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13-11-나(按)
按 魏‧晉以後 人主之事佛 未有如梁武之者也
夫以萬乘之尊而自捨其身하여 爲佛之厮役하니 其可謂卑佞之極矣
殫國府藏하고 脧民膏血하여塔廟하니 又可謂尊奉之極矣
以蔬茹麵食而易宗廟之牲牢하여 恐其有累冥道也하며 織官文錦 有爲人類‧禽獸之形者 亦禁
臣下 雖謀反逆하나 赦而不誅하며 剽盜 肆行호대 亦弗忍禁하니 凡以推廣佛戒也
原注
蓋嘗論之 使仙而可求則 得之矣 佛而可求則梁武 得之矣로되 以二君而無得焉則知其不可求而得也 明矣
縱求而得之 荒幻之敎 不可以治 山林枯槁之行 不可以治國家어든 況不可求邪
漢武 貪仙而終致虛耗之禍하고 梁武 佞佛而卒召亡之厄則貪‧佞之無補也 又明矣로다
且其舍身事佛 豈非厭塵囂而樂空寂乎리오 使其能若迦維之嫡嗣하여 하면 庶乎爲眞學佛者注+ .어늘
而帝也 旣以簒弑 取人之國하고 하며
及其老也 이나 一涉疑似 忌之而至死하니 貪戀 如此 又豈眞能捨者乎리오
原注
釋服入道 旣可徼浮之福이요 奉金贖還 又不失天子之貴 名雖佞佛而實以誑佛也
且其織文之非實 猶不忍戕之호대 彼蚩蚩之氓性命 豈鳥獸比而連年征伐하여 所殺 不可勝計
하여 浸灌敵境하여 擧數十萬衆而魚鼈之하여 曾不少卹하니 名雖小仁而實則大不仁也
原注
且國所與立 惟綱與常이어늘 帝於諸子 皆任以藩維而無禮義之訓이라
以梟之資 始舍父而奔敵國하고 終引賊以覆宗祊注+武帝未生太子統時, 養子正德爲子. 及統生, 正德還本封西豐侯, 意怏怏, 遂奔魏. 已而逃歸, 復其封爵. 後進王臨賀. 侯景, 正德首以內應導之以犯闕. 又與景約克城之日毋得兩宮. 兩宮, 謂帝及也.하며
‧若 或摠雄師하며 或鎭上游호대 當君父在難하여 不聞有灑血投袂之意注+ 湘東王繹鎭江陵, 不時遣援, 致景陷都城.
弟兄 相仇하며 叔姪 交兵하여 極人倫之惡注+武陵王與繹相攻, 繹殺紀. 又攻州, 攻於襄陽. 詧‧譽皆湘東之姪也. 其後詧引魏兵, 殺繹於江陵.하니 無他 帝之所學者 釋氏也
釋氏 以天倫爲假合이라 故臣不君其君하며 子不父其父하니
三四十年之間 風俗 淪胥하며 綱常 掃地하니 宜其致此極也로다
使其以堯‧舜‧三王爲師而不雜之敎하여 必本仁義하며 必尙禮法하며 必明政刑하면 顧安有是哉리잇고


原注
13-11-나(按)
[臣按] 魏‧晉 이래로 임금 가운데 부처를 섬기는 것이 양 무제처럼 융숭했던 이는 있지 않았습니다.
대저 만승천자의 존귀함을 가지고도 스스로 자신을 버리고서 부처의 종이 되었으니 비굴하게 아첨하는 것의 극치라고 할 수 있으며,
국고를 다 쏟아 붓고 백성의 고혈을 쥐어짜서 탑을 건축하였으니 또 높이 받드는 것의 극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승길에 누가 될까 두려워하여 채소와 麵食으로 종묘의 희생을 대체하였으며, 仁恕에 어긋남이 있을까 두려워하여 무늬를 넣어 짠 비단 관복을 마름질할 때 사람이나 짐승의 형상을 넣는 것도 금지하였으며,
신하가 반역을 도모했는데도 용서하고 주살하지 않았으며, 강도가 횡행하는데도 차마 금하지 못했으니, 이는 모두 불가의 계율을 미루어 확대했기 때문입니다.
原注
일찍이 논해보건대, 만약 신선을 구해서 될 수 있는 것이라면 漢 武帝가 그렇게 되었을 것이고, 부처를 구해서 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양 무제가 그렇게 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두 임금의 집념으로도 그렇게 할 수 없었으니, 신선이나 부처는 구해서 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됩니다.
