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漆沮旣從하며 灃水攸同이로다
[傳]漆沮之水 已從入渭 灃水所同於渭也
[疏]傳‘漆沮’至‘於渭’
○正義曰:詩云 “自土沮漆.” 毛傳云 “沮水‧漆水也.” 則 ‘漆沮’
地理志云 “漆水出扶風漆縣西.” 闞駰十三州志云 “漆水出漆縣西北岐山, 東入渭.”
, 蓋東入渭時, 已與漆合. 渭發源遠, 以渭爲主, 上云 “涇屬渭.”是矣.
故此言“漆沮旣從.” 已從於渭, 灃水所同, 亦同於渭, 以渭爲主故也.
地理志 “灃水出鄠縣東南, 北過上林苑入渭也.”


漆水와 沮水가 이미 〈渭水를〉 따라 들어가며, 灃水가 〈渭水에〉 합해진다.
漆水와 沮水가 이미 渭水를 따라 들어갔다. 灃水가 같이 한 바는 渭水에 합해진다는 것이다.
傳의 [漆沮]에서 [於渭]까지
○正義曰:≪詩經≫ 〈大雅 綿〉에 “沮水와 漆水에 터전을 잡으면서부터”라고 하였는데, 毛傳에 “沮水와 漆水이다.”라고 하였으니, ‘漆沮’는 본래 두 물의 이름이다.
≪漢書≫ 〈地理志〉에는 “漆水가 右扶風 漆縣 서쪽에서 나온다.”라 하였고, 闞駰의 ≪十三州志≫에는 “漆水가 漆縣 서북쪽 岐山에서 나와 동쪽으로 渭水에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沮水는 나오는 곳을 알 수 없으니, 아마 동쪽으로 渭水에 들어갈 때에 이미 漆水와 합해졌을 것이다. 渭水의 발원이 長遠하기 때문에 渭水를 主水로 삼은 것이니, 위에 이른바 “涇水가 渭水로 들어가게 하였다.”라는 것이 이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漆沮旣從’을 말한 것은 이미 渭水를 따랐다는 것이고, ‘灃水所同’을 말한 것 역시 渭水에 합해졌다는 것이니, 渭水를 主水로 삼았기 때문이다.
〈地理志〉에 “灃水는 右扶風 鄠縣 동남쪽에서 나와 북쪽으로 上林苑을 지나서 渭水로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之] : 저본에는 ‘之’자가 있으나, “盧文弨가 ‘≪史記集解≫에는 同於渭也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으니,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衍字로 처리하였다.
역주2 本爲二水 : 四庫本 ≪尙書注疏≫의 〈考證〉에는 “〈禹貢〉의 ‘導渭’에 대한 孔傳에 ‘漆沮는 두 물 이름이다. 또한 洛水라고도 하는데 馮翊 북쪽 땅에서 나온다.’고 하였으니, 이는 孔傳에서 이미 洛水로 지정하였기 때문에 ≪詩經≫에서 말한 邠 땅의 漆沮와 이름은 같지만 실상은 다른 것이다.……〈禹貢〉의 ‘漆沮旣從’에 대하여 孔安國은 ‘漆沮는 일명 洛水이다.’라고 하였는데, 洛水는 漆沮가 이것이니 東都의 ‘伊水‧洛水’와 다른 것이다. 孔穎達은 저기의 疏에서는 아주 분명하게 밝혔는데, 여기의 疏에서는 오히려 扶風의 ‘漆水’에 해당시켰으니, 어찌 그리도 잘못되었는가.”라고 하였다.
역주3 沮則不知所出 : 蔡傳에서는 ≪太平寰宇記≫의 “沮水는 坊州 昇平縣 북쪽 子午嶺에서 흘러나오니 세속에서 ‘子午水’라고 칭하고, 아래로 楡谷川‧慈馬川 등과 합해져 드디어 沮水가 되며, 耀州 華原縣에 이르러 漆水와 합해지고, 同州 朝邑縣에 이르러 동남쪽으로 渭水에 들어간다.[沮水自坊州昇平縣北子午嶺出 俗號子午水 下合楡谷慈馬等川 遂爲沮水 至耀州華原縣 合漆水 至同州朝邑縣 東南入渭]”는 내용을 인용하여 沮水의 발원지를 밝히고 있다.
역주4 扶風 : ≪尙書今古文注疏≫에는 ‘右扶風’으로 되어 있다. 아래도 같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