험이라 하였고,
흰 무지개가 해를 범하고 내내 흐린 채 비가 내리지 않자 사예교위 포선司隷校尉 鮑宣 또한 이러한 현상을 애제가 동현을 총애한 응험이라 하였습니다. 무릇 임금이 한 사람의 총신寵臣을 가까이하였는데 하늘이 임금을 위하여 경계를 보여준 것이 이와 같으니, 두려워하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
原注
왕가王嘉의 말에 “전대前代의 역사를 깊이 살펴 동현에 대한 총애를 절제하셔서 그의 목숨을 보전하게 해야 합니다.”라고 하였고, 포선鮑宣이 또한 “참으로 동현을 사랑하고자 한다면 그를 위하여 천지에 잘못을 사죄하고 동현에 대한 천하 사람들의 원한을 풀어주어 동현을 파면시키고 내보내 봉국封國으로 가게 해야 하니,
이와 같이 하면 동현 부자가 자신들의 생명을 제대로 끝마칠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두 신하의 말은 정성스럽고 간절하여 임금에게 충성을 다한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총신寵臣도 보전하고자 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애제가 사사로운 총애에 빠져 충언忠言을 물리치고 듣지 않은 데다가 또 동현을 발탁함으로써 그를 삼공三公의 지위에 오르게 하여, 소인을 등용해 나라가 무너질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지 않았습니다.
애제의 생각을 따져보건대, 어찌 유순하고 남의 비위를 잘 맞추어 아첨에 능한 사람이 악을 행하지 못하리라고 여겨서가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음험하고 잔인한 자질을 가진 사람이 권력을 잡고서 나랏일을 제멋대로 할 때 해를 끼치지 않는 경우가 없는 줄 몰랐던 것입니다.
나라의 기업基業이 이미 이로 말미암아 크게 무너졌고 동현 또한 죽음을 면치 못하였으니, 아첨을 잘하는 총신을 가까이하고 어진 이를 멀리하면 그 화가 반드시 이 지경에 이르게 됩니다. 임금이 또한 힘써 경계해야 할 것입니다.


역주
역주1 山崩……之應 : 《資治通鑑》 卷35 〈漢紀27 哀帝 下〉 元壽 원년(기원전 2) 1월 조에 보인다.
역주2 三朝 : 年‧月‧日의 시작인 정월 초하루를 말한다. 《文選六臣注 東京賦 李善注》
역주3 王嘉 : ?~기원전 2. 漢 成帝‧哀帝 때의 대신이다. 자는 公仲으로, 平陵 사람이다. 직언을 잘하여 성제 때 太中大夫가 되었으며, 이후 御史大夫, 丞相 등을 역임하였다. 애제 때 동현이 侯에 봉해지는 것을 반대하다가 하옥되자 음식을 먹지 않다가 피를 토하고 죽었다. 시호는 忠侯이다.
역주4 白虹……之應 : 《資治通鑑》 卷35 〈漢紀27 哀帝 下〉 元壽 원년(기원전 2) 조에 보인다.
역주5 鮑宣 : 생몰년은 자세하지 않다. 漢 哀帝‧平帝 때의 관리이다. 자는 子都로, 渤海 高城 사람이다. 학문을 좋아하고 경전에 밝았으며 직언을 잘했다. 孝廉으로 천거되고 나서 애제 때 西曹掾, 諫大夫 등을 역임하고 벼슬이 司隷校尉에 이르렀다. 후에 御史의 조사에 항거한 죄로 上黨으로 귀양 갔다가, 평제가 즉위한 후 王莽이 반대파를 제거할 때 투옥되자 자살하였다.
역주6 宜深……其命 : 哀帝 元壽 1년(기원전 2) 1월에 일식이 발생하자 애제가 공경대부들에게 詔書를 내려 잘못된 점을 진달하라고 했을 때 王嘉가 올린 封事에 보인다. 《前漢書 卷86 王嘉傳》 《資治通鑑 卷35 漢紀27 哀帝 下 元壽 元年》
역주7 誠欲……性命 : 哀帝 元壽 1년(기원전 2)에 鮑宣이 애제에게 올린 上書에 보인다. 여기서 ‘父子’는 동현과 그의 아비 董恭을 말한다. 《前漢書 卷72 鮑宣傳》 《資治通鑑 卷35 漢紀27 哀帝 下 元壽 元年》
역주8 棟撓鼎覆 : 대들보가 휘고 鼎이 엎어진다는 뜻으로, 《周易》에 보인다. ‘棟撓’는 집이 무너질 정도로 대들보가 휘어지듯이 중임을 감당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주역》 〈大過卦 九三〉 爻辭에 “대들보가 휘어지는 것이니, 흉하다.[棟撓 凶]”라는 내용이 보인다. ‘鼎覆’은 鼎의 다리가 부러져 정 안에 있던 음식물이 쏟아져 무안해지는 것처럼 소인을 등용하여 나라를 그르친다는 뜻으로, 《주역》 〈鼎卦 九四〉 爻辭에 “정에 다리가 부러져 조정에 올릴 음식물을 엎으니 그 낯빛이 붉어지는 것이기에, 흉하다.[鼎折足 覆公餗 其形渥 凶]”라는 내용이 보인다. 《伊川易傳 大過, 鼎》
역주9 : 대전본‧사고본에는 ‘橈’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