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又曰 性情之德 無所不備而一言 足以盡其妙 曰仁而已
所以求仁者 蓋亦多術而一言 足以擧其要 曰克己復禮而已 蓋仁也者 天地所以生物之心而人所得以爲心者也
惟其得夫天地生物之心하여 以爲心이라 是以未發之前 四德 具焉하니 曰 仁‧義‧禮‧智而仁無不統하고
已發之際 四端 著焉하니 惻隱‧羞惡‧辭‧是非而惻隱之心 無所不通하니
仁之體用 所以涵育渾全하며 周流貫徹하여 專一心之妙而爲
原注
然人有是身則有耳目鼻口四肢之欲而或不能害夫仁이니不仁則其所以滅天理‧窮人欲者 將無所不至
君子之學 所以汲汲於求仁而求仁之要 亦曰去其所以害仁者而已
原注
蓋非禮而視 人欲之害仁也 非禮而聽 人欲之害仁也 非禮而言且動焉 人欲之害仁也
知人欲之所以害仁者 在是하고 於是 有以拔其本‧塞其原하여 而又克之하여 以至於一豁然하여
欲盡而理純則其胸中之所存者 豈不粹然天地生物之心而藹乎其若春陽之溫哉리오
默而 固無一理之不具而無一物之不該也 感而通焉이면 則無事之不得於理而無物之不被其愛矣리라


原注
11-3-나10(朱)
또 말하였다. “性情의 德은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으나 한마디 말로 그 오묘한 이치를 모두 표현할 수 있으니 ‘仁’일 뿐이다.
仁을 구하는 방법은 또한 많지만 한마디 말로 그 핵심을 들 수 있으니 ‘克己復禮’일 뿐이다. 대개 ‘仁’이라는 것은 天地가 만물을 낳는 마음으로, 사람이 얻어서 마음으로 삼은 것이다.
천지가 만물을 낳는 마음을 얻어서 마음으로 삼았기 때문에 아직 발현되기 전에는 四德이 구비되어 있으니 곧 仁‧義‧禮‧智인데 仁이 통괄하지 않는 것이 없다.
이미 발현되었을 때에는 四端이 드러나니 측은히 여기는 마음[惻隱之心]‧不善을 부끄럽게 여기고 미워하는 마음[羞惡之心]‧사양하고 공경하는 마음[辭讓之心]‧옳음과 그름을 가리는 마음[是非之心]인데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통괄하지 않는 것이 없다.
이것이 仁의 본체와 작용이 포괄하면서도 완전히 갖추고 있으며 두루 유행하면서도 하나로 꿰뚫어 한 마음의 오묘한 이치를 오로지 하면서도 뭇 善의 우두머리가 되는 이유이다.
原注
그러나 사람이 이 몸을 가졌으니, 그렇다면 이목구비와 四肢의 욕망을 가지고 있어서 간혹 저 ‘仁’을 해치게 되니, 사람으로서 仁하지 못하면 그 天理를 멸하고 人欲을 있는 대로 부려서 장차 못하는 짓이 없게 된다.
이것이 君子의 학문이 仁을 구하는 데 급급한 까닭인데 인을 구하는 요체는 또한 자신의 인을 해치는 요인을 제거하는 것일 뿐이다.
原注
대개 예에 맞는 것이 아닌데도 보는 것은 사욕이 仁을 해치는 것이며, 예에 맞는 것이 아닌데도 듣는 것은 인욕이 인을 해치는 것이며, 예에 맞는 것이 아닌데도 말하고 또 행동하는 것은 인욕이 인을 해치는 것이다.
인욕이 인을 해치는 것이 여기에 있다는 것을 알고, 이에 拔本塞源하여 사욕을 이기고 또 이겨서 어느 날 환히 깨쳐
사욕이 남김없이 없어지고 天理만 온전하게 남게 되면, 그 가슴속에 남아 있는 것이 어찌 순수하게 천지가 만물을 낳는 마음이어서 마치 봄볕의 온기처럼 훈훈하지 않겠는가.
묵묵히 이러한 이치를 알게 되면 진실로 한 가지 이치도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고 한 사물도 포괄하지 않는 것이 없을 것이며, 감촉하여 통하게 되면 어떤 일도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 없고 어떤 사물도 그 사랑을 입지 못하는 것이 없을 것이다.


역주
역주1 11-3-나10(朱) : 《晦庵集》 卷77 〈克齋記〉에 보인다. 〈克齋記〉는 朱熹가 克齋 石𡼖에게 書齋의 記文으로 써 준 것이다.
역주2 : 사고본에는 없다.
역주3 : 대전본에는 ‘遜’으로 되어 있으나, 宋代의 피휘이다.
역주4 衆善之長 : 《周易》 〈乾卦 文言傳〉에 “元은 善의 우두머리이다.[元者 善之長也]”라고 하였는데, 朱熹는 《周易本義》에서 “元은 萬物을 낳음의 시작이니, 천지의 덕이 이보다 먼저인 것이 없다. 그러므로 계절에 있어서는 봄이 되고 사람에게 있어서는 仁이 되어 뭇 善의 우두머리가 된다.[元者 生物之始 天地之德 莫先於此 故於時爲春 於人則爲仁而衆善之長也]”라고 하였다.
역주5 : 대전본에는 ‘爲’로 되어 있다.
역주6 : 《晦庵集》 卷77 〈克齋記〉에는 ‘旣’로 되어 있다.
역주7 克之 : 대전본‧사고본에는 이 뒤에 ‘克之’가 있다.
역주8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朝鮮의 피휘이다.
역주9 : 사고본에는 ‘成’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