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注
		                       		
		                       		
		                        		
									
                        			
                        			
                        		
	                     		
			                       	
			                       	
	                     		
		                        
                        	
		                        
		                        
		                        
		                        
                        		
                        	
		                        
		                        
		                        
		                        
                        		
                        		
                        		
                        			
                        			
		                       		
		                       			
		                       		
		                       		
		                       		
		                       		
		                        		
			                            	【臣按】 후세의 임금으로서 학문을 좋아한 사람으로는 唐 太宗만한 이가 없었습니다.
			                             
									
                        			
                        			
                        		
	                     		
			                       	
			                       	
	                     		
		                        
                        	
		                        
		                        
		                        
		                        
                        		
                        	
		                        
		                        
		                        
		                        
                        		
                        		
                        		
                        			
                        			
		                       		
		                       			
		                       		
		                       		
		                       		
		                       		
		                        		
			                            	전쟁이 아직 끝나지 않은 때에 이미 경학에 마음을 쏟아 名儒를 초빙하여 學士로 삼아 경학을 講磨하였으니, 이는 三代 이후에 없었던 일입니다.
			                             
									
                        			
                        			
                        		
	                     		
			                       	
			                       	
	                     		
		                        
                        	
		                        
		                        
		                        
		                        
                        		
                        	
		                        
		                        
		                        
		                        
                        		
                        		
                        		
                        			
                        			
		                       		
		                       			
		                       		
		                       		
		                       		
		                       		
		                        		
			                            	즉위한 뒤에는 弘文殿 옆에 弘文館을 설치하여 학사들을 大內로 불러들여 번갈아 숙직하고 쉬게 하면서 조정에서 정무를 보는 틈틈이 함께 고금의 일에 대해 토론하고 성패를 논하느라 때로는 해가 저물거나 한밤중이 되기도 하여 조금도 게을리한 적이 없었으니, 이는 또 삼대 이후에 없었던 일입니다.
			                             
									
                        			
                        			
                        		
	                     		
			                       	
			                       	
	                     		
		                        
                        	
		                        
		                        
		                        
		                        
                        		
                        	
		                        
		                        
		                        
		                        
                        		
                        		
                        		
                        			
                        			
		                       		
		                       			
		                       		
		                       		
		                       		
		                       		
		                        		
			                            	그러므로 陸贄가 이 일을 들어 唐 德宗에게 아뢰기를 “
			                             
									
                        			
                        			
                        		
	                     		
			                       	
			                       	
	                     		
		                        
                        	
		                        
		                        
		                        
		                        
                        		
                        	
		                        
		                        
		                        
		                        
                        		
                        		
                        		
                        			
                        			
		                       		
		                       			
		                       		
		                       		
		                       		
		                       		
		                        		
			                            	논의가 농사의 어려움에 미치게 되면 태종께서는 절약을 힘써 준수하셨고, 논의가 여염의 괴로움에 미치게 되면 태종께서는 조세와 요역을 중단하기를 논의하셨습니다.”라고 하였으니, 
			                             
									
                        			
                        			
                        		
	                     		
			                       	
			                       	
	                     		
		                        
                        	
		                        
		                        
		                        
		                        
                        		
                        	
		                        
		                        
		                        
		                        
                        		
                        		
                        		
                        			
                        			
		                       		
		                       			
		                       		
		                       		
		                       		
		                       		
		                        		
									
                        			
                        			
                        		
	                     		
			                       	
			                       	
	                     		
		                        
                        	
		                        
		                        
		                        
		                        
                        		
                        	
		                        
		                        
		                        
		                        
                        		
                        		
                        		
                        			
                        			
		                       		
		                       			
		                       		
		                       		
		                       		
		                       			
		                        			
		                        				
		                        				 
		                        			
		                       			
		                       			
		                       			
		                       				原注
		                       		
		                       		
		                        		
			                            	우리나라 열성조의 盛世 때에는 명유들을 정선하여 經筵에 둘러서게 하여 邇英閣과 崇政殿에서 스스럼없이 가르침을 청하였으며, 밤에 궐내에서 입직할 때에도 수시로 召對하였습니다.
			                             
