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之長注+謂爲者.이니於天子注+擯‧之辭.라하며 天子 同姓으란 謂之伯父 異姓으란 謂之伯舅注+稱之以父與舅, 親親之辭也.라하며
之長 入天子之國曰牧注+每一州之中, 天子選諸侯之賢者, 以爲之牧也.이요 天子 同姓으란 謂之叔父 異姓으란 謂之叔舅라하나니라


9-18-가
五官의 長을 ‘伯’이라 하니,注+‘伯’은 三公이 된 사람을 말한다. 擯이 伯을 천자에게 고할 때에는 ‘천자의 관리’라 한다.注+‘吏’는 擯‧相을 뜻하는 말이다. 그리고 천자는 백이 同姓이면 ‘伯父’, 백이 異姓이면 ‘伯舅’라 부른다.注+‘父’나 ‘舅’로 부르는 것은 친한 이를 친히 하는 말이다.
九州의 장관이 天子國에 입국해 있을 때에는 ‘牧’이라 하고,注+州마다 그 안에서 천자가 제후 가운데 어진 이를 선발하여 牧으로 삼는다. 천자는 목이 동성이면 ‘叔父’, 목이 이성이면 ‘叔舅’라 부른다.


역주
역주1 9-18-가 : 《예기》 〈曲禮 下〉에 보인다.
역주2 五官 : 여기에서는 천자의 五官을 가리키는 것으로, 司徒‧司馬‧司空‧司士‧司寇를 말한다. 《禮記 曲禮 下》
역주3 : 9-9-가 ‘叔兮伯兮’ 참조.
역주4 三公 : 太師‧太傅‧太保이다. 《書經 周官》
역주5 : 정현에 따르면, ‘천자가 빈객을 맞이할 때 접대하는 사람[天子接賓之人]’이다. 《禮記注疏 曲禮 下 鄭玄注》
역주6 天子之吏 : 공영달에 따르면, 擯이 천자에게 말을 전달할 때 二伯을 ‘天子之吏’로 부른다고 하였다. ‘이백’은 천자에게 소속된 老臣 두 사람을 가리키는데, 천하를 양분하여 천자의 좌우에서 보좌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禮記注疏 曲禮 下 孔穎達疏》 《禮記 王制》
역주7 : 정현에 따르면, ‘제왕의 예를 일러주는 사람[詔王禮]’이다. 빈은 나아가서 빈객을 접대하는 사람인데 비해, 상은 들어와서 예를 일러주는 사람인 것이 차이이다. 《周禮注疏 春官 大宗伯 鄭玄注》
역주8 九州 : 천하를 아홉 州로 나눈 것인데, 각 주의 명칭은 기록마다 다르다. 《서경》에 따르면 冀州‧兗州‧靑州‧徐州‧揚州‧荊州‧豫州‧梁州‧雍州, 《周禮》에 따르면 冀州‧兗州‧靑州‧揚州‧荊州‧豫州‧雍州‧幷州‧幽州, 《爾雅》에 따르면 冀州‧兗州‧徐州‧揚州‧荊州‧豫州‧雍州‧幽州‧營州이다. 《書經 禹貢》 《周禮 職方氏》 《爾雅 釋地》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