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1)

상서정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帝曰 契 百姓 不親하고 五品 不遜하니
五品 謂五常이요 順也
汝作司徒하여 敬敷五敎하되 在寬이니라
布五常之敎하되 務在寬 所以得人心이니 亦美其前功이니라
‘帝曰契’至‘在寬’
○正義曰:帝又呼契曰 “往者, 天下百姓, 不相親睦, 家內尊卑五品不能和順, 汝作司徒之官, 謹敬布其五常之敎, 務在於寬,
故使五典克從.
是汝之功, 宜當勉之.”
傳‘五品’至‘順也’
○正義曰:品謂品秩, 一家之內尊卑之差, 卽父‧母‧兄‧弟‧子是也.
敎之義‧慈‧友‧恭‧孝, 此事可常行, 乃爲五常耳.
云 “五典克從.” 卽此五品能順.
上傳以解五典爲五常, 又解此以同之,
故云 “五品謂五常.”
其實五常據敎爲言, 不據品也.
‘遜 順’, 常訓也. 不順, 謂不義‧不慈‧不友‧不恭‧不孝也.
傳‘布五’至‘前功’
○正義曰:文十八年左傳云 “布五敎於四方, 父義‧母慈‧兄友‧弟恭‧子孝.” 是布五常之敎也.
論語云 “寬則得衆.”
故‘務在寬所以得民心’也.
治不遜之罪, 宜峻法以繩之, 而貴其務在寬者, 此五品不遜, 直是禮敎不行, 風俗未淳耳, 未有殺害之罪, 故敎之務在於寬.
若其不孝‧不恭, 其人至於逆亂而後治之, 於事不得寬也.


제순帝舜이 말씀하기를 “아, 백성百姓친목親睦하지 못하고 오품五品화순和順치 못하니,
오품五品오상五常을 이르고, 화순和順하다는 뜻이다.
네가 사도司徒가 되어 오교五敎를 경건하게 베풀되 너그러이 대하는 쪽에 주력하였느니라.”라고 하셨다.
오상五常의 가르침을 베풀되 너그러이 대하는 쪽에 주력한 것은 인심을 얻기 위함이었는데, 또한 그 이전의 공을 찬미한 것이다.
의 [帝曰契]에서 [在寬]까지
정의왈正義曰:제순帝舜이 또 을 불러 말씀하기를 “지난번에 천하의 백성들이 서로 친목親睦하지 못하고, 집안에서는 존비尊卑오품五品화순和順하지 못하였는데, 네가 사도관司徒官이 되어 경건하게 오상五常의 가르침을 펴되 너그러이 하는 쪽에 주력하였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오전五典을 잘 따르게 하였다.
이것은 너의 공이니, 마땅히 힘쓸지어다.”라고 하셨다.
의 [五品]에서 [順也]까지
정의왈正義曰:품질品秩을 이르니, 집안의 존비尊卑의 차이로서 곧 아버지‧어머니‧형‧아우‧아들이 그것이다.
아버지에게는 의로울 것을 가르치고, 어머니에게는 자애慈愛할 것을 가르치고, 형에게는 우애할 것을 가르치고, 아우에게는 공경할 것을 가르치고, 아들에게는 효도할 것을 가르치니, 이 일은 항상 행할 수 있으므로 오상五常이라 한 것이다.
위의 경문經文에서 말한 “오전五典을 잘 따랐다.”는 것은 곧 여기의 오품五品을 잘 따랐다는 것이다.
위의 공전孔傳에서 오전五典오상五常으로 풀이하였고, 또 여기서도 동일하게 풀이하였다.
그러므로 “오품五品오상五常을 이른다.”라고 한 것이다.
그 실상은 오상五常에 의거해 말하였지, 에 의거하지 않았다.
[遜 順] 일반적인 풀이이니, 불순不順(不遜)은 불의不義부자不慈불우不友불공不恭불효不孝를 이른다.
의 [布五]에서 [前功]까지
정의왈正義曰:문공文公 18년 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이르기를 “사방에 오교五敎를 펴게 하니, 아버지는 의롭고 어머니는 자애로우며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손하며 아들은 효도했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오상五常의 가르침을 편 것이다.
논어論語》에 이르기를 “너그러우면 대중의 신망을 받는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너그러이 대하는 쪽에 주력한 것은 인심을 얻기 위함이다.”라고 한 것이다.
불순한 죄를 다스리는 데는 마땅히 준엄한 법으로 처벌해야 할 것이나 너그러이 대하는 쪽에 주력함을 귀중히 여기는 것은, 이 오품五品이 화순하지 않은 것이 단지 예교禮敎가 행해지지 않아 풍속風俗이 순후하지 못할 따름이지, 살해殺害한 죄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들을 가르치되 너그러이 대한 쪽에 주력하였던 것이다.
불효不孝불공不恭의 경우, 그러한 사람을 반드시 역란逆亂을 저지른 뒤에 다스린다는 것은 사리에 있어서 도저히 너그럽게 대할 수 없는 경우이다.


역주
역주1 (傳上)[上經] : 저본에는 ‘傳上’으로 되어있으나, 文義를 살펴 ‘上經’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