비록 구하여 될 수 있었다 하더라도 夷狄의 허무맹랑한 가르침으로는 華夏를 다스릴 수 없으며 山僧들의 무미건조한 행실로는 나라를 다스릴 수 없는데, 하물며 구할 수 없는 것에 있어서이겠습니까.
한 무제가 신선이 되기를 탐하였으나, 마침내 재물과 民力을 허비한 화만을 초래하였고, 양 무제가 부처에게 아첨하였으나 나라가 망하는 재앙만 초래하였으니, 그렇다면 신선이 되기를 탐하고 부처에게 아첨하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없다는 것이 또 분명합니다.
게다가 捨身을 하여 부처를 섬기는 것이 어찌 속세의 소란을 싫어하고 공허와 적멸을 즐긴 것이 아니겠습니까. 만약 迦維國王의 적통 후사(석가모니)가 왕위를 헌신짝처럼 보고서 버리고 떠났던 것과 같이 할 수 있다면 진심으로 부처를 배우는 자에 가까울 것입니다.注+‘釋迦’는 迦維國王의 嫡統 후사로, 왕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불법을 배웠다.
그런데 양 무제가 이미 찬탈과 시역으로 남의 나라를 빼앗았고, 또 침공과 정벌로 남의 국경을 침범하였으며,
노년에 이르러서는 태자 蕭統처럼 인자하고 효성스러운 아들에 대해서도 한번 의심이 들자 그를 꺼려 죽음에 이르게 하였습니다. 탐욕과 미련이 이와 같았으니, 또 어찌 진정으로 捨身을 할 수 있었겠습니까.
原注
御服을 벗고 佛道에 입문한 것은 이미 부처의 복을 바란 것이요, 금전을 바쳐 贖還한 것은 또 천자의 존귀함을 잃지 않은 것이니, 이것은 명목상으로는 비록 부처에게 아첨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부처를 속인 것입니다.
그리고 저 어리석은 백성의 생명이 어떻게 금수에 비견되겠습니까마는, 실제 사람이나 짐승이 아닌 비단의 무늬조차 차마 자르지 못했음에도 해마다 계속 정벌하여 죽인 사람들이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浮山에 둑을 쌓아 그 물로 적의 영토를 잠기게 하려고 하여 수십만의 사람들을 모두 어육으로 만들면서도 조금도 가엾게 여기지 않았으니, 이것은 명목상으로는 작은 仁이지만 실제로는 크게 不仁한 것입니다.
原注
게다가 나라가 설 수 있는 것은 오로지 기강과 倫常 때문인데, 무제는 자식들에게 모두 변방의 요충지를 맡기면서도 禮義의 가르침이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蕭正德이 梟獍과 같은 기질을 가지고서 처음에는 아비를 버리고 적국으로 망명하였으며, 종국에는 역적을 끌어들여 종사를 전복하였습니다.注+양 무제는 태자 蕭統이 태어나지 않았을 때 臨川王 蕭宏의 아들 蕭正德을 키워 양자로 삼았다. 그런데 소통이 태어나자 소정덕은 본가로 돌려보내져 西豐侯에 봉해졌다. 이에 소정덕은 앙심을 품고 마침내 北魏로 망명하였다. 얼마 뒤에 북위에서 도망쳐 양나라로 돌아와서 원래의 봉작을 회복하였다. 후에 進封되어 臨賀王이 되었다. 侯景이 반란을 일으키자 소정덕이 앞장서서 내응하는 자로서 후경을 인도하여 犯闕을 하였다. 또 성을 함락하는 날에 兩宮을 살려두지 않기로 후경과 약속하였다. ‘양궁’은 무제와 태자 蕭綱을 말한다.
그리고 蕭綸과 蕭繹의 경우, 소륜은 정예병을 거느리고 있었고 소역은 長江 상류에 주둔하고 있었으나, 君父(양 무제)가 환난에 처했을 때 피를 뿌리고 소매를 떨치며 奮戰할 생각이 있었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습니다.注+邵陵王 蕭綸은 여러 군대를 지휘하여 후경을 토벌하면서 힘써 싸우지 않았다. 湘東王 蕭繹은 江陵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제때 구원병을 보내지 않아 후경이 도성을 함락하게 만들었다.
