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1)

대학연의(1)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孟子
人皆有不忍人之心하니
先王 有不忍人之心하사 斯有不忍人之政시니 以不忍人之心으로 行不忍人之政이면 治天下 可運掌上이니라
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
今人 乍見孺子 將入於井하고 皆有怵惕惻隱之心注+怵惕, 驚動貌. 惻, 傷之切也. 隱, 痛之深也.하나니
非所以交於孺子之父母也注+內, 結也.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注+要, 求也. 非惡其聲而然也注+聲, 名也.니라
由是觀之컨대 無惻隱之心이면 非人也 無羞惡之心이면 非人也注+羞, 恥己之不善也. 惡, 憎人之不善也. 無辭讓之心이면 非人也注+辭, 解使去己也. 讓, 推以與人也. 無是非之心이면 非人也注+是, 知其善而以爲是. 非, 知其而以爲非.
惻隱之心 仁之端也 羞惡之心 義之端也 辭讓之心 禮之端也 是非之心 智之端也
人之有是四端也 猶其有四體也 有是四端而自謂不能者 自賊者也 謂其君不能者 賊其君者也니라
凡有四端於我者 知皆擴而充之矣 若火之始然하며 泉之始達이니 苟能 足以保四海 苟不充之 不足以事父母니라


5-8-가
맹자孟子가 말하였다.
“사람들은 모두 다른 사람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선왕先王이 다른 사람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져서 이에 다른 사람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정사를 행하였으니, 다른 사람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정사를 행하면 천하를 다스리는 것은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운용하는 것처럼 쉬울 것이다.
사람들이 모두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 까닭은 이러하다.
이제 사람들이 어린아이가 우물 속에 들어가려는 것을 불현듯 보고서 모두 깜짝 놀라고 측은히 여기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注+출척怵惕’은 깜짝 놀라는 모양이다. ‘’은 슬픔이 간절한 것이다. ‘’은 애통함이 깊은 것이다..
이는 어린아이의 부모와 교분을 맺고자 해서도 아니고注+’은 ‘맺다’라는 뜻이다. 향당과 붕우에게서 명예를 구하고자 해서도 아니며注+’는 ‘구하다’라는 뜻이다. 어질지 않다는 오명汚名을 싫어해서 그런 것도 아니다.注+’은 ‘오명汚名’이라는 뜻이다.
이로써 보건대 측은히 여기는 마음[惻隱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불선不善을 부끄럽게 여기고 미워하는 마음[羞惡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注+’는 자신의 불선不善을 부끄러워하는 것이다. ‘’는 남의 불선不善을 미워하는 것이다., 사양하고 공경하는 마음[辭讓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注+’는 풀어주어 자신에게서 떠나가게 하는 것이다. ‘’은 미루어서 남에게 주는 것이다., 옳음과 그름을 가리는 마음[是非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注+’는 그 선함을 알아서 옳게 여기는 것이다. ‘’는 그 악함을 알아서 그르게 여기는 것이다..
측은히 여기는 마음은 의 단서이고 불선不善을 부끄럽게 여기고 미워하는 마음은 의 단서이고 사양하고 공경하는 마음은 의 단서이고 옳음과 그름을 가리는 마음은 의 단서이다.
사람이 이 사단四端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람이 사지四肢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으니, 이 사단四端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스스로 인의仁義를 행할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스스로를 해치는 자이며, 자신의 임금은 인의를 행할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자신의 임금을 해치는 자이다.
무릇 나에게 있는 사단四端을 모두 넓혀서 채울 줄 알면, 마치 불이 처음 타오르는 것과 같고 샘물이 처음 솟아나오는 것과 같을 것이니, 능히 이를 채울 수 있다면 충분히 사해를 보전할 수 있으며 이를 채우지 않는다면 부모도 섬길 수 없다.”


역주
역주1 5-8-가 : 《孟子》 〈公孫丑 上〉 제6장에 보인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仁‧義‧禮‧智의 단서인 측은히 여기는 마음[惻隱之心]‧不善을 부끄럽게 여기고 미워하는 마음[羞惡之心]‧사양하고 공경하는 마음[辭讓之心]‧옳음과 그름을 가리는 마음[是非之心]을 가지고 있음을 변론하고, 이를 확충하는 것은 자신에게 달렸음을 말하였다.
역주2 : 대전본에는 없다.
역주3 : 대전본에는 ‘於’로 되어 있다.
역주4 : 사고본에는 ‘納’으로 되어 있다.
역주5 : 사고본에는 ‘克’으로 되어 있다.
역주6 : 대전본에는 ‘非’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