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3)

대학연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宗時 爲吏部侍郞이러니 寵傾後宮하고 子壽王 愛尤盛注+壽王, 惠妃所生.하니
林甫 因中人白妃하여 願護壽王하여 爲萬歲計라한대 德之러니
薦林甫有宰相才어늘 陰爲助하여 卽拜黃門侍郞‧同中書門下三品하다


19-5-가
당 현종唐 玄宗이임보李林甫이부시랑吏部侍郞이 되었다. 당시에 무혜비武惠妃가 후궁 중에서 가장 총애를 받았고 아들 수왕壽王이 사랑을 더욱 많이 받았다.注+수왕壽王무혜비武惠妃의 소생을 이른다.
그러자 이임보가 환관을 통해 무혜비에게 고하기를 “수왕壽王을 보호하여 만세 후의 계책을 행하기를 원합니다.”라고 하였다. 무혜비가 이를 고맙게 여겼다.
마침 한휴韓休가 재상의 자질이 있다고 이임보를 천거하자 무혜비가 남몰래 도움을 주어 곧 이임보가 황문시랑‧동중서문하삼품에 임명되었다.


역주
역주1 19-5-가 : 《新唐書》 卷223上 〈姦臣列傳 李義府〉에 보인다. 이의부는 당시에 황문시랑이 되었다가 이어서 예부상서 동중서문하삼품이 되었다. 《資治通鑑》 卷214 〈唐紀30 玄宗 中之中〉 開元 22년(734) 4월 임진 조에도 관련된 내용이 있다.
역주2 玄宗 : 685~762(재위 712~756). 唐의 제6대 황제 李隆基이다. 明皇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洛陽 출신이다. 睿宗의 셋째 아들이다. 예종 景雲 원년(710)에 거병하여 韋皇后와 安樂公主을 제거하고 부친인 예종을 황제로 옹립하였다. 같은 해 태자에 봉해지고, 2년 뒤인 712년 8월 25일에 예종의 양위로 즉위하였다. 太平公主를 숙청하고 姚崇‧宋璟‧張說‧張九齡 등을 재상으로 임용하여 漕運 개량과 屯田 개발 등 내정을 정비하고 밖으로는 東突厥‧吐蕃‧契丹 등에 대한 방비를 강화하여, 開元 연간의 태평천하를 구가하였다. 때문에 그의 치세는 ‘開元之治’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노년에 들어 정치를 등한시하고 楊貴妃에 빠졌고 권신 李林甫‧楊國忠 등을 임용하여 국정의 혼란을 야기하였다. 결국 755년 安祿山의 난을 맞아 四川으로 파천하였다. 이듬해 肅宗에게 양위하고 上皇으로 은거하였으며, 장안으로 돌아온 뒤 죽었다.
역주3 : 대전본에는 ‘元’으로 되어 있으나, 宋代의 피휘이다.
역주4 李林甫 : ?~752. 唐 玄宗 연간의 재상이자 권력가이다. 아명은 哥奴이며, 호는 月堂이다. 陝西 사람이다. 唐 황실의 종친이다. 國子司業‧御史中丞‧刑部侍郞‧吏部侍郞을 역임하고, 禮部尙書‧同中書門下三品 등을 지냈다. 19년간 宰相으로 있으면서 황제의 신임을 배경으로 전권을 휘두르며 조정의 기강을 크게 문란하게 하였다. 현종의 뜻에 영합하면서 언로를 막고 인사를 좌지우지하여 유능한 인재를 배척하고 私黨을 요직에 배치하여 자신에게 반대하는 대신들을 모함하여 죽이거나 축출하였다. 특히 天寶 8년(749)에는 변경의 節度使를 이민족 출신의 番將으로 대체하도록 하여 훗날 安史의 亂을 초래하였다. 처신이 음험하고 권모술수에 능해 간신의 전형으로 여겨진다. 겉으로는 감언을 일삼아 친근한 척하지만 뒤로는 중상모략을 일삼아 ‘口蜜腹劍’이라고 불렸다. 사후에 太尉‧揚州大都督에 추증되었으나 楊國忠의 무함을 받아 관작이 추탈되고 剖棺되었다.
역주5 武惠妃 : 唐 玄宗의 비. 혜비는 비빈의 칭호로 貴妃라고도 한다. 淑妃‧德妃와 더불어 三夫人이라 하였다. 무혜비는 720년대 초반부터 737년 죽을 때까지 현종의 큰 사랑을 받았다. 그녀는 이임보가 출세가도를 달리도록 후견 역할을 했고, 자신이 낳은 맏아들을 황태자로 책립하기 위해 음모를 꾸몄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역주6 : 대전본‧사고본에는 ‘瑁’로 되어 있다.
역주7 韓休 : 673~740. 자는 良士이다. 唐 京兆 長安 사람이다. 韓大敏의 조카이다. 머리가 뾰족해 筆頭公으로 불렸다. 文辭에 뛰어났다. 賢良方正科로 천거되었다. 玄宗이 東宮에 있을 때 對策을 올려 趙冬曦와 함께 乙科에 급제했다. 左補闕, 禮部侍郞, 知制誥, 尙書右丞 등을 역임했다. 開元 21년(733) 黃門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가 되었다. 성품이 매우 강직하여 정치의 득실에 대해서는 말을 아낀 적이 없어 宋暻이 仁者의 勇이라고 탄식하였다. 나중에 工部尙書로 좌천되었다가 太子少師로 옮겼다. 시호는 文忠이다.

대학연의(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