게다가 형제가 서로를 원수로 삼고 숙질간에 교전을 하여 인륜에 있어 패악의 극치를 달렸으니,注+武陵王 蕭紀와 蕭繹이 서로 공격하여 소역이 소기를 죽였다. 소역은 또 河東王 蕭譽를 湘州에서 공격하고 岳陽王 蕭詧을 襄陽에서 공격하였다. 소찰과 소예는 모두 湘東王 소역의 조카이다. 그 후에 소찰이 北魏의 군대를 끌어들여 江陵에서 소역을 죽였다. 이는 다름이 아니라 양 무제가 배웠던 것이 釋氏였기 때문입니다.
석씨가 天倫을 假合(일시적인 화합)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신하가 자신의 임금을 임금으로 여기지 않았으며 자식이 자신의 부모를 부모로 여기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러니 3, 40년 동안에 풍속이 땅에 떨어지고 綱常이 자취를 감추었으니 이렇게 극단적인 상황이 초래된 것도 당연합니다.
만약 그가 堯임금‧舜임금‧三代의 聖王을 스승으로 삼고 方外의 가르침을 섞지 않고서 仁義에 근본을 두고 예법을 숭상하며 政刑을 밝힐 것을 기필하였다면, 어찌 이러한 일이 있었겠습니까.


역주
역주1 : 대전본‧사고본에는 ‘至’로 되어 있다.
역주2 : 사고본에는 ‘資’로 되어 있다.
역주3 之恐……雖謀 : 대전본‧사고본에는 없다.
역주4 호니 : 509본에는 ‘하니’로 되어 있다.
역주5 漢武 : 한 무제의 사례는 13-5-가2 참조.
역주6 戎夷 : 사고본에는 ‘虛無’로 되어 있다.
역주7 : 사고본에는 ‘諸’로 되어 있다.
역주8 : 대전본‧사고본에는 ‘亂’으로 되어 있다.
역주9 : 대전본에는 ‘至’로 되어 있다.
역주10 : 사고본에는 ‘敝’로 되어 있다.
역주11 褰裳而去之 : 왕위를 양위한다는 뜻으로, 순임금이 禹에게 임금의 일을 대리하라 명하고 부른 노래에 “精華가 이미 다했으니, 裳을 걷고 떠나리라.[精華已竭 褰裳去之]”라는 내용이 보인다. 《竹書紀年 卷上》
역주12 釋迦……嫡嗣 : 釋迦는 釋迦牟尼를 가리키며, 석가족의 聖者‧賢人이라는 뜻이다. 이름은 싯다르타로, 불교의 교조이다. 아버지는 淨飯王이며, 어머니는 마야왕비이다. 29세에 출가하여 6년간의 고행 끝에 35세에 菩提樹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었다. 이후 45년 간 설법을 하며 돌아다니다 80세에 입멸하였다. 迦維는 迦維羅衛의 약칭으로, 迦毘羅婆蘇都‧迦毘羅‧迦毘羅衛 등과 같다. 가비라바소도, 즉 迦維는 고대 인도의 釋迦族이 세운 국가로, 여기서 迦維國王은 싯다르타의 아버지인 정반왕을 가리킨다. 《佛學大辭典 迦維》 《불교사전 가비라바소도》 《시공불교사전 석가모니, 가유라위, 가비라파소도》
역주13 舍王……學佛 : 싯다르타가 출가하였다고 전해지는 때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는데, 《過去現在因果經》에는 19세라고 하였고, 《佛祖通紀》에는 25세라고 하였다. 싯다르타는 태자 시절에 출가를 생각하였으나, 나라에 후사가 없으면 안 된다는 부왕의 반대에 부딪쳐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아내 야쇼다라가 아들 라훌라를 잉태하자, 과거의 부처를 배우겠노라고 외치고 출가하였다. 《過去現在因果經 卷2》 《佛祖通紀 卷2》
역주14 又以……之境 : 양 무제의 재위기간 내내 양나라와 北魏 사이에는 전쟁이 지속되었는데, 양나라가 북위를 공격하여 여러 차례 영토를 점령하기도 하였다. 天監 5년(506)에는 宿預‧小峴‧合肥 등을 쳐서 함락시켰으며, 천감 14년(515)에는 西硤石을 습격하여 점령하였고, 普通 5년(524)에는 睢陵‧東筦(관) 등을, 보통 7년(526)에는 壽陽을 항복시키고 穰城을 점거하였다.
