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言至道之王 遭變異 正其事而異自消
[疏]‘高宗’至‘厥事’
○正義曰:高宗既祭成湯, 肜祭之日, 於是有雊鳴之雉在於鼎耳, 此乃怪異之事.
賢臣祖己, 見其事而私自言曰 “惟先世至道之王, 遭遇變異, 則正其事而異自消也.”
既作此言, 乃進言訓王, 史錄其事, 以爲訓王之端也.
[疏]○傳‘言’至‘自消’
○正義曰:‘格’, 訓至也, ‘至道之王’, 謂用心至極, 行合於道, 遭遇變異, 改修德教, 正其事而異自消.
太戊拱木, 武丁雊雉, 皆感變而懼, 殷道復興, 是異自消之驗也.
至道之王, 當無災異, 而云遭變消災者, 天或有譴告, 使之至道, 未必爲道不至而致此異.
且此勸戒之辭, 不可執文以害意也. 此經直云 ‘祖己曰’, 不知與誰語.
鄭云 “謂其黨.” 王肅云 “言于王.” 下句始言 “乃訓於王.” 此句未是告王之辭, 私言告人, 鄭說是也.


祖己가 말하였다. “先世에 道를 지극히 한 王은 그 일을 바로잡았다.”
道를 지극히 한 王은 이변을 만나면 그 일을 바로잡아서 이변이 저절로 사라지게 했다는 말이다.
經의 [高宗]에서 [厥事]까지
○正義曰:高宗이 이미 成湯에게 제사를 지내고 肜祭를 지내는 날, 이에 우는 꿩이 솥귀에 있었으니, 이는 바로 괴이한 일이었다.
賢臣인 祖己가 그 일을 보고 사사로이 말하기를 “先世에 道를 지극히 한 王은 이변을 만나면 그 일을 바로잡아서 이변이 저절로 사라지게 했다.”라고 하였다.
이미 이런 말을 하였고, 이에 진언하여 王을 訓諫하였는데, 史官이 그 일을 기록하여 王을 訓諫한 단서로 삼았다.
○傳의 [言至]에서 [自消]까지
○正義曰:‘格’은 至(지극)의 뜻으로 풀이하니, ‘至道之王’은 마음 씀이 지극하고 행실이 道에 합하므로 이변을 만나면 德教를 改修하여 그 일을 바로잡아서 이변이 저절로 사라지게 했음을 이른다.
太戊 때에는 〈뽕나무와 닥나무가〉 하나로 합해져서 난 〈지 7일 만에 큰 아름드리가 된〉 이변이 있었고, 武丁 때에는 꿩이 〈솥귀에 올라가서〉 우는 이변이 있었으나 모두 이변에 감응하여 戒懼했기 때문에 殷나라가 다시 일어났으니, 이것이 바로 저절로 사라지게 한 징험이었다.
道를 지극히 한 王은 응당 災異가 없었을 것인데도 ‘이변을 만나면 재이를 사라지게 했다.’는 것은 하늘이 혹 譴告를 해서 道를 지극히 하도록 한 것이지, 반드시 道를 행함이 지극하지 못해서 이 이변을 불러일으킨 것은 아니었다.
또 이는 勸戒한 말이니, 글에 집착하여 뜻을 해쳐서는 안 된다. 이 經文에서 단지 ‘祖己曰’이라고만 하였으니, 누구와 더불어 말했는지 알 수가 없다.
鄭玄은 “그 무리에게 일렀다.”라고 하고, 王肅은 “王에게 말했다.”라고 하였다. 아래 문구에서 비로소 “王에게 訓諫했다.”라고 하였으니, 이 문구는 아직 王에게 고한 말이 아니고 스스로 사람에게 고한 것이니, 鄭玄의 말이 옳다.


역주
역주1 惟先格王 正厥事 : 蔡傳에서는 格을 正(바로잡다)의 뜻으로 보아 “먼저 임금의 그릇된 마음을 바로잡고서야 그 잘못된 일을 바로잡겠다.[當先格王之非心 然後正其所失之事]”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至] : 저본에는 없으나, 宋板 單疏本에 의거하여 ‘至’를 보충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