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1)

대학연의(1)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朱熹
性者 人所稟於以生之理也 渾然至善하여 未嘗有惡하니
人與堯‧舜 初無少異언마는 但衆人 汨於私欲而失之하고 堯舜則無私欲之蔽而能充其性爾
故孟子 與世子言 毎道性善而必稱堯‧舜以實之하시니 欲其知仁義不假外求 聖人 可學而至하여 而不懈於用力也시니라
原注
又曰
時人 不知性之本善而以聖賢으로 爲不可企及이라
故世子 於孟子之言 不能無疑而復來求見하니 蓋恐別有卑近易行之說也
孟子 知之 故告之曰 夫道 一而已矣라하여 以明古今聖愚 本同一性이니 前言 已盡이라 無復它說也니라
原注
又曰
孟子 旣告世子以道無二致하시고 而復引成覸等三言하여 以明之하시니 欲世子 篤信力行이요 不當復求異說也니라
又曰
滕國 雖小 猶足爲治
但恐安於卑近하여 不能自克이면 則不足以去惡而爲善爾
孟子言性 始見於此而詳具於告子之篇이어니와 然黙識而旁通之則篇之中 無非此意
前聖之未發而有功於聖人之門이라하시니 程子之言 信矣로다


原注
5-7-나2(朱)
朱熹가 말하였습니다.
“性은 사람이 하늘에서 부여받아 태어나는 이치이기 때문에 혼연히 지극한 善이어서 일찍이 악이 있지 않았다.
사람들이 堯임금‧舜임금과는 애초에 조금의 차이도 없었는데, 뭇사람들은 사욕에 빠져 본성을 잃고 요임금과 순임금은 사욕에 가려짐이 없어서 그 본성을 확충할 수 있었던 것뿐이다.
그러므로 孟子가 滕나라 세자와 말할 때 매번 본성이 선하다는 것을 말하면서 반드시 요임금과 순임금을 일컬어 실례로 들었으니, 등나라 세자로 하여금 仁義는 밖에서 구할 것이 없고 聖人의 경지는 학문을 하여 이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서 힘을 쓰는 데 게을리하지 않게 하고자 한 것이다.”
原注
또 말하였습니다.
“당시의 사람들이 본성이 본래 선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여 성현의 경지를 미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때문에 滕나라 세자가 孟子의 말에 대해 의혹이 없을 수 없어 다시 와서 만나줄 것을 구하였으니, 이는 별도로 비근하여 행하기 쉬운 방법이 있을까 해서이다.
맹자가 이를 알았기 때문에 ‘道는 하나일 따름입니다.’라고 일러줌으로써 고금의 聖人과 愚人이 본래 동일한 본성을 지녔음을 밝힌 것이니, 앞에서 말을 이미 남김없이 다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 다른 말이 없었던 것이다.”
原注
또 말하였습니다.
“孟子가 이미 세자에게 道는 두 가지 이치가 없음을 일러주고 다시 成覸 등 세 사람의 말을 인용하여 밝혔으니, 세자에게 독실하게 믿고 힘써 행하며 더 이상 다른 설을 구하지 말기를 바란 것이다.”
또 말하였습니다.
“滕나라는 비록 작지만 그래도 충분히 치세를 이룩할 만하였다.
다만 비근한 것에 안주하여 스스로 사욕을 이겨내지 못하면 악을 제거하고 선을 행하는 데 부족할까 염려한 것이다.
맹자가 본성을 말한 것이 처음 여기에서 보이고 〈告子〉편에 자세히 갖추어져 있지만, 이를 묵묵히 알고 두루 통달하면 《맹자》 7편의 글 중에 이 뜻이 아닌 것이 없다.
맹자가 前代의 聖人이 아직 發明하지 못한 것을 확충하여 聖門에 공이 있다고 하였으니, 程子의 말씀이 참으로 옳다.”


역주
역주1 5-7-나2(朱) : 朱熹의 《孟子集註》 〈滕文公 上〉에 보인다.
역주2 : 대전본에는 ‘夫’로 되어 있다.
역주3 : 대전본에는 ‘士’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4 其所……之門 : 《孟子集註》 〈序說〉에 보인다. 程頤는 “孟子가 聖門에 공로가 있음을 이루 말할 수 없다.[孟子有功於聖門 不可勝言]”라고 하면서 맹자가 ‘仁義’와 ‘養氣’를 말한 것을 거론하였으며, 또 맹자의 性善과 養氣에 대한 의논은 “전대의 성인이 미처 발명하지 못한 것이다.[前聖所未發]”라고 하였다.
역주5 : 대전본‧사고본에는 ‘廣’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