역주15 雖慈……至死 : 昭明太子 蕭統이 冠禮를 치르고 나서부터 양 무제가 조정의 정사를 살피도록 시켰는데, 매사에 신중하고 근면하게 처신하였다. 병을 얻었을 때에도 병세를 묻는 무제에게 걱정을 끼칠까 염려하여 매번 직접 편지를 썼다. 소통은 결국 中大通 3년(531) 4월에 병사하였다. 《資治通鑑 卷155 梁紀11 武帝11 中大通 3年》
역주16 太子統 : 昭明太子 蕭統(501~531)을 가리킨다. 자는 德施, 小字는 維摩로, 南蘭陵 사람이다. 梁 武帝의 장자로, 天監 원년(502)에 태자가 되었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문장에 능했으며 불교를 신봉하였는데, 병으로 요절하였다. 《文選》을 편찬하였으며, 문집에 《昭明太子集》이 있다.
역주17 : 대전본‧사고본에는 ‘圖’로 되어 있다.
역주18 浮山築堰 : 天監 13년(514) 北魏에서 투항해 온 王足의 건의에 따라 양 무제는 北魏의 壽陽城을 잠기게 할 목적으로 浮山에서부터 淮水에 둑을 쌓게 하였는데, 이것이 浮山堰으로 淮堰이라고도 한다. 이듬해인 천감 14년(515) 4월에 완성되었으나 무너져서 다시 보수하여 천감 15년(516) 4월에 완공하였다. 길이는 9里, 밑 너비는 140丈, 윗 너비는 45장, 높이는 20장에 달하였으며, 둑 위에는 병영이 늘어서 있었다. 이해 9월에 폭우로 둑이 무너져 사망자가 10여 만이나 되었다. 浮山은 현재 安徽省 明光 북쪽에 있다. 《資治通鑑 卷147 梁紀3 武帝3 天監13年, 卷148 梁紀4 武帝4 天監14年‧15年》 《南朝五史辭典 浮山, 浮山堰, 浮山之役》
역주19 正德 : 蕭正德(?~549)을 가리킨다. 자는 公和로, 南蘭陵 사람이다. 臨川王 蕭宏의 셋째 아들이다. 양 무제가 아들이 없을 때 그의 양자가 되었다가, 양 무제가 즉위하고 소명태자가 태어나자 西豐侯가 되었다. 이에 앙심을 품고 北魏로 달아났는데, 후에 귀국하여 中大通 4년(532)에 臨賀郡王에 봉해졌다. 548년 侯景이 난을 일으켰을 때 양 무제의 명으로 建康을 수비하고 있었는데, 도리어 후경과 결탁하여 그를 지원하였다. 후경이 양 무제를 포위했을 때 후경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549년 臺城이 함락되자 후경에 의해 폐위되어 侍中‧大司馬가 되었다. 이에 후경과 사이가 벌어져 후경을 공격하려 하다가 후경에게 피살되었다.
역주20 : 대전본에는 ‘鏡’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21 臨川王宏 : 蕭宏(473~526)을 가리킨다. 자는 宣達로, 南蘭陵 사람이다. 梁 武帝의 동생으로, 天監 원년(502)에 臨川郡王으로 봉해지고, 揚州刺史‧太尉 등을 지냈다. 성품이 탐욕스럽고 여색을 밝혔으나, 정치적인 야심은 없었다. 시호는 靖惠이다.
역주22 : 대전본에는 ‘又’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23 : 대전본에는 ‘至’로 되어 있다.
역주24 太子綱 : 簡文帝 蕭綱(503~551, 재위 549~551)을 가리킨다. 梁나라 2대 황제로, 묘호는 太宗이다. 자는 六通‧世纘으로, 양 무제의 셋째 아들이자 昭明太子 蕭統의 동생이다. 소명태자 사후에 태자가 되었다가, 侯景이 난을 일으켜 太淸 3년(549) 무제가 죽자 후경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얼마 뒤에 후경에게 시해되었다. 저서에 《毛詩國風義》‧《禮大義》 등이 있다.
