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1)

대학연의(1)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中庸注+亦禮記篇名. 孔子之孫子思所作. 子思, 名, 曾子之門人也.
凡爲天下國家有九經注+經者, 經緯之經.하니 曰修身也 尊賢也注+尊, 猶敬也. 親親也注+上親字, 謂親睦之也. 下親字, 宗族內外之. 敬大臣也 體群臣也注+體, 體卹之如其身也. 子庶民也注+庶, 衆也, 言以子視其民也. 來百工也注+來, 如招來之來. 柔遠人也注+柔, 謂撫柔之柔. 懷諸侯也注+懷, 猶念也.니라
修身則道立하고 尊賢則不惑하고 親親則諸父昆弟 不怨注+諸父, 謂伯父‧叔父也. 昆, 兄也.하고 敬大臣則不眩注+眩, 惑也.하고 體群臣則士之報禮하고 子庶民則百姓하고 來百工則財用하고 柔遠人則四方 歸之하고 懷諸侯則天下 畏之니라
齊明盛服하여 非禮不動 所以修身也 去讒遠色하며 賤貨而貴德 所以勸賢也 尊其位하며 重其祿하며 同其好惡 所以勸親親也 官盛任使 所以勸大臣也 忠信重祿 所以勸士也 時使薄斂 所以勸百姓也 日省月試하여 旣稟稱事注+旣, 讀曰餼. 所以勸百工也 送往迎來하며 嘉善而矜不能 所以柔遠人也 繼絶世하며 擧廢國하며 治亂持危하며 朝聘以時하며 厚往而薄來 所以懷諸侯也니라
凡爲天下國家 有九經하니 所以行之者 一也니라


1-7-가
중용中庸注+중용中庸’ 역시 《예기禮記》의 편명이다. 공자의 손자 자사子思가 지은 것이다. 자사子思는 이름이 으로, 증자曾子의 문인이다.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무릇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는 데에는 아홉 가지 주요 원칙이 있으니注+’은 경위經緯의 ‘’이다., 자신을 수양하는 것, 현인賢人을 존숭하는 것注+’은 ‘(공경하다)’과 같다., 친족親族을 친히 하는 것注+앞의 ‘’ 자는 친목하는 것을 말하고, 뒤의 ‘’ 자는 종족과 내외의 친척이다., 대신大臣을 공경하는 것, 신하臣下들을 자기 몸처럼 돌보는 것注+’는 살피고 돌보기를 내 몸처럼 하는 것이다., 백성百姓을 자식처럼 사랑하는 것注+’는 ‘많다’라는 뜻이니, 자식처럼 백성을 본다는 말이다., 백공百工을 오게 하는 것注+’는 초래招來(불러오다)의 ‘’와 같다., 먼 지역 사람을 어루만지는 것注+’는 무유撫柔(회유하다)의 ‘’를 말한다., 제후諸侯들을 그리워하게 하는 것이다.注+’는 ‘(생각하다)’과 같다.
자신을 수양하면 도가 확립되고, 현인을 존숭하면 이치에 의혹되지 않고, 친족을 친히 하면 백부伯父숙부叔父와 형제들이 원망하지 않게 되고注+제부諸父’는 백부와 숙부를 말한다. ‘’은 ‘형’이라는 뜻이다., 대신을 공경하면 일에 임하여 현혹되지 않게 되고注+’은 ‘현혹되다’라는 뜻이다., 신하들을 자기 몸처럼 돌보면 선비가 예를 보답함이 중하게 되고, 백성을 자식처럼 사랑하면 백성이 권면하게 되고, 백공百工을 오게 하면 재용이 풍족하게 되고, 먼 지역 사람을 어루만지면 사방이 귀의하게 되고, 제후들을 그리워하게 하면 천하가 경외敬畏하게 될 것이다.
재계齋戒하고 깨끗이 하며 의복을 성대하게 입고서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않는 것은 자신을 수양하는 방법이요, 참소를 물리치고 여색女色을 멀리하며 재화를 천히 여기고 덕을 귀하게 여기는 것은 현인을 권면하는 방법이요, 그 지위를 높여주고 그 녹을 많이 주며 그 호오好惡를 같이하는 것은 친족을 친히 함을 권면하는 방법이요, 관속官屬을 많이 두어 부릴 수 있게 하는 것은 대신을 권면하는 방법이요, 충신忠信으로 대하고 녹을 많이 주는 것은 선비를 권면하는 방법이요, 철에 따라 부리고 조세를 적게 거두는 것은 백성을 권면하는 방법이요, 날마다 살펴보고 달마다 시험하여 녹봉을 일에 걸맞게 하는 것은注+’는 ‘(희)’로 읽는다.백공百工을 권면하는 방법이요, 가는 이를 잘 보내고 오는 이를 잘 맞이하며 잘하는 이를 가상하게 여기고 잘하지 못하는 이를 가엾게 여기는 것은 먼 지역 사람을 어루만지는 방법이요, 끊어진 대를 이어주고 없어진 나라를 일으켜주며, 어지러운 나라를 안정시키고 위태로운 나라를 붙들어주며, 조회朝會빙문聘問을 제때에 하며 주는 것을 후하게 하고 받는 것을 적게 하는 것은 제후들을 그리워하게 하는 방법이다.
무릇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는 데에는 아홉 가지 주요 원칙이 있으니, 그것을 행하는 방법은 하나이다.”


역주
역주1 1-7-가 : 《中庸》 제20장에 보인다. 이 장은 魯 哀公의 물음에 공자가 답하는 말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역주2 : 대전본에는 ‘及’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3 : 대전본‧사고본에는 ‘稱’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