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嗚呼 嗣王 祗厥身하사 念哉하소서
[傳]言當敬身하고 念祖德이라
聖謨洋洋하니 孔彰하시니이다
[傳]洋洋 美善이니 言甚明可法이라
[疏]‘聖謨’至‘孔彰’
○正義曰:此歎聖人之謨洋洋美善者, 謂上湯作官刑, 所言三風十愆, 令受下之諫, 是善言甚明可法也.
惟上帝 不常하사 作善이어든 降之百祥하시고 作不善이어든 降之百殃하시나니
[傳]祥 善也 天之禍福 惟善惡所在 不常在一家
爾惟德이어든 어다 萬邦 惟慶이니이다
[傳]修德無小 則天下賚慶이라
爾惟不德이어든 어다 墜厥宗하리이다
[傳]苟爲不德無大 言惡有類 以類相致 必墜失宗廟 此伊尹至忠之訓이라
[疏]‘爾惟’至‘厥宗’
○正義曰:又戒王, 爾惟修德而爲善, 德無小, 德雖小猶萬邦賴慶, 況大善乎.
爾惟不德而爲惡, 惡無大, 惡雖小猶墜失其宗廟, 況大惡乎.
[疏]○傳‘苟爲’至‘之訓’
○正義曰:‘爾惟德’, 謂修德善也.
‘爾惟不德’, 謂不修德爲惡也. 易繫辭曰 “善不積不足以成名, 惡不積不足以滅身.”
乃謂大善始爲福, 大惡乃成禍. 此訓作勸誘之辭,
小善萬邦猶慶, 況大善乎.
而爲惡無大, 言小惡猶墜厥宗, 況大惡乎. 此經二事, 辭反而意同也. 傳“言惡有類”者, 解小惡墜宗之意.
初爲小惡, 小惡有族類, 以類相致, 至於大惡, 若致於大惡, 必墜失宗廟, 言至於大惡乃墜, 非小惡卽能墜也.
晉語云 “趙文子冠, 見韓獻子, 曰 ‘戒之, 此謂成人. 成人在始, 始與善, 善進, 不善蔑由至矣. 始與不善, 不善進, 善亦蔑由至矣.’”
言惡有類, 以類相致也. 今太甲初立, 恐其親近惡人, 以惡類相致禍害, 故以言戒之. 此是伊尹至忠之訓也.
肆命
[傳]陳天命以戒太甲이러니이라
徂后
[傳]陳往古明君以戒러니이라


아! 嗣王께서는 몸을 경건히 하고 깊이 생각하소서.
몸을 경건히 하고 조상의 德을 유념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성인의 모책이 洋洋하니 嘉言이 매우 밝으십니다.
洋洋은 美善이니, 善言이 매우 밝아서 법으로 삼을 만하다는 것이다.
經의 [聖謨]에서 [孔彰]까지
○正義曰:여기서 성인의 모책이 洋洋함을 찬탄한 것은 곧 위에서 湯임금이 제작한 官刑에 말한 세 가지의 풍속, 열 가지의 愆過와 아랫사람의 간언을 받아들이도록 한 것을 이르니, 이것이 바로 善言이 매우 밝아서 법으로 삼을 만한 것이다.
上帝의 명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어서, 善을 행하면 온갖 祥瑞를 내려주시고, 不善을 행하면 온갖 災殃을 내려주시니,
祥은 善의 뜻이다. 하늘의 禍福은 오직 善惡의 소재를 따를 뿐이니, 어느 한 집안에만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당신께서는 德인 것이거든 작은 것도 작은 것이라 여기지 말고 행하소서. 온 나라의 경사스러운 일일 것입니다.
德을 닦음에 있어서는 작은 덕이라도 작게 여기지 말고 닦는다면 온 천하가 힘입어 경사스러울 것이란 말이다.
당신께서는 德이 아닌 것이거든 큰 것이 아닌 작은 것이라도 행하지 마소서. 그 宗廟를 실추시킬 것입니다.”
진실로 德이 아닌 것이거든 큰 것이 아닌 작은 것이라도 행하지 말라는 것은 惡에 類가 있는 법이니 類로써 서로 모이면 반드시 宗廟를 실추시킨다는 말이다. 이는 伊尹의 지극히 충성스런 교훈이다.
經의 [爾惟]에서 [厥宗]까지
○正義曰:또 王을 경계하기를 “당신께서 德을 닦아 善을 함에 있어서는 德인 것이거든 작은 것도 작은 것이라 여기지 말고 행하소서. 德이 비록 작더라도 오히려 온 나라가 힘입어 경사스러울 것입니다.”라고 하였으니, 하물며 큰 善이야 오죽하겠는가.
“당신께서 德을 닦지 않아 惡을 함에 있어서는 惡이 큰 것이 아니라고 여겨 행하지 마소서. 惡이 비록 작더라도 오히려 종묘사직을 망칠 것입니다.”라고 하였으니, 하물며 큰 惡이야 오죽하겠는가.
傳의 [苟爲]에서 [之訓]까지
○正義曰:[爾惟德] 德을 닦아 善을 함을 이른 것이다.
