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13-8-나(按)
按 此 佛法入中國之始也 是時所得者 緘之蘭臺石室而已
所得之像 繪之淸涼臺‧顯‧節陵而已 楚王英 雖好之하나 然不過‧修祀而已
尋以罪誅하니 不聞福利之報로소이다 其後 靈帝 始立祠於宮中하고
魏‧晉以後 其法 寖盛而五之君
堅之於沙門道安 하고
하니 自是 至于蕭梁하여 其盛 極矣而其源則自永平始하니 非明帝之責이요 而誰哉리잇고


原注
13-8-나(按)
[臣按] 이것은 佛法이 중국에 들어온 시초입니다. 이때에 얻어온 것으로 《佛說四十二章經》은 蘭臺의 石室에 봉함해 두고,
얻어온 불상은 淸涼臺‧顯陵‧節陵에 그려놓았을 뿐이고 楚王 劉英이 비록 좋아하기는 하였지만 潔齋하고 제사를 지낼 뿐이었습니다.
유영은 얼마 뒤 죄를 지어 주살되었으니 福과 이익의 보응을 받았다는 것을 듣지 못하였습니다. 그 후에 靈帝가 처음으로 궁중에 祠堂을 세웠고,
魏‧晉 이후에는 불법이 점차 성해져서 五胡의 군주로, 이를테면 後趙의 石勒이 佛圖澄에게, 前秦의 苻堅이 沙門 道安에게, 姚興이 鳩摩羅什에게 때때로 스승의 예로써 존숭하였고,
元魏의 孝文帝는 현명한 군주로 불렸지만 또한 그 절에 행차하여 修齋하고 설법을 들었으니 이로부터 蕭梁에 이르기까지 불법의 성함이 극에 달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근원은 永平 연간(58~75)으로부터 시작되었으니 明帝의 책임이 아니라면 누구의 책임이겠습니까.


역주
역주1 佛經四十二章 : 《佛說四十二章經》을 말한다. 후한 명제 때 中郞 蔡愔 등을 서역에 파견하여 얻어왔다는 42장의 불경으로, 1권이다. 迦葉摩騰(kāśyapamātaṅga)과 竺法蘭(dharmarakṣa)이 共譯하였다. 중국 역사상 최초로 번역된 불경으로 대장경의 제17번째 책이다. 초기 불교의 기본적인 敎義를 간요하게 설명하되, 沙門의 證果, 善惡의 諸業, 人命無常 등 여러 의리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역주2 潔齋 : 심신을 청정하게 하고 음식의 섭취와 행위를 절제하여 술과 고기, 향신료를 금식하고 淫事를 중단하는 등의 일이다.
역주3 : 사고본에는 ‘季’로 되어 있다.
역주4 石勒……圖澄 : 佛圖澄은 天竺 사람으로 불교의 승려이다. 일찍이 石勒의 정벌을 따라갔다. 그가 한 微言이 매사에 적중하자, 석륵이 깊이 공경하고 중히 여겨 大和尙이라고 불렀다.
역주5 苻堅……道安 : 道安은 晉나라의 승려로 寧康(373~375) 초에 石勒의 난을 피하여 襄陽에 갔다가 檀溪寺를 세웠다. 太元 연간에 苻堅이 양양을 취하여 도안을 얻고 기뻐하며 말하기를, “내가 10만의 군사로 양양을 취해 한 사람 반을 얻었다. 安公(道安)이 한 사람이고 習鑿齒가 그 반이다.”라고 하였다.
역주6 : 저본에는 ‘符’로 되어 있으나 대전본‧사고본에 근거하여 바로잡았다.
역주7 姚興……師禮 : 鳩摩羅什(Kumārajīva)은 天竺人으로, 高僧이다. 後秦의 姚興이 後涼을 멸망시킨 뒤 涼州에서 구마라집을 초빙하여 國師의 예로 대우하였다.
역주8 元魏……聽講 : 孝文帝(467~499, 재위 471~499)는 北魏의 제7대 황제이다. 성은 拓跋, 이름은 宏이며, 묘호는 高祖로, 顯祖 獻文帝의 아들이다. 律令을 개정하고 洛陽으로 천도하여 대대적인 漢化政策을 취하였다. 불교에 심취하여 승려 僧淵‧道登을 스승으로 대우하였다. 僧淵은 속성이 趙氏이며 穎川 사람으로, 北魏의 司空 趙儼의 후손이다. 白塔寺에 머물렀는데 효문제는 太和 19년(495) 백탑사에 직접 행차하기도 하였다. 道登은 僧淵의 제자로, 《涅槃經》과 《法華經》 등에 정통하여 효문제의 존중을 받았다. 修齋는 승려나 도사를 모아 재계하고 음식을 공양하는 종교적 의식이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