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導渭하시되하여
[傳]鳥鼠共爲雌雄하여 同穴處此山일새 遂名山曰鳥鼠 渭水出焉이라
[疏]傳‘鳥鼠’至‘出焉’
○正義曰:釋鳥云 “鳥鼠同穴, 其鳥爲䳜, 其鼠爲鼵.” 李巡曰 “䳜鼵, 鳥鼠之名, 共處一穴, 天性然也.”
郭璞曰 “鼵如人家鼠而短尾, 䳜似鵽而小, 黃黑色. 穴入地三四尺, 鼠在內, 鳥在外, 今在隴西首陽縣有鳥鼠同穴山.
尙書孔傳云‘共爲雄雌’, 張氏地理記云 ‘不爲牝牡’.” 璞竝載此言, 未知誰得實也.
地理志云 “隴西首陽西南有鳥鼠同穴山, 渭水所出, 至京兆北船司空縣入河, 過郡四, 行千八百七十里.
東會于灃하시며 又東會于涇하시며
[傳]灃水自南하고 涇水自北而合이라
又東過漆沮하여 入于河하시다
[傳]漆沮 二水名이요 亦曰洛水 出馮翊北이라
[疏]傳‘漆沮’至‘翊北’
此云‘會于涇’, ‘又東過漆沮’, 是漆沮在涇水之東, 故孔以爲“洛水一名漆沮.”
水經“沮水出北池直路縣, 東入洛水.” 又云 “鄭渠在太上皇陵東南, 濯水入焉, 俗謂之漆水, 又謂之漆沮, 其水東流, 注於洛水.”
志云 “出馮翊懷德縣, 東南入渭.” 以水土驗之, 與毛詩‘古公自土沮漆’者別也.
彼漆卽扶風漆水也, 彼沮則未聞.


渭水를 유도하시되 鳥鼠同穴山으로부터 하여
새와 쥐가 함께 암수가 되어 함께 이 산에 구멍을 파고 살았기 때문에 드디어 이 산을 ‘鳥鼠’로 이름지었고, 渭水가 〈이 산에서〉 나온다.
傳의 [鳥鼠]에서 [出焉]까지
○正義曰:≪爾雅≫ 〈釋鳥〉에 “새와 쥐가 한 구멍에서 사는데 그 새는 䳜요, 그 쥐는 鼵이다.”라고 하였다. 李巡은 “䳜鼵은 새와 쥐의 이름인데 함께 한 구멍에서 거처하는 것은 천성이 그러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郭璞은 “鼵은 人家의 쥐와 같으면서 꼬리가 짧고, 䳜는 참새와 같으면서 작고 黃黑色을 띤다. 구멍은 땅속으로 3,4尺을 들어가며, 쥐는 안에 자리 잡고 있고 새는 밖에 자리 잡고 있다는데, 지금 隴西郡 首陽縣에 鳥鼠同穴山이 있다.
≪尙書≫ 孔傳에는 ‘〈새와 쥐가〉 함께 암수가 되었다.’고 하고, 張氏의 ≪地理記≫에는 ‘암수 구실을 하지 못한다.’고 했다.”라고 하였다. 郭璞은 이 말들을 아울러 기재하였으니,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알지 못하겠다.
≪漢書≫ 〈地理志〉에 “隴西郡 首陽縣 서남쪽에 鳥鼠同穴山이 있는데, 渭水가 〈그 산에서〉 나와서 京兆尹 북쪽 船司空縣에 이르러 河水로 들어간다. 4개 郡을 지나 1,870리를 흘러간다.”라고 하였다.
동쪽으로 灃水에 모이게 하시며, 또 동쪽으로 涇水에 모이게 하시며,
灃水는 남쪽으로부터, 涇水는 북쪽으로부터 합한다.
또 동쪽으로 漆水와 沮水를 지나 河水로 들어가게 하셨다.
漆沮는 두 물 이름이고, 또한 洛水라고도 하는데, 馮翊의 북쪽에서 나온다.
傳의 [漆沮]에서 [翊北]까지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漆水는 右扶風 漆縣에서 나온다.”라고 하였다. ≪十三州記≫에 의하면 “漆水는 岐山으로부터 동쪽으로 흘러 渭水로 들어간다.”라고 하였으니, 漆沮와 같지 않은 것이다.
여기서 ‘涇水에 모이게 하며’라 하고, ‘또 동쪽으로 漆沮를 지나’라고 하였으니, 漆沮가 涇水의 동쪽에 있기 때문에 孔安國이 “洛水一名漆沮(洛水는 일명 漆沮라 한다.)”라 한 것이다.
≪水經≫에 “沮水는 北池郡 直路縣에서 나와서 동쪽으로 흘러 洛水로 들어간다.”라 하고, 또 “鄭渠가 太上皇陵 동남쪽에 위치해 있는데, 濯水가 유입되므로 세속에서 漆水라 이르고, 또 漆沮라고 이르는데, 그 물이 동쪽으로 흘러 洛水로 주입된다.”라고 하였다.
〈地理志〉에 “馮翊郡 懷德縣에서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渭水로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水土를 가지고 증험하면 ≪毛詩≫의 ‘古公自土沮漆(古公亶父가 沮水와 漆水에 터전을 잡음으로부터)’과 구별된다.
저기의 漆水는 곧 右扶風의 漆水이지만, 저기의 沮水는 아직 듣지 못하였다.


역주
역주1 鳥鼠同穴 : 孔傳에서는 ‘鳥鼠同穴’을 하나의 산 이름으로 보았고, 蔡傳에서는 鳥鼠山과 同穴山 두 산의 이름으로 보았다.
역주2 正義曰……彼沮則未聞 : 孔疏에서 위의 ‘漆沮旣從’에서는 ‘漆沮’를 漆水와 沮水 두 물로 보고, 여기서는 ‘漆沮’를 한 물로 보았으니, 四庫本의 ≪尙書注疏≫의 〈考證〉에서 이 점을 지적하였다. 279쪽 주 1)의 ‘本爲二水’ 참조.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