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12-19-나(按)
按 此章之要 在於所欲與聚‧所惡勿施之二言하니 大學라하니
父母 於子 心誠求之하여 所欲者 無不與하며 所惡者 無不去하나니 君之於民 何獨不然이리오
當戰國時하여 禽獸其民하여 往往施之以所惡 故孟子 激切而言之하시니
夫仁者 豈有心於天下之歸己哉리오 水就下하며 獸走壙 理之自然이니 非有爲而爲之也
假是道하여 亦以得天下者 漢‧唐 是也 故秦 爲漢敺者也 爲唐敺者也라하니 爲人上者 其可不鑑于玆잇가


原注
12-19-나(按)
[臣按] 이 장의 요지는 “원하는 것을 주어서 모이게 하고 싫어하는 것을 베풀지 말라.[所欲與聚 所惡勿施]”라는 두 구절에 있습니다. 《大學》에 이르기를 “백성이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고 백성이 싫어하는 것을 싫어하는 이런 사람을 백성의 부모라고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부모는 자식에 대해 성심으로 구하여 원하는 것을 주지 않음이 없고 싫어하는 것을 제거하지 않음이 없으니, 임금이 백성에 대해 어찌 유독 그렇게 하지 않겠습니까.
전국시대였던 당시 자신의 백성을 금수처럼 여겨서 백성에게 종종 그들이 싫어하는 것을 베풀었기 때문에 맹자가 강개한 어조로 말한 것입니다.
仁者가 어찌 천하가 자신에게 돌아올 것을 염두에 두겠습니까. 물이 아래로 흐르고 금수가 넓은 들로 달아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이치이니 어떤 목적이 있어서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張栻이 말하기를 “天理를 따르면서 천하를 이롭게 여기는 마음이 없는데도 천하가 그에게 돌아온 것은 바로 三王이 천하의 왕이 된 이유이며,
이 道를 가탁하여 마찬가지로 천하를 얻은 것은 漢나라와 唐나라이다. 그러므로 秦나라는 漢나라를 위하여 백성을 몰아준 것이며, 隋나라는 唐나라를 위하여 백성을 몰아준 것이다.”라고 하였던 것입니다. 임금이 되어서 이것을 거울 삼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


역주
역주1 民之……父母 : 《大學》 傳10章에 보인다.
역주2 循天……者也 : 《孟子說》 〈離婁 上〉에 보인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