									
                        			
                        			
                        		
	                     		
			                       	
			                       	
	                     		
		                        
                        	
		                        
		                        
		                        
		                        
                        		
                        	
		                        
		                        
		                        
		                        
                        		
                        		
                        		
                        			
                        			
		                       		
		                       			
		                       		
		                       		
		                       		
		                       		
		                        		
			                            	聖學을 계승하여 밝히고 聰明叡智를 틔워 넓힌 것이 아마도 貞觀시대와 실로 같았을 것입니다.
			                             
									
                        			
                        			
                        		
	                     		
			                       	
			                       	
	                     		
		                        
                        	
		                        
		                        
		                        
		                        
                        		
                        	
		                        
		                        
		                        
		                        
                        		
                        		
                        		
                        			
                        			
		                       		
		                       			
		                       		
		                       		
		                       		
		                       		
		                        		
			                            	낮에 가르침을 청한 것으로 충분한데, 또 굳이 夜對까지 더했던 것은 무엇 때문이겠습니까?
			                             
									
                        			
                        			
                        		
	                     		
			                       	
			                       	
	                     		
		                        
                        	
		                        
		                        
		                        
		                        
                        		
                        	
		                        
		                        
		                        
		                        
                        		
                        		
                        		
                        			
                        			
		                       		
		                       			
		                       		
		                       		
		                       		
		                       		
		                        		
			                            	임금의 한 마음을 공격하는 것이 매우 많지만, 유독 음란한 음악과 아름다운 여색이 특히 사람을 미혹시키기 쉽기 때문입니다.
			                             
									
                        			
                        			
                        		
	                     		
			                       	
			                       	
	                     		
		                        
                        	
		                        
		                        
		                        
		                        
                        		
                        	
		                        
		                        
		                        
		                        
                        		
                        		
                        		
                        			
                        			
		                       		
		                       			
		                       		
		                       		
		                       		
		                       		
		                        		
			                            	낮에는 便殿에 신하들이 엄숙하게 늘어서서 善言과 正論이 그 앞에 모여드니 마음을 지키는 것이 쉽습니다.
			                             
									
                        			
                        			
                        		
	                     		
			                       	
			                       	
	                     		
		                        
                        	
		                        
		                        
		                        
		                        
                        		
                        	
		                        
		                        
		                        
		                        
                        		
                        		
                        		
                        			
                        			
		                       		
		                       			
		                       		
		                       		
		                       		
		                       		
		                        		
			                            	그러나 밤에는 깊숙한 궁궐에서 황제가 만나는 대상이 환관의 무리가 아니면 후궁과 궁녀의 무리입니다.
			                             
									
                        			
                        			
                        		
	                     		
			                       	
			                       	
	                     		
		                        
                        	
		                        
		                        
		                        
		                        
                        		
                        	
		                        
		                        
		                        
		                        
                        		
                        		
                        		
                        			
                        			
		                       		
		                       			
		                       		
		                       		
		                       		
		                       		
		                        		
			                            	그러므로 화려한 치장이 현란하게 눈을 어지럽히며 기이하고 음란한 기교들이 모두 마음을 방탕하게 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마음을 지키고 기르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것이 夜對의 유익함이 낮에 가르침을 청하는 것보다 더욱 큰 이유일 것입니다.
			                             
									
                        			
                        			
                        		
	                     		
			                       	
			                       	
	                     		
		                        
                        	
		                        
		                        
		                        
		                        
                        		
                        	
		                        
		                        
		                        
		                        
                        		
                        		
                        		
                        			
                        			
		                       		
		                       			
		                       		
		                       		
		                       		
		                       		
		                        		
			                            	聖明한 임금께서 위에 계시니, 만약 역대 聖王의 事業에 뜻을 두신다면 貞觀시대의 규모와 우리 祖宗의 家法을 회복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