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曰 武王王‧王季‧文王之緖注+纘, 繼也. 大王, 王季之父. 王季, 文王之父.하사 壹戎衣而有天下注+戎衣, 甲冑之屬. 言一戎衣以伐紂, 卽有天下也.하사
尊爲天子시고 富有四海之內하사 宗廟饗之하시며 子孫保之하시니라
武王 末受命注+末, 謂老. 武王有天下時已老矣.이어시늘 하사 追王大王‧王季하시고 上祀先公以天子之禮注+先公, 后稷‧公劉之屬.하시니라
曰 武王‧周公 其達孝矣乎注+達, 通也. 天下之人通言其孝也.신저 夫孝者 善繼人之志하며 善述人之事者也니라
春秋 修其祖廟注+祖宗之廟.하며 陳其宗器注+先世所藏之重器, 若周‧天球之屬.하며 設其裳衣注+先祖之遺衣服, 祭則設之, 以授尸也.하며 薦其時食注+四時之食, 各有其物.하나니라
踐其位하여 行其禮하며 奏其樂하며 敬其所尊하며 愛其所親하며 事死如事生하며 事亡如事存 孝之至也니라


7-6-가
孔子가 말하였다. “武王이 大王과 王季와 文王의 유업을 계승하여注+‘纘’은 ‘잇다’라는 뜻이다. ‘大王’은 王季의 부친이다. ‘王季’는 文王의 부친이다. 한번 戎衣를 입으매 천하를 소유하게 되었다.注+‘戎衣’는 갑옷과 투구의 등속이다. 한번 융의를 입고서 紂王을 정벌하자 곧 천하를 소유하게 되었음을 말한다.
그리하여 존귀하기로는 천자가 되시고 부유하기로는 사해의 안을 소유하셔서, 종묘의 제사를 흠향하시며 자손을 보전하셨다.
무왕이 말년에 천명을 받으시자,注+‘末’은 ‘노년’을 말한다. 무왕이 천하를 소유했을 때는 이미 노년이었다. 주공이 문왕과 무왕의 덕을 이루셔서 태왕과 왕계를 왕으로 추존하시고, 위로 先公을 천자의 예로써 제사 지냈다.”注+‘先公’은 后稷과 公劉 등이다.
孔子가 말하였다. “武王과 周公은 達孝이실 것이다.注+‘達’은 ‘공통’이라는 뜻이다. 천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그의 효를 말하는 것이다. 효라는 것은 부모의 유지를 잘 계승하며, 부모의 사업을 잘 계속해 나가는 것이다.
봄과 가을에 그 祖廟를 정비하며,注+‘祖廟’는 祖宗의 廟이다. 그 종묘의 귀중한 기물을 진열하며,注+‘宗器’는 선대로부터 소장해온 귀중한 기물이니, 이를테면 周나라의 赤刀와 天球 등속이다. 그 선조의 의상을 진설하며,注+‘裳衣’는 선조가 남기신 의복이니, 제사를 지낼 때에는 진설하여 시동에게 준다. 그 철에 나는 음식을 薦新한다.注+사철의 제사에는 각기 그 철에 나는 음식이 있다.
선왕의 지위에 올라서 선왕의 예를 행하며, 선왕의 음악을 연주하며, 선왕이 존경하시던 이를 존경하고, 선왕이 친애하시던 이를 친애하며, 돌아가신 분 섬기는 것을 살아계신 분 섬기는 것과 같이 하며, 돌아가신 분 섬기는 것을 살아계셨을 때 섬기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 효의 지극함이다.”


역주
역주1 7-6-가 : 《中庸》 제18장과 제19장에 보인다. ‘子曰武王纘大王’부터 ‘上祀先公以天子之禮’까지는 제18장, ‘子曰武王周公’ 이하는 제19장에 해당한다.
역주2 : 사고본에는 ‘太’로 되어 있다. 이하 같다.
역주3 : 사고본에는 ‘著’으로 되어 있다.
역주4 周公……之禮 : 周나라 古公亶父를 大王에, 季歷을 王季로 추존한 일은 《中庸》에는 周公의 업적으로 나오지만, 《史記》 卷4 〈周本紀〉에는 周 文王의 업적으로, 《禮記》 〈大傳〉에는 武王의 업적으로 나온다. 왕으로 추존한 일이 문왕의 업적이라는 데 대해서 張守節은 《史記正義》에서 ‘稱王’은 天子가 되어 功業을 이룬 뒤의 일이므로 “어찌 殷 紂王이 그대로 있는데도 주나라가 왕을 일컬었겠는가.[豈殷紂尙存而周稱王哉]”라고 반론을 제기하였다. 《禮記注疏》 〈中庸〉의 鄭玄 注에는 ‘追王’을 “다시 장사를 지낸 것이다.[改葬之]”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孔穎達은 武王이 牧野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商나라를 타도한 뒤에 고공단보와 계력을 왕으로 추존하였고, 뒤에 주공이 천자의 예에 따라 태왕과 왕계를 改葬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역주5 : 대전본에는 ‘禮’로 되어 있다.
역주6 赤刀天球 : 赤刀는 周 武王이 殷 紂王을 정벌할 때에 쓰던 붉은 칠을 한 寶刀이며, 天球는 鳴球(石磬)로, 雍州에서 진상하는 하늘색 옥의 일종이다. 《書經》 〈顧命〉에 “옥을 오중으로 하며 보물을 진열하니, 赤刀와 大訓과 弘璧과 琬琰은 西序에 있고, 大玉과 夷玉과 天球와 河圖는 東序에 있다.[越玉五重陳寶 赤刀大訓弘璧琬琰在西序 大玉夷玉天球河圖在東序]”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7 : 대전본에는 ‘刃’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