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恒衛旣從이라 大陸旣作하니라
[傳]二水已治하여 從其故道 大陸之地 已可耕作이라
[疏]傳‘二水’至‘耕作’
○正義曰:二水汎溢漫流已治, 從其故道, 故今已可耕作也. 靑州‘濰‧淄其道’, 與此‘恒‧衛旣從’, 同是從故道也.
荊州‘雲土‧夢作乂’, 與此‘大陸旣作’, 同是水治可耕作也. 其文不同, 史異辭耳, 無義例也.
壺口與雍州之山連文, 故傳言‘壺口在冀州’. 此無所嫌, 故不言在冀州. 以下皆如此也.
地理志云 “恒水出常山上曲陽縣, 東入滱水, 衛水出常山靈壽縣, 東北入滹沱. 大陸在鉅鹿縣北.”
釋地十藪云 “晉有大陸.” 孫炎等皆云 “今鉅鹿縣北廣河澤也.” 郭璞云 “廣河, 猶大陸, 以地名言之.” 近爲是也.
春秋“魏獻子畋于大陸, 焚焉, 還, 卒于甯.” 杜氏春秋說云 “嫌鉅鹿絶遠, 以爲汲郡修武縣吳澤也”. 甯卽修武也.
然此二澤相去其遠. 所以得爲大陸者, 以爾雅“廣平曰陸.” 但廣而平者則名大陸, 故異所而同名焉.
然此二澤地形卑下, 得以廣平爲陸者, 澤雖卑下, 旁帶廣平之地, 故統名焉. 故大陸澤名廣河, 以旁近大陸故也.


恒水와 衛水가 이미 〈다스려져 예전〉 물길을 따르기 때문에 大陸이 이미 경작할 수 있게 되었다.
〈恒水와 衛水〉 두 물이 이미 다스려져서 예전 물길을 따르기 때문에, 大陸의 땅이 이미 경작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傳의 [二水]에서 [耕作]까지
○正義曰:〈恒水와 衛水〉 두 물이 범람하여 질펀하게 흐르던 것이 이미 다스려져서 그 예전 물길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지금은 이미 경작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靑州의 “濰水와 淄水가 예전 물길을 따른다.”라고 한 것과 여기의 “恒水와 衛水가 이미 예전 물길을 따른다.”라고 한 것은 모두 예전 물길을 따라 흐르는 것이다.
荊州의 “雲澤에서 흙이 나오고 夢澤이 다스려졌다.”라고 한 것과 여기의 “大陸이 벌써 농사를 짓게 되었다.”라고 한 것은 모두 홍수가 다스려져서 경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문체가 같지 않은 것은 史官이 말을 다르게 했을 뿐 정해진 義例는 없다.
壺口山과 雍州의 山(梁山과 岐山)을 이어서 글을 이루었기 때문에 孔傳에서 “壺口山은 冀州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여기서는 의심될 것이 없기 때문에 ‘冀州에 있다.’라고 말하지 않은 것이다. 이하에서도 모두 이와 같이 다루었다.
≪漢書≫ 〈地理志〉에 “恒水는 常山의 上曲陽縣에서 나와 동쪽으로 滱水에 들어가고, 衛水는 常山의 靈壽縣에서 나와 동북쪽으로 滹沱에 들어간다. 大陸은 鉅鹿縣 북쪽에 있다.”라고 하였다.
≪爾雅≫ 〈釋地〉의 十藪條에 “晉나라에는 大陸이 있었다.”라고 하였는데, 孫炎 등은 모두 “지금 鉅鹿縣 북쪽에 있는 廣河澤이다.”라 하고, 郭璞은 “廣河는 大陸과 같으므로 땅 이름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가장 근리한 말이다.
≪春秋≫ 定公 원년 조의 ≪左氏傳≫에 “魏나라 獻子가 大陸에서 사냥을 하다가 화상을 입고 돌아오는 도중에 甯 땅에서 죽었다.”라고 하였는데, 杜氏(杜預)의 ≪春秋說≫에 “鉅鹿縣이 너무 먼 것이 의심스러우니, 汲郡 修武縣의 吳澤으로 생각된다.”라고 하였으니, 甯이 곧 修武縣이다.
그러나 이 大陸澤과 吳澤은 서로의 거리가 너무도 멀다. 大陸이 될 수 있는 이유는 ≪爾雅≫에 “廣平한 곳을 陸이라 한다.”라고 했기 때문인데, 단지 광평하기만 하면 ‘大陸’이란 이름을 붙였으므로 장소는 달라도 이름은 같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 〈大陸澤과 吳澤〉 두 못은 지형이 낮은데도 광평하다고 해서 陸이라고 한 것이니, 못은 비록 낮지만 곁에 광평한 땅을 띠고 있기 때문에 통칭한 것이다. 그러므로 大陸澤을 廣河라고 이름하니, 곁으로 넓은 땅에 가까이 있기 때문이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