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嗟 之人
[傳]各有軍事 曰六事니라
予誓告汝하노라 有扈氏威侮五行하며 怠棄할새
[傳]五行之德 王者相承所取法이라 有扈與夏同姓으로 恃親而不恭하니
是則威虐侮慢五行하고 怠惰棄廢天地人之正道이라 言亂常이라
○馬云 建子‧建丑‧建寅 三正也라하니라
天用剿絶其命하시나니
[傳]用其失道 剿截也이니 謂滅之
○剿 馬本 作巢
今予 惟恭行天之罰이니라
[傳]恭 奉也 言欲截絶之


王이 말씀하셨다. “아! 六軍에 종사하는 사람들아.
각각 군사에 관한 책임을 맡고 있기 때문에 六事라고 한 것이다.
나는 誓戒하는 말을 너희들에게 고하노라. 有扈氏가 五行을 경멸하며 三正을 폐기하므로
五行의 德은 王者가 서로 이어서 法으로 취하는 것이다. 有扈가 夏나라와 同姓으로 親族임을 믿고 공손하지 않았으니,
이것은 위세 부리고 포학하여 五行을 업신여기며, 天‧地‧人의 正道를 태만히 하여 폐기한 것이다. 〈有扈가〉 常道를 어지럽힘을 말한 것이다.
○馬融은 “建子‧建丑‧建寅이 三正이다.”라고 하였다.
하늘이 그들에게 내려준 천명을 끊으려고 하시니,
그가 道를 잃었기 때문에 끊으려는 것이다. ‘截’은 絶의 뜻이니, 멸망시킴을 이른다.
○剿는 馬本에 巢로 되어 있다.
지금 나는 하늘의 벌을 받들어 행하려는 것이다.
‘恭’은 奉의 뜻이니, 끊으려고 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六事 : 宋代 金履祥은 “六卿을 六事라 이르니, 三公을 三事라 이르는 것과 같다.[謂六卿爲六事 猶三公謂之三事也]”라고 하였다. ≪四庫本 尙書注疏考證≫
역주2 三正 : 蔡傳에서는 三正을 建子‧建丑‧建寅이라고 한 馬融의 설을 따랐다. 北斗七星의 자루가 초저녁에 子方을 가리키는 달을 子月, 丑方을 가리키는 달을 丑月, 寅方을 가리키는 달을 寅月이라 하는데, 周나라는 子月을, 殷나라는 丑月을, 夏나라는 寅月을 歲首인 正月로 삼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