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7-6-나(按)
按 此章稱武王‧周公 亦猶前章之稱舜也 大抵爲人君 以光祖宗‧遺後嗣爲孝
自大王實始翦商하고 至文王三分天下有其二어시늘 而武王 遂成之하사 躬衣戎服하여而有天下하시니
武王之繼志述事也 周公 追王王‧王季하시고 祀先公以天子之禮하시고
又制禮作樂하여 使世世子孫으로 奉承宗廟之祀하여 事死如生하며 事亡如存하시니 周公之繼志述事也
原注
舜之孝 如天之不可名이라 故曰大 武王‧周公之孝 天下稱之無異辭 故曰達이니
後世人主有志於 當合大舜‧文‧武‧周公之事而考之니라
蓋大舜 以瞽瞍爲父하시니 處人倫之變者也 文王 以王季爲父하시니 處人倫之常者也
舜‧文 所遇不同而其心則一이니 使舜遇文王之時하면 必能盡處常之道
使文王遇舜之時하면 亦必能盡處變之方이니 所謂
至於繼志述事則當持守而持守 固繼述也 當變通而變通 是亦繼述也 凡此 皆人主所當知
故推衍其說하여 以廣中庸言外之指하노이다


原注
7-6-나(按)
[臣按] 이 장에서 武王과 周公을 거론한 뜻도 앞장에서 舜임금을 거론한 것과 같습니다. 대체로 임금이 된 이는 조종을 빛내고 후사를 남기는 것을 효로 삼습니다.
周나라는 大王 때부터 실로 商나라의 천명을 잠식하기 시작했고, 文王 때에 이르러 천하의 3분의 2를 소유하자 무왕이 마침내 왕업을 이루어서 몸소 융복을 입고 獨夫 受를 주살하고 천하를 소유하였습니다.
이것은 무왕이 선왕의 유지를 계승하고 사업을 계속해나간 것입니다. 주공은 태왕과 王季를 왕으로 추존하고 선공을 천자의 예로 제사 지내며,
또 예악을 제정하여 자손 대대로 종묘의 제사를 받들어서 돌아가신 분 섬기는 것을 살아 있는 분 섬기는 것과 같이 하며 돌아가시고 없는 분 섬기는 것을 살아계신 분 섬기는 것과 같이 하도록 하였으니, 이것은 주공이 선왕의 유지를 계승하고 사업을 계속해나간 것입니다.
原注
舜임금의 효는 형용할 수 없는 하늘과 같기 때문에 ‘大’라고 하였고, 武王과 周公의 효는 천하 사람들이 효라고 칭하는 데 다른 말이 없었기 때문에 ‘達’이라고 한 것입니다.
후세에 효로써 천하를 다스리는 데 뜻을 두는 임금은 大舜‧文王‧무왕‧주공의 일에 합쳐서 상고해야 할 것입니다.
大舜은 瞽瞍를 아비로 두었으니 인륜의 비정상적인 상황에 처한 경우이고, 문왕은 王季를 아비로 두었으니 인륜의 정상적인 상황에 처한 경우입니다.
순임금과 문왕이 만난 상황은 다르지만 그 마음은 같았으니, 순임금이 문왕의 시대를 만났다면 반드시 인륜의 정상적인 상황에 처했을 때의 도리를 다했을 것이고,
문왕도 순임금의 시대를 만났다면 반드시 비정상적인 상황에 처했을 때의 도리를 다했을 것입니다. 이것이 이른바 ‘처한 상황이 바뀌었다면 모두 그렇게 했을 것이다.’라는 것입니다.
유지를 계승하고 사업을 계속해나가는 것으로 말하면, 지켜야 할 것을 지키는 것이 진실로 계승하고 계속해나가는 것이며, 변통해야 할 것을 변통하는 것이 또한 계승하고 계속해나가는 것이니, 이것은 모두 임금이 알아야만 하는 것입니다.
신이 이 때문에 그 내용을 확대하고 부연해서 《中庸》의 숨은 뜻을 보충한 것입니다.


역주
역주1 獨夫受 : 受는 殷 紂王이다. 《書經》 〈泰誓 下〉에 “獨夫 受가 크게 위엄을 부리고 있으니, 바로 너희들 대대의 원수이다.[獨夫受 洪惟作威 乃汝世讎]”라고 하였는데, ‘獨夫’에 대해 蔡沈의 《書集傳》에서 “천명이 이미 끊어지고 인심이 이미 떠났으니, 단지 한 獨夫일 뿐이다.[天命已絶 人心已去 但一獨夫耳]”라고 하였다. 《孟子》 〈梁惠王 下〉에서는 ‘一夫 紂’로 지칭하고, “仁과 義를 해치는 사람을 一夫라고 이른다. 一夫인 紂를 주살했다는 말은 들었다.[殘賊之人 謂之一夫 聞誅一夫紂矣]”라고 하였다.
역주2 : 사고본에는 ‘太’로 되어 있다.
역주3 孝治 : 《孝經》 〈孝治〉에 “옛날에 성명한 군왕은 효로써 천하를 다스렸다.[昔者 明王之以孝治天下也]”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4 易地則皆然 : 《孟子》 〈離婁 下〉 제29장에 보인다. 맹자는, 禹王과 后稷은 치세를 만나 천하에 도를 펼쳐 백성을 구제하는 데 매진하였고, 顔回는 난세를 만나 누추한 골목에 살면서 안빈낙도하였지만, 도에 있어서는 매한가지였으므로 각자 처한 상황이 바뀌었다면 모두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하면서 이를 인용하였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