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惟爾多方 罔堪顧之하고 惟我周王 靈承于旅하사
[傳]惟汝眾方之中 無堪顧天之道者 惟我周王 善奉於眾이라 言以仁政得人心이라
克堪用德하사 惟典神天이실새
[傳]言周文武能堪用德하여 惟可以主神天之祀일새 任天
天惟式敎我用休하시고 畀殷命하사 尹爾多方하시니라
[傳]天以我用德之故 惟用教我用美道하고
與我殷之王命하여 以正汝眾方之諸侯
[疏]‘天惟’至‘多方’
○正義曰:天以紂惡之故, 將選人代之.
惟求賢人於汝眾方, 大動紂以威. -謂誅去紂也.- 開其有德能顧天之者, 欲以紂,
惟汝眾方之君, 悉皆無德, 無堪使天顧之. 惟我周王善奉於眾, -能以仁政得人心.-
文武能堪用德, 惟可以主神天之祀, 任作天子也. 天惟以我用德之故, 故教我使用美道,
大與我殷王之命, -命我代殷爲王,- 正汝眾方諸侯. -言天授我以此也.-
[疏]○傳‘天惟’至‘代者’
○正義曰:‘天惟求汝眾方之賢’, 言欲選賢以爲天子也. ‘大動紂以威’, 謂誅殺紂也.
“天意復開其能顧天可以代”者, 欲使代之.
‘顧’, 謂廻視, 有聖德者, 天廻視之. 詩所謂“乃眷西顧, 此惟與宅.” 與彼‘顧’同, 言天顧文王而與之居, 即此意也.
但謂天顧此人, 人亦顧天, 此云
下云“罔堪顧之”, 謂天顧人也. -言多方人皆無德, 不堪使天顧之.-
傳以顧事通於彼, 故皆以天言之.
[疏]○傳‘天以’至‘諸侯’
○正義曰:周以能行美道, 乃得天顧,
復言“天用教我美道”者, 人之美惡, 何事非天, 由爲美道, 爲天所顧, 以美歸功於天. -言教我用美道, 故得當天意也.-


너희 다방多方이 하늘의 돌보는 명을 감당하지 못하였고, 오직 우리 나라 만이 민중民衆을 잘 받들어
너희 중방眾方 가운데에 하늘의 돌보는 []을 감당할 자가 없고, 오직 우리 나라 만이 민중民衆을 잘 받들었다. 곧 인정仁政으로 인심을 얻은 점을 말한 것이다.
능히 을 감당해 써서 과 하늘을 주관할 수 있기 때문에
나라 문왕文王무왕武王이 능히 을 감당해 써서 과 하늘의 제사를 주관할 수 있기 때문에 천자天子를 맡겼다고 말한 것이다.
하늘이 우리를 아름다운 를 사용하도록 가르치시고, 크게 나라의 을 〈대신〉 주시어 너희 다방多方을 바로잡게 하셨다.
하늘은 우리가 을 썼기 때문에 우리를 아름다운 를 사용하도록 가르쳐서 나라를 대신하게 하고,
크게 우리에게 나라의 왕명王命을 〈대신〉 주어서 너희 중방眾方제후諸侯들을 바로잡게 하였다는 것이다.
의 [天惟]에서 [다방多方]까지
정의왈正義曰:하늘은 하였기 때문에 장차 사람을 뽑아 〈를〉 대신하게 하고자 하였다.
너희 중방眾方에서 현인賢人을 구하여 크게 위엄으로써 를 진동해서 -를 베어버림을 이른다.- 하늘의 돌보는 명을 대신할 수 있는 자를 발굴하여 를 대신하고자 하였지만,
너희 중방眾方의 임금들은 모두 이 없어서 하늘이 돌봄을 감당하지 못하였고, 오직 우리 나라 만이 민중을 잘 받들었다. -능히 인정仁政으로 인심人心을 얻었다.-
문왕文王무왕武王이 충분히 을 써서 과 하늘의 제사를 주관할 수 있었기에 천자天子를 맡긴 것이다. 하늘은 우리가 을 썼기 때문에 우리를 아름다운 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크게 우리에게 나라 을 주어서 -우리에게 명하여 나라를 대신해서 이 되게 하였다.- 너희 중방眾方 제후諸侯를 바로잡게 하였다. -하늘이 우리에게 이 왕위를 주었음을 말한 것이다.-
의 [天惟]에서 [代者]까지
정의왈正義曰:‘현인賢人을 뽑아 천자天子로 삼고자 함을 말한 것이다. ‘주살誅殺함을 이른 것이다.
“하늘의 의중이 다시 하늘의 를 돌아보아 〈를〉 대신할 수 있는 자를 발굴하였다.”란 것은 대신하게 하고자 해서였다.
’는 돌봄을 이르니, 곧 성덕聖德을 가진 자를 하늘이 돌보는 것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황의皇矣〉에 이른바 “이에 권연眷然히 서쪽 땅을 돌보아 이 땅을 주어 거처하게 하셨다.”란 것은 바로 저기의 ‘’와 같은 뜻이니, “하늘이 문왕文王을 돌아보아 이 땅을 주어 거처하게 하였다.”라고 말한 것이 곧 이 뜻이다.
다만 하늘이 이 사람을 돌보고 사람 또한 하늘을 돌봄을 일렀을 뿐이니, 여기서 말한 “開厥顧天”이란 것은 사람이 하늘을 돌봄을 이른 것이고,
아래에서 말한 “다방多方 사람은 모두 이 없어서 하늘의 돌봄을 감당하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에서 돌보는 일을 저기에 통하게 했기 때문에 모두 ‘하늘’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의 [天以]에서 [제후諸侯]까지
정의왈正義曰나라가 능히 아름다운 를 행하기 때문에 이에 하늘의 돌봄을 얻은 것인데,
하늘이 “우리를 아름다운 를 사용하도록 가르친다.”라고 다시 말한 것은 사람의 미악美惡이 무슨 일인들 하늘의 일이 아니겠는가마는, 말미암아 아름다운 를 하는 것을 하늘의 돌보는 바로 삼은 것은 아름다움을 가지고 그 을 하늘에 돌린 것이다. -우리를 아름다운 를 사용하도록 가르쳤기 때문에 하늘의 뜻에 합당하게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王)[子] : 저본에는 ‘王’으로 되어 있으나, 孔疏에 의거하여 ‘子’로 바로잡았다.
역주2 : 蔡傳은 簡擇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3 (伐)[代] : 저본에는 ‘伐’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代’로 바로잡았다.
역주4 (天)[大] : 저본에는 ‘天’으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大’로 바로잡았다.
역주5 (伐)[代] : 저본에는 ‘伐’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代’로 바로잡았다.
역주6 (世)[位] : 저본에는 ‘世’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位’로 바로잡았다.
역주7 開厥顧天 謂人顧天也 : 하늘이 사람을 돌볼 수는 있지만 사람이 하늘을 돌볼 수 있겠는가. ‘顧天’은 蔡傳처럼 ‘天之眷顧’의 倒置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