[爾惟不德] 德을 닦지 않아 惡을 함을 이른 것이다. ≪周易≫ 〈繫辭傳 下〉에 “善이 쌓이지 않으면 족히 이름을 이루지 못하고, 惡이 쌓이지 않으면 족히 몸을 멸하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바로 큰 善이어야 비로소 福을 만들 수 있고, 큰 惡이어야 禍를 이룰 수 있음을 이른 것이다. 이 訓은 권유하는 말로 되어 있으니, “善을 함에 있어서는 작은 善이라도 작게 여기지 말고 행해야 한다.”라고 한 것은 작은 善도 萬邦이 오히려 경사스러울 것인데 하물며 큰 善이야 오죽하겠느냐는 말이고,
“惡을 함에 있어서는 큰 惡이 아니라고 여겨 행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한 것은 작은 악도 오히려 그 종묘를 실추시킬 것인데 하물며 큰 악이야 오죽하겠느냐는 말이다. 이 經文의 두 가지 일은 말은 반대되지만 뜻은 동일한 것이다. 傳에서 “악에 類가 있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한 것은 작은 악이 종묘를 실추시킨다는 뜻을 해석한 것이다.
처음에는 작은 악이지만 작은 악에는 族類가 있어 類끼리 서로 모이면 큰 악에 이르게 되니, 만일 큰 악에 이르면 반드시 종묘를 실추시키므로 “큰 악에 이르러야 종묘를 실추시킬 수 있지, 작은 악이 곧바로 종묘를 실추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國語≫ 〈晉語〉에 “趙文子가 冠禮를 치르고 나서 韓獻子를 찾아뵈니, 한헌자가 말하기를 ‘경계할지어다. 관례를 치르면 成人이라 이른다. 成人은 처음부터 선한 사람과 어울려야 할 의무가 있으니, 처음부터 선한 사람과 어울리면 선한 사람이 선한 사람을 나오게 하기 때문에 불선한 사람이 이를 길이 없다. 반대로 처음부터 불선한 사람과 어울리면 불선한 사람이 불선한 사람을 나오게 하기 때문에 선한 사람 또한 이를 길이 없다.’ 했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惡에 類가 있어서 類끼리 서로 이르게 함’을 말한 것이다. 지금 太甲이 갓 즉위했으므로 그가 악한 사람을 친근히 하여 惡類가 서로 禍害를 초래할까 염려하였기 때문에 말로써 경계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伊尹의 지극히 충성스러운 교훈이다.
天命을 진술하여 太甲을 경계한 내용이었는데, 망실되었다.
옛날의 明君을 진술하여 경계한 내용이었는데, 망실되었다.


역주
역주1 聖謨‧嘉言 : 蔡傳에서는 “謨는 그 謀를 이르고, 言은 그 訓을 이른다.[謨謂其謀 言謂其訓]”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善] : 저본에는 없으나, 아래 疏文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罔小 : 蔡傳에서는 “작은 善이라고 해서 아니 하지 말아야 한다.[勿以小善而不爲]”라고 풀이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金長生은 “朱子는 ‘「罔小」는 작게 여길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풀이하였는데, 蔡註는 이와 다르게 하였다.”라고 하였다. ≪經書辨疑 書傳≫
역주4 罔大 : 洪奭周는 “나는 가만히 생각하건대, ‘罔小’는 확충해서 커지게 하는 것이고, ‘罔大’는 막아서 자라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른바 ‘不德’이란 꼭 일이나 행위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미세한 一念이라도 善에서 나오지 않으면 모두 나라를 뒤엎고 종묘를 망가뜨리는 싹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므로 君子가 몸을 닦음에 있어서는 반드시 一念의 발출을 살펴서 善이거든 확충해 나가면 天下의 善을 이루 다 쓸 수가 없을 것이고, 不善이거든 미세할 때에 끊어버리면 마음속에 터럭만한 不善도 없을 것이니, 이것이 이른바 ‘罔小’와 ‘罔大’이다. 반드시 작을 때에 끊어버려야 큼에 이르지 않는 것이다. 만일 ‘德이 아닌 것이거든 작게 해야 되지 크게 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면 이는 말을 가지고 뜻을 해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尙書補傳≫
역주5 (以)[爲] : 저본에는 ‘以’로 되어 있으나, 疏의 ‘爾惟修德而爲善’에 의거하여 ‘爲’로 바로잡았다.
역주6 爲善無小……辭反而意同也 : 林之奇는 “經에서 ‘罔小’라고 말한 것은 바로 큰 것이고, ‘罔大’라고 말한 것은 바로 작은 것이다. 그러므로 漢나라 孔氏가 ‘德을 닦음에 있어서는 작은 덕이라도 작게 여기지 말고 닦을 것이며, 德이 아닌 것이거든 큰 것이 아닌 작은 것이라도 행하지 말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經의 본뜻이다. 그런데 어떻게 ‘말은 반대되나 뜻은 같다.’고 할 수 있겠는가. 이것을 가지고 正義의 說이 經의 뜻만 잃은 것이 아니라 또한 先儒의 뜻까지 잃은 것임을 알 수 있으니, 분변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하였다. ≪尙書全解≫
역주7 爲善無小 言 : 저본 및 단소본 등에 모두 ‘言爲善無小’로 되어 있으나, 앞뒤 文義로 보아 ‘言’자가 爲善無小 뒤에 와야 하기에 옮겨서 번역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