역주25 : 邵陵王 蕭綸(519~551)을 가리킨다. 자는 世調, 小字는 六眞으로, 南蘭陵 사람이다. 梁 武帝의 여섯 번째 아들로, 소릉왕에 봉해진 뒤 寧遠將軍‧江州刺史‧南兗州刺史‧揚州刺史 등을 역임하였다. 교만하여 불법을 자행하고 백성들을 괴롭히다가 폐서인되었는데, 얼마 뒤에 다시 복권되었다. 太淸 2년(548) 侯景의 난 때 征討大都督으로 후경을 공격하였으나 패전하여 京口로 달아났다가, 다시 전열을 정비하여 후경을 재차 토벌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蕭繹이 이를 꺼려하여 王僧辯을 보내 압박하자, 소륜은 汝南으로 도주하였다. 후에 西魏의 군대에 패하여 성이 함락되자 피살되었다. 시호는 携이다.
역주26 : 元帝 蕭繹(508~554, 재위 552~554)을 가리킨다. 자는 世誠으로, 南蘭陵 사람이다. 梁 武帝의 일곱 번째 아들로, 湘東王에 봉해지고 鎭西將軍과 荊州刺史가 되었다. 552년 3월 王僧辯에게 군대를 주어 建康을 공격하여 황제를 자칭한 侯景을 토벌하였다. 그해에 폐허가 되다시피 한 건강을 버리고 江陵에서 황제에 즉위하였다. 그러나 소역이 즉위하기 직전, 동생 蕭紀가 蜀에서 황제를 자칭하여 골육상쟁이 벌어지자, 그 혼란을 틈타 南征에 나선 西魏가 554년 강릉을 공략하는 바람에 사로잡혀 죽임을 당하였다.
역주27 邵陵……力戰 : 侯景이 建康을 포위했던 太淸 3년(549)에 소륜은 군사를 이끌고 郢州의 武城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원군을 기다린다는 핑계로 진군하지 않았다. 《資治通鑑 卷162 梁紀18 武帝18 太淸 3年》
역주28 : 대전본‧사고본에는 ‘其’로 되어 있다.
역주29 : 대전본에는 ‘綱’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紀’는 武陵帝 蕭紀(508~553)를 가리킨다. 자는 世詢‧大智로, 梁 武帝의 여덟 번째 아들이다. 무릉왕에 봉해진 뒤 寧遠將軍과 揚益州刺史를 역임하였다. 侯景이 난을 일으켰으나 가서 구원하지 않았는데, 무제가 죽자 蜀에서 황제를 자칭했다. 그 후 후경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군사를 이끌고 동쪽으로 가서 荊陜을 포위하려고 했다. 西陵峽에 이르러 江陵의 여러 군대와 대치했다. 당시 元帝 蕭繹이 이미 즉위하여 西魏에 원조를 요청하자, 서위가 군대를 보내 촉을 공격하였다. 소기는 강릉에 닿기도 전에 후방이 이미 무너져 패전하고 원제에게 죽임을 당했다.
역주30 河東王譽 : 蕭譽(?~550)를 가리킨다. 자는 重孫으로, 昭明太子 蕭統의 차남이다. 普通 2년(521) 枝江縣公이 되었다가 中大通 3년(531)에 河東郡王으로 봉해졌다. 그 후 寧遠將軍‧侍中‧輕車將軍 등을 역임하고 南中郞將‧湘州刺史가 되었다. 얼마 후 후경의 난이 발발하자 수도 建康을 구원하기 위하여 출병했다가 臺城이 함락된 뒤 회군하라는 가짜 조서를 받고 湘州로 돌아왔다. 이때 蕭繹이 周弘直을 보내 군량을 독촉했으나 소예가 따르지 않았는데, 이에 크게 노한 소역이 王僧辯을 보내 공격하자, 패전하여 피살되었다.
역주31 : 대전본에는 ‘相’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32 岳陽王詧 : 後梁의 황제 蕭詧(519~562, 재위 555~562)을 가리킨다. 시호는 宣, 묘호는 中宗이다. 자는 理孫으로, 昭明太子 蕭統의 셋째 아들이다. 普通 6년(525)에 曲江縣公이 되었으며, 中大通 3년(531)에는 岳陽郡王으로 봉해지고, 中大同 원년(546)에는 雍州刺史가 되었다. 太淸 3년(549) 형인 湘州刺史 河東王 蕭譽가 湘東王 蕭繹에게 공격을 받자, 군대를 이끌고 소역의 본거지인 江陵을 공격하였으나 패전하였다. 후에 西魏에 附庸國이 되기를 청하였는데, 서위가 元帝 소역을 죽이고 소찰을 황제로 세웠다.
역주33 : 대전본‧사고본에는 ‘於’로 되어 있다.
역주34 : 대전본에는 ‘寸’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