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杕杜注+詩‧晉風篇名. 刺時也注+刺晉昭公. 不能親其宗族하니 骨肉 離散하여 獨居而無兄弟하여 將爲沃 所并爾
注+沃, 曲沃也.
有杕之杜注+杕, 生貌. 杜, 赤棠也.
其葉湑湑注+.로다
獨行踽踽注+, 無所親也.호니
豈無이리오마는
不如我同父니라
嗟行之人
胡不比焉注+比, 親也.
人無兄弟어늘
胡不注+, 助也.고하고
二章
豈無이리오마는
不如我同姓注+其後昭公果爲晉人所弑, 而曲沃武公據晉而爲諸侯.이라하니라


8-7-가2
《시경》 〈杕杜〉는注+‘杕杜’는 《시경》 〈晉風〉의 편명이다. 당시의 임금을 풍자한 시이다.注+晉 昭公을 풍자하였다. 임금이 자신의 종족을 친히 대하지 못하자 골육이 이반하고 흩어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홀로 살며 형제가 없어서 曲沃에 병합되게 되었다는 것이다.注+‘沃’은 曲沃이다.
홀로 서 있는 팥배나무여注+‘杕’는 홀로 자라는 모습이다. ‘杜’는 赤棠(팥배나무)이다.有杕之杜
그 잎이 윤이 나도다注+‘湑湑’는 ‘윤택하다’라는 뜻이다.其葉湑湑
홀로 외로이 가니注+‘踽踽’는 친한 사람이 없는 모습이다.獨行踽踽
어찌 타인이 없으리오마는豈無它人
내 형제만은 못하니라不如我同父
어찌 친하게 지내지 않는가注+‘比’는 ‘친하다’라는 뜻이다.胡不比焉
사람이 형제가 없거늘人無兄弟
어찌 도와달라 하지 않는가注+‘佽’는 ‘돕다’라는 뜻이다.胡不佽焉
2장에 이르기를,
어찌 타인이 없으리오마는豈無它人
나의 동성만은 못하니라不如我同姓 라고 하였다.注+그 뒤에 昭公은 과연 晉人에게 시해되었고, 曲沃武公은 晉나라를 차지하여 제후가 되었다.


역주
역주1 8-7-가2 : 《詩經》 〈唐風 杕杜〉에 보인다. 모두 2장으로, 杕杜는 ‘홀로 서 있는 팥배나무’라는 뜻이다. 眞德秀는 당시 晉 昭公을 풍자한 것으로 본 毛序를 따른 반면, 朱熹는 형제가 없는 자가 스스로 그 외로움을 서글퍼하여 남에게 도움을 구하는 시로 보았다. ‘晉 昭公’은 晉 昭侯 姬伯(재위 기원전 745~기원전 739)으로, 晉나라의 12번째 임금이다. 즉위한 뒤 숙부 姬成師를 진나라의 도읍인 翼보다도 큰 曲沃에 봉하고 桓叔이라고 불렀다. 曲沃桓叔은 당시 58세로 덕을 좋아하여 晉나라 백성들 중 곡옥환숙에게 歸附하는 자가 많았다. 진 소후 7년(기원전 739)에 진나라의 대신 潘父가 소후를 죽인 뒤 곡옥환숙을 맞이하려 하였으나, 곡옥환숙은 진나라 도성에 들어가려다가 진나라 군대에 패하여 다시 곡옥으로 돌아갔다. 진나라 사람들은 소후의 아들 平(晉 孝侯)을 옹립하고 潘父를 죽였다. 그 뒤 곡옥환숙의 손자 曲沃武公(기원전 754~기원전 677), 즉 훗날의 晉 武公이 기원전 716년에 곡옥의 임금이 되었는데, 기원전 708년에 晉 哀侯를 죽이고, 기원전 705년에는 晉 小子侯를 죽였으며, 기원전 678년에는 진나라를 멸망시킨 뒤 진나라의 寶器를 周 僖王에게 뇌물로 바치고서 진나라의 임금에 봉해졌다. 《史記 卷39 晉世家》
역주2 杕杜……幷爾 : 毛序의 내용이다.
역주3 : 대전본에는 ‘持’로 되어 있으나, 오류이다.
역주4 湑湑閏 : 대전본에는 ‘閏’이 ‘潤’으로, 사고본에는 ‘湑湑閏’이 ‘湑胥上聲言潤’으로 되어 있다.
역주5 閏澤也 : 朱熹의 《詩集傳》에서는 ‘무성한 모습[盛貌]’으로 보았다.
역주6 踽踽 : 사고본에는 ‘踽巨上聲言’으로 되어 있다.
역주7 : 대전본‧사고본에는 ‘他’로 되어 있다.
역주8 : 대전본에는 ‘忺(험)’으로 되어 있으나, 오류이다.
역주9 : 사고본에는 이 뒤에 ‘音次’가 있다.
역주10 : 대전본‧사고본에는 ‘他’로 되어 있다.
역주11 아……않는가 : 朱熹의 《詩集傳》에서는 眞德秀와 달리, “길 가는 사람들은 어찌 내가 홀로 가는 것을 가엾이 여겨 친근히 대해주지 않으며, 내가 형제가 없는 것을 불쌍히 여겨 도와주지 않느냐고 탄식한 것이다.[嗟嘆行路之人 何不閔我之獨行而見親 憐我之無兄弟而見助乎]”라는 뜻으로 보았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