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3)

대학연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張九齡 由文學進注+九齡, 當時賢相.하여 守正持重而林甫爲人 特以便佞이라 故得大任하여九齡하여 陰害之하더니
欲進朔方度使實封이어시늘 九齡 謂林甫호대 封賞 待名臣大功하니
邊將 一上最 可遽議注+最, 謂功伐也.리오 要與公固爭하노라 林甫 然許러니
及進見하얀 九齡 極論而林甫 抑默하고 退又漏其言하여늘 仙客 明日 見帝하여 泣且辭한대
滋欲賞仙客이어시늘 九齡 持不可러니 林甫 爲人言호대 天子用人 何不可者리오
帝聞하시고 善林甫不專也러시다 由是 益䟽薄九齡이러시니 俄與耀卿으로 俱罷政事하다


19-8-가
처음에 장구령張九齡문학文學을 통해 벼슬에 나아가注+장구령張九齡은 당시의 현상賢相이다. 공정하고 신중하였고, 이임보李林甫는 사람됨이 특히 아첨하고 영합하는 것으로 처신할 뿐이었다. 그러므로 중임을 얻고서는 매양 장구령을 시기하여 그를 음해하였다.
현종이 삭방절도사 우선객朔方節度使 牛仙客에게 실봉實封을 더해주고자 하였는데, 장구령이 이임보에게 말하였다. “실봉實封을 상으로 주는 것은 큰 공적을 세운 명신名臣에게 주어야 하니
변장邊將이 한 번 상등의 고과를 받은 것에 대하여 어찌 대번에 논의할 수 있겠습니까?注+’는 ‘공훈’을 이른다. 공과 함께 완강히 쟁론하고자 합니다.” 이임보가 응락하였다.
나아가 알현할 때에 미쳐서는 장구령은 극력 쟁론하였으나 이임보는 머리를 숙인 채로 침묵하였고 물러 나와서는 또 장구령의 말을 흘리자, 우선객이 다음날 현종을 알현하여 울면서 사직하였다.
이에 현종이 더욱 우선객에게 상을 주고자 하였는데 장구령이 불가하다는 의견을 견지하였다. 이임보가 다른 사람에게 말하였다. “천자가 인재를 임용하는 것이 어찌 불가할 것이 있겠는가.”
현종이 듣고 이임보가 자기 뜻을 고집하지 않는 것을 가상하게 여겼다. 이로 말미암아 현종이 더욱 장구령을 소원하게 대우하였는데 얼마 안 되어 배요경과 더불어 모두 재상의 직임에서 파면하였다.


역주
역주1 19-8-가 : 《新唐書》 卷223上 〈姦臣列傳 李林甫〉에 보인다.
역주2 : 사고본에는 ‘嫉’로 되어 있다.
역주3 : 대전본에는 ‘卽’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4 牛仙客 : 675~742. 唐 涇州 鶉觚 사람이다. 처음에 현의 小吏가 되었다가 軍功으로 洮州 司馬로 옮겼다. 玄宗 開元 초에 河西節度判官이 되었다. 나중에 蕭嵩의 천거로 太僕少卿에 올랐다가 涼州 別駕가 되었다. 節度留后事에 오르고 얼마 뒤 소숭을 이어 하서절도사가 되었다. 개원 24년(736) 朔方 總督을 대리했다. 상황에 따라 財用을 절약해 창고가 가득 찼다. 工部 尙書‧同中書門下三品을 맡았다. 재상이 되자 제 몸만 잘 지키려는 마음에 일마다 찬성만 했다. 豳國公에 봉해졌고, 시호는 貞簡이다.
역주5 : 대전본에는 없다.

대학연의(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