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 順考古道而言之
曰 文命 敷於四海하고 祗承于帝하시다
[傳]言其外布文德敎命하고 内則敬承堯舜이라
○文命 孔云 文德敎命也라하고 先儒云 文命 禹名이라하니라
[疏]‘曰若’至‘于帝’
○正義曰:史將錄禹之事, 故爲題目之辭曰 “能而言之者, 是大功之禹也.”
此禹能以文德敎命布陳於四海, 又能敬承堯舜. 外布四海, 內承二帝, 言其道周備.
[疏]○傳‘順考’至‘言之’
○正義曰:典是常行, 謨是言語, 故傳於典云, 於謨云, 皆是順考古道也.
[疏]○傳‘言其’至‘堯舜’
○正義曰:‘敷於四海’, 卽敷此文命, 故言‘外布文德敎命’也. 四海, 擧其遠地, 故傳以外內言之. 祗, 訓敬也.
禹承堯舜二帝, 故云‘敬承堯舜’. 傳不訓祗而直言敬, 以易知而略之.
曰后克艱厥后하며 臣克艱厥臣이라사 政乃乂하여 黎民 敏德하리이다
[傳]敏 疾也 能知爲君難하고 爲臣不易하면 則其政治하여 而衆民皆疾修德이라


옛 道를 따라 상고해서 〈말씀하신 분은〉 大禹셨다.
옛 道를 따라 상고해서 말씀하셨다는 것이다.
〈밖으로는〉 文德과 敎命을 四海에 펴고, 〈안으로는〉 堯임금과 舜임금을 경건하게 받드셨다.
밖으로는 文德과 敎命을 펴고, 안으로는 堯임금과 舜임금을 경건하게 받든 일을 말한 것이다.
○文命에 대하여 孔安國은 “文德과 敎命이다.”라 하고, 先儒는 “文命은 禹의 이름이다.”라고 하였다.
經의 [曰若]에서 [于帝]까지
○正義曰:史官이 장차 禹의 일을 기록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題目의 말을 만들어서 “능히 순하게 따라서 옛 道를 상고하여 말씀하신 분은 바로 큰 공을 세운 禹이셨다.”라고 하였다.
이는 禹가 능히 文德과 敎命을 四海에 펴고, 또 능히 堯임금과 舜임금을 경건히 받든 것이다. 밖으로는 四海에 펴고, 안으로는 堯임금과 舜임금을 받들었다는 것은 그 道가 두루 갖추어짐을 말한 것이다.
○傳의 [順考]에서 [言之]까지
○正義曰:典은 常行을 뜻하고, 謨는 言語를 뜻한다. 그러므로 孔傳에서 典에서는 ‘行之’라 하고, 謨에서는 ‘言之’라고 하였으니, 모두 옛 道를 따라 상고한 것이다.
○傳의 [言其]에서 [堯舜]까지
○正義曰:[敷於四海] 바로 이 文命을 펴는 것이기 때문에 ‘밖으로는 文德과 敎命을 폈다.’라고 말한 것이다. 四海는 먼 땅을 든 것이기 때문에 孔傳에서 外와 內를 가지고 말한 것이다. 祗는 敬의 뜻으로 풀이한다.
禹는 堯임금과 舜임금을 받들었기 때문에 “堯임금과 舜임금을 경건히 받들었다.”라고 한 것이다. 孔傳에서 〈祗承于帝의〉 ‘祗’를 〈敬의 뜻이라고〉 풀이하지 않고, 곧장 〈“堯임금과 舜임금을 경건히 받들어”라고 하여〉 ‘敬’을 말한 것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 것이다.
禹가 말하였다. “임금은 임금 노릇 하는 일을 어렵게 여기고 신하는 신하 노릇 하는 일을 어렵게 여겨야 정사가 잘 다스려져서 백성들이 빨리 德을 닦을 것입니다.”
敏은 疾(빠름)의 뜻이다. 임금 노릇 하기 어렵고 신하 노릇 하기 어렵다는 것을 능히 알면 그 정사가 다스려져서 백성들이 모두 빨리 德을 닦을 것이라는 말이다.


역주
역주1 曰若稽古大禹 : 蔡傳에서는 ‘曰若’을 發語詞로 보아 ‘옛 大禹를 살펴보건대’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順而考案古道 : 孔傳은 〈堯典〉‧〈舜典〉‧〈大禹謨〉에서 모두 ‘順考古道(옛 道를 따라 상고함)’로 풀이하였는데, 孔疏에서는 〈堯典〉에서는 ‘順考校古道(옛 道를 따라 상고함)’로, 〈舜典〉과 〈大禹謨〉에서는 ‘順而考案古道(순하게 따라서 옛 道를 상고함)’로 풀이하였다.
역주3 行之 : 〈堯典〉과 〈舜典〉에 나오는 “順古道而行之”의 ‘行之”를 말한 것이다.
역주4 言之 : 〈大禹謨〉에 나오는 “順古道而言之”의 ‘言之’를 말한 것이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