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3)

대학연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19-9-나(按)
按 孟子라하니 明皇 一日 殺三子하니 此何景也
而群臣 乃以幾致刑措하니 在昔 曷嘗有此邪 是直以帝 爲盲聾하여 罔之以非其道也
明皇 誠反而思之하사 吾有子호대 不能自保하여 使臣下 得譖而殺之어늘 彼烏鵲 乃安其巢하니
以天子之子 欲爲烏鵲이라도 不可得也라하시면 則必赫然震怒하여 罪群臣之欺罔者矣언마는
然林甫之輩 敢於爲此者 度帝之聰明 已衰하여 方愛悅諛佞하니 必不能察其欺罔故也어늘
明皇 果喜而賞之하시니 林甫 於是時 必自喜其謀之中而竊笑帝之易欺하여 姦諛蒙蔽 愈無所忌矣
이러니 林甫之於明皇 亦然하니
故爲人君者 必有以保養其聰明하여 使佞邪小人으로 不敢有所侮而動이니 不然이면 未有不爲其所玩者니이다


原注
19-9-나()
[신안臣按] 맹자가 이르기를 “군자는 합당한 방법으로 속일 수는 있지만 합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속이기는 어렵다.”라고 하였습니다. 명황明皇이 하루아침에 세 황자를 죽였으니 이것이 어떤 상황입니까?
그런데도 신하들이 마침내 거의 형벌이 쓰이지 않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경하를 올렸으니 옛날 나라 성왕成王강왕康王의 시대에 어찌 이런 일이 있었겠습니까. 이는 단지 현종을 눈멀고 귀먹은 사람으로 여겨 합당한 방법이 아닌 것으로 임금을 기망한 것일 뿐입니다.
현종玄宗이 진실로 이를 돌이켜 생각해보아 ‘내가 아들을 두었지만 스스로 보호하지 못하여 신하들로 하여금 참소하여 아들을 죽이게 만들었는데 저 오작烏鵲은 도리어 자신의 둥지를 편안하게 틀었다.
이는 세 황자들이 오작烏鵲처럼 되기를 원하여도 될 수 없는 것이다.’라고 여겼다면 반드시 발끈 진노하여 기망한 신하들을 처벌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임보의 무리가 감히 이런 짓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현종의 총명함이 이미 쇠퇴하여 한창 아첨하고 영합하는 것을 좋아하니 반드시 자신들의 속임수를 알아채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종이 과연 기뻐하고 그들에게 상을 주었으니 이임보가 이 당시에 필시 자신의 계책이 적중한 것을 스스로 기뻐하고 내심 현종이 쉽게 속는 것을 비웃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간사하고 아첨하며 진상을 숨기는 데 더욱 거리낌이 없었습니다.
신이 앞서 석현石顯원제元帝를 헤아릴 때 하나라도 맞지 않는 것이 없었다는 것을 논하였는데 이임보가 현종에 대해서도 그러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임금은 반드시 자신의 총명함을 길러서 아첨하고 간사한 소인이 감히 업신여겨 준동할 수 없게 해야 하니, 그렇게 하지 않으면 그에게 놀아나지 않는 자가 되지 않을 자가 없습니다.


역주
역주1 君子……其道 : 《맹자》 〈萬章 上〉 제2장에 보인다.
역주2 成康之世 : 西周의 成王 姬誦과 康王 姬釗(쇠)가 통치한 시대를 이른다. 이 시기에는 文王과 武王의 업적을 계승하여 국력이 강성하고 경제가 번영하고 문화가 창성하고 사회가 안정되고 淮夷 정벌 등 세력 확대가 이루어져 후세에 ‘成康之治’라고도 일컬어졌다. 대내적으로 周公의 ‘以德愼罰’ 기조를 견지하여 “성왕과 강왕의 시대에 천하가 평안하여 4십여 년 동안 형벌의 집행이 없었다.[成康之際 天下安寧 刑措四十餘年不用]”라고 하였다.
역주3 臣前……不中 : 18-7-가 참조.

대학연의(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