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今我民 用蕩析離居하여 이어늘
[傳]水泉沈溺이라 蕩析離居하여 無安定之極이니 徙以爲之極이라
[疏]‘古我’至‘定極’
○正義曰:言古者我之先王, 多大於前人之功,
是故徙都而適於山險之處, 用下去我凶惡之德, 立善功於我新國.
但徙來已久, 水泉沈溺, 今我在此之民, 用播蕩分析, 離其居宅, 無有安定之極, 我今徙而使之得其中也.
說其遷都之意, 亦欲多大前人之功, 定民極也.
[疏]○傳‘言以’至‘功美’
○正義曰:‘古我先王’, 謂遷都者.
‘前人’, 謂未遷者. 前人久居舊邑, 民不能相匡以生, 則是居無功矣.
盤庚言先王以此遷徙, 故多大前人之功美. 故我今遷, 亦欲多前功矣.
[疏]○傳‘徙必’至‘我國’
○正義曰:先王至此五邦, 不能盡知其地, 所都皆近山, 故總稱‘適于山’也.
易坎卦彖云 “王公設險以守其國.” 徙必依山之險, 欲使下民無城郭之勞.
雖則近山, 不可全無城郭, 言其防守易耳. 徙必近山, 則舊處新居皆有山矣.
而云‘適于山’者, 言其徙必依山, 不適平地, 不謂舊處無山, 故徙就山也. 水泉咸鹵, 民居墊隘, 時君不爲之徙, 卽是凶惡之德.
其徙者, 是下去凶惡之德, 立善功於我新遷之國也. 言‘下’者, 凶德在身, 下而墜去之.
[疏]○傳‘水泉’至‘之極’
○正義曰:民居積世, 穿掘處多, 則水泉盈溢, 令人沈深而陷溺. 其處不可安居, 播蕩分析, 離其居宅, 無安定之極.
‘極’訓中也. 詩云 “立我烝民, 莫匪爾極.” 言民賴后稷之功, 莫不得其中. 今爲民失中, 故徙以爲之中也.
爾謂朕호되 曷震動萬民하여 以遷고하나다
[傳]言皆不明己本心이라


지금 우리 백성들이 침수의 피해 때문에 흩어져 살고 있어서 안정된 極中(常性)을 잃었건만,
물이 스며들기 때문에 백성들이 이리저리 흩어져 살고 있어 안정된 極中(常性)을 잃었으니, 도읍을 옮겨서 極中(常性)을 회복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經의 [古我]에서 [定極]까지
○正義曰:옛날 우리 先王께서는 장차 이전 사람의 공보다 더 많은 공을 세우고자 하시었다.
이 때문에 도읍을 옮기어 산이 험준한 곳으로 가셔서, 우리의 흉악한 덕을 내려버리고 우리의 새 나라에 아름다운 업적을 이루셨다.
다만 옮겨온 지 이미 오래여서 물이 스며들기 때문에 지금 여기에 있는 우리 백성들이 침수피해로 이리저리 흩어져 떨어져서 살고 있어 안정된 極中(常性)을 잃었으므로 내가 지금 도읍을 옮겨서 그 常性을 회복하게 했다고 말한 것이다.
곧 그 도읍을 옮긴 뜻이 또한 이전 사람의 공보다 더 많은 공을 세워 백성들의 常性을 안정시키려고 함을 말한 것이다.
○傳의 [言以]에서 [功美]까지
○正義曰:[古我先王] 도읍을 옮긴 분을 이른다.
[前人] 도읍을 옮기지 않은 분을 이른다. 이전 사람이 옛 도읍에 오래 거주해서 백성들이 능히 서로 바로잡아가며 살지 못하였으니, 이곳에 거주함에 공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盤庚이 “先王께서 이래서 도읍을 옮겼기 때문에 이전 사람의 아름다운 공보다 더 컸다. 그러므로 내가 지금 도읍을 옮긴 것도 역시 이전 사람의 공보다 더 큰 공을 세우고자 해서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傳의 [徙必]에서 [我國]까지
○正義曰:先王이 도읍을 옮긴 것이 여태까지 다섯 군데인데 그 땅을 다 알 수는 없으나, 도읍한 곳이 모두 산에 가까웠기 때문에 ‘산으로 갔다.’라고 총칭한 것이다.
≪周易≫ 坎卦 〈彖傳〉에 “王公이 험한 장애물을 설치하여 그 나라를 지켰다.”라고 하였다. 도읍을 옮길 때에 반드시 산의 험준함에 의지하는 것은 백성들로 하여금 城郭을 쌓는 노고가 없게 하려는 것이었다.
비록 산에 가깝다 하더라도 전연 城郭이 없을 수는 없는 일이니, 그 防守가 쉽다는 점을 말했을 뿐이다. 도읍을 옮길 때에 반드시 산에 가깝게 했다면 예전 거주지나 새 거주지나 모두 산이 있었을 터인데,
‘산으로 갔다.’라고 한 것은 옮겨갈 때 반드시 산에 의지하고 평지로 옮겨가지 않았음을 말한 것이지, 예전 거주지에 산이 없기 때문에 산으로 옮겨갔음을 이른 것은 아니었다. 水泉이 스며들어 백성들의 거주지가 침수되었는데도 당시 임금이 옮겨가지 않았으니, 곧 이것이 흉악한 덕이다.
그 옮겨가는 것은 바로 흉악한 덕을 내려버리고 아름다운 공적을 우리가 새로 옮긴 國都에 세우려는 것이다. ‘下’라 말함은 흉악한 덕이 몸에 있으니 그것을 내려 떨어뜨려버리는 것이다.
○傳의 [水泉]에서 [之極]까지
○正義曰:백성들이 거주한 지 여러 세대가 되어 굴착한 곳이 많으니, 水泉이 가득 차 넘쳐서 사람으로 하여금 깊이 잠겨 빠지게 하여, 그곳에서 편안히 살 수 없어서 이리저리 흩어져 떨어져서 살게 되었기 때문에 안정된 常性[極]을 잃었다는 것이다.
‘極’은 中의 뜻으로 풀이한다. ≪詩經≫ 〈周頌 思文〉에 “〈后稷이 곡식을 심어〉 우리 백성들을 존립시켰으니, 〈백성들이〉 너 〈后稷에게서〉 常性을 얻지 않음이 없도다.”라고 하였으니, 백성들이 后稷의 공에 힘입어 그 常性을 얻지 않음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지금 백성들이 常性을 잃었기 때문에 옮겨서 常性을 회복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너희들은 朕에게 ‘어찌하여 만백성을 진동시켜 〈도읍을〉 옮겼는가?’라고 말들을 한다.
모두가 자기의 본심을 밝게 알아주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罔有定極 : 蔡傳에서는 極을 止의 뜻으로 보아 “주거환경이 몹시 불안정하건만”으로 풀이하였다.
역주2 (欲將)[將欲] : 저본에는 ‘欲將’으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將欲’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