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3)

대학연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18-1-나(按)
按 姦臣之將盜有其國也 必先以荒昏淫樂으로 蠱其君之心術然後 己之志 得行하나니
趙高之於二世 欲有以蠱之久矣 一聞恣耳目‧窮心志之問하고 卽深贊之曰 此 明主之所能行而昏主之所禁也라하니
原注
蓋高之心 欲二世 盡除先朝舊人而專政於己 故因其問而極言勸誘之하니
夫深刑峻法하여 翦滅大臣‧宗室 高之所自便也 安枕肆意於淫樂 二世之所喜聞也 中其主之所喜하여 以伸己之所便이라
故高言 一進 하여 卒之刑戮 而怨畔하여 二世之身 且岌岌然猶하니 安枕之樂 果何在哉
原注
二世 旣以此敗亡하니 世之人 遂以高言으로必殺人之物호대
然佞邪之臣 以此蠱其君하고 昏亂之主 以此覆其國者 相踵也하니
是明知其爲鉤吻‧烏喙必殺人之物而甘心嗜之不厭也 嗚呼悲夫로소이다


原注
18-1-나()
[신안臣按] 간신이 그 나라를 훔쳐 갖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방탕함과 황음荒淫으로 그 군주의 마음을 유혹한 뒤에 자신의 뜻을 행할 수 있는 법입니다.
조고趙高이세二世의 마음을 유혹하고자 한 지가 오래되었기에 “눈과 귀가 좋아하는 것을 모두 누리고 마음이 즐거워하는 것을 다할 수 있겠느냐?”라는 이세의 질문을 듣자마자 곧 깊이 찬탄하며 “이것은 현명한 군주나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어리석은 군주는 금하는 것입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저 삼가고 두려워하여 방종하지도 않고 안일함에 빠지지도 않는 것은 요임금과 순임금의 행실이고, 황음하여 여색에 빠지며 술에 빠지는 것은 걸왕桀王주왕紂王의 행실입니다. 조고의 말은 도에 어긋나서 어리석음과 현명함을 전도시켰으니 본래 살피기 어렵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原注
이것은 조고趙高의 마음에 이세二世로 하여금 선제先帝의 옛 신하들을 모두 제거하고 정사를 오로지 자신에게만 맡기도록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이세의 질문에 극구 권유한 것입니다.
형벌을 혹독하게 하고 법을 엄하게 하여 대신과 종실을 없애는 것은 조고가 자신을 이롭게 하는 것이었고, 베개를 편히 하고서 뜻하는 대로 맘껏 즐긴다는 이 말은 이세가 듣기 좋아할 말이었으니, 자신의 군주가 좋아하는 것에 맞추어서 자신에게 이로운 것을 편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조고의 말이 진언되자마자 마치 돌을 물에 던진 것과 같이 모두 받아들였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끝내는 형륙刑戮이 많아지고 원망과 배반이 일어나서 이세의 몸이 위태롭기가 마치 장막 위에 지은 제비 둥지와 같게 되었으니, 베개를 편히 하는 즐거움이 과연 어디에 있습니까.
原注
이세가 이미 이것으로 패망하자 세상 사람들은 마침내 조고의 말을 반드시 사람을 죽이는 구문鉤吻오훼烏喙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그런데도 아첨하는 신하나 간사한 신하가 이것으로 그 군주를 유혹하고 어리석고 무도한 군주가 이것으로 그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경우가 계속 이어졌습니다.
이는 그것이 반드시 사람을 죽이는 구문과 오훼임을 분명히 알면서도 기꺼이 마음속으로 이를 좋아하고 싫증내지 않은 것이니, 아, 안타까운 일입니다!


역주
역주1 兢兢……行也 : 《서경》 〈虞書 大禹謨〉에 “안일함에 방종하지 마시고 즐거움에 빠지지 마소서.[罔遊于逸 罔淫于樂]”, 〈虞書 皐陶謨〉에 “안일함과 욕심으로 제후들을 가르치지 말아서 삼가고 두려워하소서.[無敎逸欲有邦 兢兢業業]”, 〈周書 無逸〉에 “아, 군자는 안일하지 않음을 처소로 삼습니다.[嗚呼 君子所其無逸]”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2 荒湛……行也 : 《서경》 〈夏書 五子之歌〉에 “안으로 여색에 빠진다.[內作色荒]”, 〈周書 無逸〉에 “은나라 왕 受(紂王)가 정신없이 빠졌던 것과 같이 술에 빠지지 마소서.[無若殷王受之迷亂 酗于酒德哉]”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3 如石投水 : 돌을 물에 던지면 물이 모두 받아들이는 것처럼 거스름이 없는 것을 이른다. 삼국시대 魏나라 李康의 〈運命論〉에 “장량이 황석공의 비결을 받아 《삼략》의 설을 외워 군웅에게 유세하였으나 그 말을 마치 물을 돌에 뿌리는 것처럼 아무도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한 고조를 만나게 되자 그 말을 마치 돌을 물에 던진 것처럼 모두 받아들여 거스르는 것이 없었다.[張良受黃石之符 誦三略之說 以遊於群雄 其言也 如以水投石 莫之受也 及其遭漢祖 其言也 如以石投水 莫之逆也]”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4 : 사고본에는 ‘繁’으로 되어 있다.
역주5 燕巢幕 : 매우 위험한 상황을 이른다. 《春秋左氏傳》 襄公 29년(기원전 544)에 “夫子(孫林父)가 이곳에 있는 것은 마치 제비가 장막 위에 둥지를 튼 것과 같습니다.[夫子之在此也 猶燕之巢於幕上]”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6 鉤吻‧烏喙 : 모두 독초의 이름이다. ‘鉤吻’은 斷腸草, 野葛 등으로도 불리며, 그 잎이 칡의 잎과 비슷한데 맹독을 지니고 있다. ‘烏喙’는 草烏頭, 土附子 등으로도 불리며, 그 뿌리가 덩어리 형태인데 맹독을 지니고 있다.

대학연의(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