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嗚呼 方伯師長百執事之人 어다
[傳]國伯 二伯及州牧也 衆長 公卿也 言當庶幾이라


아! 方伯과 師長과 모든 일을 맡은 사람들은 응당 부디 모두 잘못을 바로잡아 善政을 해야 한다.
國伯은 바로 二伯(東伯‧西伯)과 州牧이고, 衆長은 바로 公卿이다. 응당 부디 서로 잘못을 바로잡아가며 함께 善政을 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尙皆隱哉 : 蔡傳에서는 隱을 痛의 뜻으로 보아 “부디 모두가 마음에 隱痛을 갖도록 하라.[庶幾皆有所隱痛於心哉]”고 풀이하였다.
역주2 相隱括共爲善政 : 兪樾은 “枚賾이 ‘隱’을 隱括로 풀이한 것은 옳으니, 이는 필시 古訓이 서로 이어져옴이 이와 같기 때문에 枚賾이 이를 절취한 것이다. 그러나 함께 善政을 하여 족히 이루는 것으로 여긴 것은 그 뜻이 아니다. ‘隱括’은 檃括과 같으니, ≪荀子≫ 〈性惡〉에서 楊倞이 注를 달기를 ‘檃括은 굽은 나무를 바로잡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耿 땅 풍속이 워낙 사치를 숭상하였다. 盤庚이 도읍을 옮긴 목적은 본래 여기에 있었기 때문에 이미 도읍을 옮긴 뒤에는 곧 법도를 가지고 바로잡으려 했던 것이다.”라고 하였다. ≪群經平議≫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