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西傾으로 因桓是來하여 浮于潛하며 逾于沔하여
[傳]西傾 山名이라 桓水自西傾山南行하니 因桓水是來하여 浮于潛이라 漢上曰沔이라
[疏]傳‘西傾’至‘曰沔’
○正義曰:下文導山有‘西傾’, 知是山名也. 地理志云 “西傾在隴西臨洮縣西南.” 西傾在雍州.
自西傾山南行, 因桓水是來, 浮於潛水也. 地理志云 “桓水出蜀郡蜀山, 西南行羌中, 入南海.”
則初發西傾未有水也. 不知南行幾里得桓水也. 下傳云 “泉始出山爲漾水, 東南流爲沔水, 至漢中東行爲漢水.” 是‘漢上曰沔’.
入于渭하여 亂于河하나니라
[傳]越沔而北入渭하여 浮東渡河而還帝都하여 白所治 正絶流曰亂이라
[疏]傳‘越沔’至‘曰亂’
○正義曰:計沔在渭南五百餘里, 故越沔陸行而北入渭. 渭水入河, 故浮渭而東.
帝都在河之東, 故渡河陸行而還帝都也. 以每州之下言入河之事, 河近帝都, 知是還都白所治也.
‘正絶流曰亂’, 釋水文. 孫炎曰 “橫渡也.”


西傾山으로부터 〈남쪽으로 가서〉 桓水를 따라 와서 潛水에 배를 띄우며, 沔水를 넘어
西傾은 산 이름이다. 桓水가 西傾山으로부터 남쪽으로 흘러가니, 桓水를 따라 와서 潛水에 배를 띄운다. 漢水의 상류를 沔이라 한다.
傳의 [西傾]에서 [曰沔]까지
○正義曰:아래 문단의 導山 조에 ‘西傾’이 있으므로, 이것이 산 이름임을 안 것이다. ≪漢書≫ 〈地理志〉에 “西傾山은 隴西郡 臨洮縣의 서남쪽에 있다.”라고 하였으니, 西傾山은 雍州에 있다.
西傾山으로부터 남쪽으로 가서 桓水를 따라 여기로 와서 潛水에 배를 띄운 것이다. 〈地理志〉에 “桓水는 蜀郡 蜀山에서 나와 서남쪽으로 羌中으로 흘러가서 南海로 들어간다.”라고 하였는데,
처음 西傾山을 출발할 적에는 물이 없으니, 남쪽으로 몇 리를 가서 桓水를 만났는지 모르겠다. 아래에 있는 孔傳에 “샘이 처음으로 산에서 나와 漾水가 되고, 동남쪽으로 흘러 沔水가 되고, 漢中郡에 이르러 동쪽으로 흘러가서 漢水가 되었다.”라고 하였으니, 이래서 漢水의 상류를 沔이라 한 것이다.
渭水로 들어와서 황하를 가로질러 건넌다.
沔水를 넘어 북쪽으로 渭水에 들어와 동쪽으로 가서 황하를 건너 帝都로 돌아와 〈홍수를〉 다스린 일을 아뢴 것이다. 흐르는 물을 곧장 가로질러 건너는 것을 亂이라 한다.
傳의 [越沔]에서 [曰亂]까지
○正義曰:沔水가 渭水 남쪽 500리 지점에 있음을 계산했기 때문에 沔水를 넘어 육지로 가서 북쪽으로 渭水에 들어온 것이다. 渭水가 황하로 들어가기 때문에 渭水에 배를 띄워 동쪽으로 간 것이다.
帝都가 황하의 동쪽에 있기 때문에 황하를 건너 육지로 가서 帝都로 돌아온 것이다. 매 州의 아래에서 황하로 들어가는 일을 말하였고, 황하가 帝都에 가깝기 때문에 帝都로 돌아와 홍수를 다스린 일을 아뢴 것임을 안 것이다.
[正絶流曰亂] ≪爾雅≫ 〈釋水〉의 글이다. 孫炎은 “가로질러 건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