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8-5-나(按)
按 先儒 其可使牛羊踐履之乎
戚戚兄弟 其可踈遠而不親近乎 忠厚之意 藹然見於言語之外로다
毛氏 以戚戚으로 爲內相親하니 唯體之深者 爲能識之라하니 謂 祖謙之說 善矣
能深體此章之指則雖一草一木이라도 且不敢輕於摧折也어든 況骨肉之戚而縱尋斧乎
此詩二章以下 皆言燕樂兄弟之事하니 然必有此心爲之本然後 燕樂 不爲虛文이니 不然이면 非所知也로소이다


原注
8-5-나(按)
[臣按] 先儒 呂祖謙은 말하기를, “저 길의 갈대가 지금 한창 움트고 형체를 이루어가서 그 잎이 부드럽고 매끄러운데, 소와 양에게 이것을 밟게 할 수 있겠는가.
친밀한 형제를 소원하게 하여 친근히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 충후한 뜻이 가득히 언어 밖으로 드러난다.
毛氏가 ‘戚戚’을 ‘안으로 서로 친근하다’라는 뜻으로 생각했으니, 오직 깊이 체득한 자만이 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라고 하였습니다. 신은 여조겸의 설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임금이 이 장의 뜻을 깊이 알 수 있다면 비록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라 할지라도 선뜻 가볍게 꺾을 수 없을 것이니, 더구나 골육지친에게 함부로 도끼를 쓸 수 있겠습니까.
이 시의 2장 이하는 모두 형제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즐거워하는 일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이 마음을 근본으로 한 뒤에야 잔치하고 즐거워하는 것이 헛된 형식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신은 모르는 일입니다.


역주
역주1 呂祖謙 : 1137~1181. 자는 伯恭, 호는 東萊이다. 朱熹‧張栻과 더불어 ‘東南三賢’으로 불렸다. 저서에 《東萊集》‧《呂氏家塾讀詩記》‧《東萊左傳博議》 등이 있다.
역주2 彼行……識之 : 《呂氏家塾讀詩記》 卷26 〈生民之什 行葦〉에 보인다.
역주3 泥泥然하니 : 저본에는 ‘泥泥하니 然’으로 되어 있어 바로잡았다.
역주4 使人主로 : 저본의 현토는 ‘로’로 되어 있으나, ‘使’는 使役의 의미가 아닌 假定의 의미로 보는 것이 타당하므로 ‘로’라는 토는 옳지 않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