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不爲逸豫貪欲之敎 是有國者之常이라
兢兢業業하소서 一日二日 萬幾이니다
[傳]兢兢 戒愼이요 業業 危懼 微也 言當戒懼萬事之微
無曠庶官이니 人其代之이니다
[傳]曠 空也 位非其人이면 爲空官이라 言人代天理官이니 不可以天官私非其才


안일과 탐욕을 가르치지 않는 것이 나라를 소유한 자의 常道이니,
逸豫와 貪欲을 가르치지 않는 것이 나라를 소유한 자의 常道란 것이다.
경계하고 두려워하소서. 하루 이틀 사이에도 만 가지 일의 기미가 생기는 것입니다.
兢兢은 戒愼의 뜻이고, 業業은 危懼의 뜻이고, 幾는 微의 뜻이다. 마땅히 만 가지 일의 기미를 경계하고 두려워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모든 관직을 空官으로 만들어서는 안 되니, 하늘의 관직을 사람이 대신하는 것입니다.
曠은 空의 뜻이다. 官位에 있는 사람이 적임자가 아니면 空官이 되는 것이다. 사람이 하늘을 대신해서 관직을 맡아 다스리는 것이니, 하늘의 관직을 인재가 아닌 사람에게 사적으로 주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無敎逸欲有邦 : 蔡傳에서는 ‘有邦’을 諸侯로 보아 “天子는 마땅히 부지런함과 검소함을 가지고 諸侯를 거느려야지, 안일과 탐욕을 가지고 인도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言天子當以勤儉率諸侯 不可以逸欲導之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 蔡傳에서는 事(일)의 뜻으로 보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