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三江 旣入하니 震澤 厎定이로다
[傳]震澤 吳南大湖名이라 言三江已入하니 致定爲震澤이라
○三江 韋昭云 謂吳松江錢唐江라하고
吳地記云 松江東北行七十里 得三江口하고 東北入海爲婁江하고 東南入海爲東江하니 竝松江爲三江이라하니라
○震澤 吳都太湖 致也
[疏]傳‘震澤’至‘震澤’
○正義曰:地理志云 “會稽吳縣, 故周泰伯所封國也. 在西, 古文以爲震澤, 是‘吳南大湖名’.
蓋縣治居澤之東北, 故孔傳言‘南’, 志言‘西’. 大澤畜水, 南方名之曰湖.
‘三江旣入’, 此湖也. 治水致功, 江入此澤, 故致定爲震澤也.
下傳云 “自彭蠡江分爲三, 入震澤, 遂爲北江而入海.” 是孔意江從彭蠡而分爲三, 又共入震澤, 從震澤復分爲三, 乃入海.
鄭云 “三江分於彭蠡, 爲三孔東入海.” 其意言‘三江旣入’, 入海耳, 不入震澤也.
又案周禮職方 “揚州藪曰具區, 浸曰五湖.” 五湖卽震澤. 若如志云具區卽震澤, 則浸‧藪爲一.
案餘州浸‧藪皆異而揚州同者, 蓋揚州浸‧藪同處, 論其水謂之浸, 指其澤謂之藪.


三江이 이미 〈震澤으로〉 흘러들어가니, 홍수가 다스려져 震澤이 안정되었다.
震澤은 吳의 남쪽에 있는 大湖(太湖)의 이름이다. 三江이 이미 〈震澤으로〉 흘러들어가니 〈홍수가〉 다스려져 震澤이 안정되었다고 말한 것이다.
○三江에 대하여 韋昭는 “吳松江‧錢唐江‧浦陽江을 이른다.”라고 하였고,
≪吳地記≫에 “松江이 동북으로 70리를 흘러가서 三江의 입구를 만나고 동북으로 바다에 들어가 婁江이 되고 동남으로 바다에 들어가 東江이 되니, 松江까지 아울러 三江이 된다.”라고 하였다.
○震澤은 吳나라 도읍지의 太湖이다. 厎는 致의 뜻이다.
傳의 [震澤]에서 [震澤]까지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會稽郡 吳縣은 옛날 周나라 泰伯이 봉해진 나라이다. 具區澤이 서쪽에 있는데, 古文에서 ‘震澤’이라 했다.”라고 하였으니, ‘吳의 남쪽에 있는 大湖(太湖)의 이름이다.’라는 것이다.
아마 縣의 治所가 震澤의 동북쪽에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孔傳에서는 ‘남쪽’이라 말하고, 〈地理志〉에서는 ‘서쪽’이라 말한 모양이다. 큰 못이 물을 가두는 것을 남쪽 지방에서는 ‘湖’라고 지칭한다.
[三江旣入] 이 太湖로 들어간 것이다. 홍수를 다스리는 것이 공을 이루어 三江으로 하여금 이 震澤에 들어가게 하였기 때문에 〈홍수가〉 다스려져 震澤이 안정된 것이다.
아래의 孔傳에서는 “彭蠡澤으로부터 江水가 나뉘어 셋으로 되고, 震澤에 들어가서 드디어 北江이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라고 하였으니, 孔安國은 江이 彭蠡澤으로부터 나뉘어 셋으로 된 다음, 또 함께 震澤으로 들어가고, 震澤으로부터 다시 나뉘어 셋으로 되어 바다로 들어간 것으로 여긴 것이다.
鄭玄은 “三江이 彭蠡澤에서 나뉘어 세 갈래가 되어서 동쪽으로 바다로 들어갔다.”라고 하였으니, 그의 생각에 ‘三江이 이미 흘러들어가니’라고 말한 것은 바다로 들어갈 뿐, 震澤으로 들어가지 않은 것으로 여긴 것이다.
또 살펴보면 ≪周禮≫ 〈夏官 司馬 職方氏〉에 “揚州에서는 藪澤을 ‘具區’라 하고, 호수를 ‘五湖’라 한다.”라고 하였으니, 五湖가 곧 震澤이다. 만일 〈地理志〉처럼 具區澤이 곧 震澤이라고 한다면 호수와 藪澤이 하나가 된다.
살펴보면 여타의 州는 호수와 藪澤이 다 다른데, 揚州만이 같은 것은 아마 揚州는 호수와 수택이 같은 곳이어서, 그 물을 논하면 ‘浸’이라 이르고, 그 못을 가리키면 ‘藪’라 일렀던 모양이다.


역주
역주1 [浦陽江] : 저본에는 없으나, “岳本에는 ‘也’ 위에 ‘浦陽江’ 3자가 있으니, 이는 잘못하여 빠진 것이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具區 : 具區澤이니 곧 震澤을 가리킨다.
역주3 [入] : 저본에는 없으나, 盧文弨의 ≪群書拾補≫에 의거하여 ‘入’을 보충하였다.
역주4 (今)[令] : 저본에는 ‘今’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令’으로 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고치는 것이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令’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