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言我先世賢君 無不承安民而恤之
[傳]民亦安君之政하여 相與憂行君令이라 行也 少以不行於天時者 言皆行天時
[疏]傳‘民亦’至‘天時’
○正義曰:以君承安民而憂之, 故民亦安君之政, 相與憂行君令, 使君令必行.
責時群臣不憂行君令也. 舟舡浮水而行, 故以‘浮’爲行也.
行天時, 順時布政, 若月令之爲也.


아! 옛날 우리 先王께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해주지 않음이 없으시자,
우리 先世의 賢君들이 백성들을 편안하게 해주는 동시에 걱정도 해주는 정사를 펼치지 않은 이가 없었다는 말이다.
〈백성들도〉 임금님의 정사를 편안히 여기어 서로들 걱정하였으니, 〈임금의 명령을 걱정하며 행하였기에,〉 天時를 행하지 않은 이가 거의 없었다.
백성들 또한 임금의 정사를 편안히 여기어 서로 더불어 임금의 명령을 행할 것을 걱정하였다. ‘浮’는 行의 뜻이다. ‘天時를 행하지 않은 이가 적었다.’는 것은 모두 天時를 행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傳의 [民亦]에서 [天時]까지
○正義曰:임금이 백성들을 편안하게 해주는 동시에 걱정도 해주는 정사를 펼쳤기 때문에 백성들도 임금의 정사를 편안히 여기어 서로 더불어 임금의 명령을 행할 것을 걱정하여 임금의 명령이 반드시 행해지게 하였다.
이는 곧 당시 신하들이 임금의 명령을 행할 것을 걱정하지 않음을 나무란 것이다. 배는 물에 떠서 가는 것이기 때문에 ‘浮’를 行의 뜻으로 여긴 것이다.
[行天時] 때를 따라 政令을 펴기를 ≪禮記≫ 〈月令〉에서 하듯이 하였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古我前后 罔不惟民之承 : 蔡傳에서는 承을 敬의 뜻으로 보아 “임금이 이미 백성들을 공경하지 않음이 없으므로[后旣無不惟民之敬]”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保后胥慼 鮮以不浮于天時 : 蔡傳에서는 浮를 勝의 뜻으로 보아 “〈백성들도〉 임금님을 보호하여 서로들 그 걱정을 걱정하였기 때문에 天時의 재앙을 이겨내지 못한 적이 거의 없었다.[民亦保后 相與憂其憂 雖有天時之災 鮮不以人力勝之]”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也)[者]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孫志祖가 ‘也는 마땅히 者의 誤字이다.’라고 하였다.”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者’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