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12-11-나(按)
按 孟子此章 敎人以善推其所爲也 夫有所不忍하며 有所不爲者 此心之正也
是心而推之하여 雖所忍者라도 亦不忍 卽仁也 雖所爲者라도 亦不爲 卽義也
如無欲害人 所謂不忍也 私欲 一動則不忍者 有時而忍矣
無欲穿窬 所謂不爲也 私欲 一動則不爲者 有時而爲矣
惟能卽是心而充之 害人之事 固所不欲이라 其未至於害人者 亦皆不欲이니 仁其可勝用乎
穿窬之事 固所不爲 其未至於穿窬者 亦皆不爲 義其可勝用乎
爾汝 人所輕賤之稱이라 知恥者之所不肯受 所謂 能自此充之則無所往而非義也니라
原注
大抵人之本心 無不善者로되 由其以利欲汨之而失其本心이라 故侵尋蹉跌하여不善하나니
之走則知恥之호대 而五十則不以爲恥하니 曷若倂五十而無之乎
호대 歲攘其一則不以爲恥하니 曷若倂歲攘而不爲乎리오 知此而後 知孟子充之之說이니이다
以上兼言仁義이라


原注
12-11-나(按)
[臣按] 《孟子》의 이 장은 사람들에게 그 행하는 바를 잘 미루어나갈 것을 가르친 것입니다. 무릇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고 선뜻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는 것은 이 마음의 올바른 상태입니다.
능히 이 마음에 나아가 미루어서, 차마 할 수 있는 일이라 할지라도 차마 하지 못하는 것이 바로 仁이며, 선뜻 할 수 있는 일이라 할지라도 하지 않는 것이 바로 義입니다.
예를 들면 남을 해치는 일이 없고자 하는 것이 이른바 ‘차마 하지 못한다.[不忍]’는 것이니, 사욕이 한번 동하면 차마 하지 못했던 것을 차마 하게 되는 때가 있게 되며,
훔치는 일이 없고자 하는 것이 이른바 ‘선뜻 하지 않는다.[不爲]’는 것이니, 사욕이 한번 동하면 하지 않는 것을 할 때도 있게 됩니다.
능히 이 마음에 나아가서 확충하기만 한다면 남을 해치는 일은 본래 원하지 않았던 것이라 남을 해치는 데에까지 이르지 않은 것도 모두 원하지 않게 될 것이니, 仁을 이루 다 쓸 수 있겠습니까.
훔치는 일은 본래 하지 않았던 것이라 훔치는 일에까지 이르지 않은 것도 모두 하지 않게 될 것이니, 義를 이루 다 쓸 수 있겠습니까.
‘爾汝’는 사람들이 경멸하고 천시하는 호칭입니다. 부끄러움을 아는 자가 이러한 호칭을 받지 않으려는 것이 이른바 ‘부끄럽게 여기고 미워하는 마음[羞惡之心]’이라는 것입니다. 능히 여기에서부터 이를 확충해나간다면 무엇을 하든 義 아님이 없게 됩니다.
原注
무릇 사람의 본래 마음은 善하지 않은 것이 없으나 利欲이 이 마음을 빠트림으로 인해 그 본래 마음을 잃게 됩니다. 그러므로 차츰차츰 벗어나서 마침내는 不善에까지 흘러가게 됩니다.
이는 마치 백 보를 달아나는 것은 부끄러워할 줄 알지만 오십 보를 달아나는 것은 부끄럽다고 생각하지 않은 것과 같으니, 어찌 오십 보마저도 달아나는 일이 없는 것만 하겠습니까.
이는 마치 한 달에 한 번 닭을 훔치는 것은 부끄러워할 줄 알지만 일 년에 한 번 훔치는 것은 부끄럽다고 생각하지 않은 것과 같으니, 어찌 일 년에 한 번 훔치는 것마저도 하지 않는 것만 하겠습니까. 이를 안 연후에 맹자가 이 마음을 확충하라고 한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이상은 仁과 義를 겸하여 말하였다.


역주
역주1 : 사고본에는 ‘有’로 되어 있다.
역주2 羞惡之心 : 朱熹의 주에 따르면, ‘羞’는 자신의 不善을 부끄러워하는 것이고, ‘惡’는 남의 不善을 미워하는 것이다. 《孟子集註 公孫丑 上 第6章》
역주3 流於 : 대전본에는 小字로 誤刻되어 있다.
역주4 百步……爲恥 : 《孟子》 〈梁惠王 上〉 제3장에 보이는 비유로, 전쟁이 이미 시작되어 싸움이 한창인데 달아나면서 오십 보 달아난 사람이 백 보 달아난 사람을 비웃는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는 똑같이 달아났다는 점에서 모두 부끄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역주5 : 대전본에는 ‘里’로 되어 있다.
역주6 : 대전본에는 ‘里’로 되어 있다.
역주7 : 대전본에는 ‘里’로 되어 있다.
역주8 月攘……爲恥 : 《孟子》 〈滕文公 下〉 제8장에 보이는 비유로, 날마다 이웃집 닭을 훔치는 자에게 이것은 군자의 도가 아니라고 충고하자, 그러면 매달 한 마리씩 훔치다가 내년에 그만두겠다고 대답했다는 내용이다. 義가 아님을 알고서도 바로 그만두지 않았다는 점에서 똑같이 부끄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역주9 : 대전본에는 없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