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4)

대학연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어시늘 으로 <확인 chi="致仕" key="02" kor="치사" 비고="태그항목 아님">致仕注+士良, 內臣. 自憲宗世用事, 至是.할새 其黨 送歸私第러니
士良 敎以固權寵之術曰 天子 不可令이라 常宜以奢靡 娛其耳目하여 使日新月盛하여 無暇更及它事然後 可以得志
愼勿使之讀書하며 親近儒하라 彼見前代興亡하고 心知憂懼則吾輩 疎斥矣리라 其黨 拜謝而去하더라


20-15-가
무종武宗이 즉위하였는데, 구사량仇士良좌위상장군左衛上將軍내시감內侍監으로 치사致仕할 때注+구사량仇士良은 환관이다. 헌종憲宗 때부터 권력을 전횡하여 이때 다섯 황제에 이르렀다. 그 당여가 사저私邸로 돌아가는 구사량을 전송하였다.
구사량이 권세와 총애를 공고히 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가르쳤다. “천자를 한가하게 하지 말라. 항상 사치로 그 눈과 귀를 즐겁게 하여 날로 새롭게 하고 달로 성하게 해서 더 이상 다른 일을 돌아볼 겨를이 없도록 한 뒤에 뜻한 바를 달성할 수 있다.
부디 천자로 하여금 책을 읽거나 유신儒臣을 가까이하지 못하도록 하라. 저 천자가 전대前代의 흥망성쇠를 보고 마음에 근심하고 두려워할 줄 알게 되면, 우리 무리는 소원하게 여겨지고 배척을 당하게 될 것이다.” 그 당여가 배사拜謝하고 떠났다.


역주
역주1 20-15-가 : 《資治通鑑》 권247 〈唐紀63 武宗 中〉 會昌 3년(843) 6월 16일 癸酉日 조에 보인다.
역주2 武宗 : 814~846. 재위 840~846. 武則天을 포함하면 당나라 제17대 임금으로 휘는 炎이다. 본명은 瀍(법)이며, 시호는 至道昭肅孝皇帝이다. 제14대 임금 穆宗의 다섯째 아들이자 제16대 임금 文宗의 아우로, 潁王에 봉해졌다. 840년 정월에 문종의 병이 위중해지자 조서를 위조한 환관 仇士良‧魚弘志 등에 의해 皇太弟로 옹립되어, 같은 달 문종이 죽자 즉위하였다. 이듬해에 연호를 會昌으로 바꾸고 李德裕를 등용하여 弊政을 개혁하였다. 재위 기간 동안 안으로는 藩鎭과 불교를 억제하고 밖으로는 回鶻을 격퇴하며 중앙집권을 강화하여 이 기간을 會昌中興이라고 부른다.
역주3 仇士良 : 781~843. 唐나라 때의 환관이다. 順宗 때 환관으로 훗날의 憲宗인 태자를 섬겼다. 헌종이 즉위(805)한 뒤 內給事가 되었으며 이후 조정의 여러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文宗 大和 9년(835)에 甘露之變을 일으켜 李訓‧王涯‧賈餗‧舒元輿 등 네 재상을 죽였는데, 이 변란은 문종이 환관들에게 빼앗긴 황권을 되찾고자 환관의 우두머리인 구사량을 左金吾廳 후원의 석류나무에 甘露의 길조가 있는지 확인하라는 핑계로 이곳에 불러서 죽이려다가 장막이 바람에 날리는 바람에 매복 군사가 발각되어 도리어 환관들에 의해 조정의 중신들과 1천여 명이 연루되어 죽은 사건이다. 구사량은 이를 계기로 더욱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였으며 楚國公에 봉해졌다. 840년에 문종이 죽자 武宗을 옹립하면서 태자였던 陳王 李成美와 문종의 아우였던 安王 李溶, 문종의 후궁인 楊賢妃를 죽였다. 병으로 사직한 뒤 얼마 안 되어 죽었으며 사후에 揚州大都督에 추증되었다.
역주4 左衛上將軍 : ‘左衛’는 당나라 때 宿衛를 담당했던 16衛 중 하나이다. ‘上將軍’은 그 우두머리로 종2품이다.
역주5 內侍監 : 內侍省의 장관으로 종3품이다.
역주6 五朝 : 憲宗(재위 805~820), 穆宗(재위 820~824), 敬宗(재위 824~826), 文宗(재위 826~840), 武宗(재위 840~846)을 이른다.
역주7 : 사고본에는 ‘閒’으로 되어 있다.
역주8 : 대전본에는 ‘生’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