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고 敢恭生生 鞠人謀人之保居 敍欽하노라
[傳]肩 任也 我不任貪貨之人하고 敢奉用進進於善者 人之窮困 能謀安其居者 則我式序而敬之니라
[疏]‘嗚呼’至‘敍欽’
○正義曰:言遷事已訖, 故嘆而勅之 “嗚呼. 國之長伯, 及衆官之長與百執事之人, 庶幾皆相與隱括共爲善政哉.
我其勉力大助汝等爲善, 汝當思念愛敬我之衆民. 我不任用好貨之人,
有人果敢奉用進進於善, 見窮困之人, 能謀此窮困之人安居者, 我乃次序而敬用之.
[疏]○傳‘國伯’至‘善政’
○正義曰:‘邦伯’, 邦國之伯, 諸侯師長, 故爲東西二伯及九州之牧也.
鄭玄注禮記云 “殷之州長曰伯, 虞夏及周皆曰牧.” 此殷時而言‘牧’者, 此乃鄭之所約, 孔意不然, 故總稱‘牧’也.
‘師’訓爲衆, ‘衆長’, 衆官之長, 故爲三公六卿也. 其‘百執事’, 謂大夫以下, 諸有職事之官皆是也.
此摠勅衆臣, 故二伯已下及執事之人, 皆戒之也. 釋言云 “庶幾, 尙也.” 反覆相訓, 故‘尙’爲庶幾.
‘庶’, 幸也. ‘幾’, 冀也. ‘隱’, 謂隱審也. 幸冀相與隱審檢括, 共爲善政, 欲其同心共爲善也.
‘隱括’必是舊語, 不知本出何書. 何休公羊序云 “隱括使就繩墨焉.”
[疏]○傳‘簡大’至‘衆民’
○正義曰:‘簡 大’, 釋詁文. 又云 “相‧助, 慮也.” 俱訓爲, 是‘相’得爲助也.
盤庚欲使群臣同心爲善, 欲勉力大佐助之, 使皆念敬我衆民也.
[疏]○傳‘肩任’至‘敬之’
○正義曰:釋詁云 “肩, 勝也.” 舍人曰 “肩, 强之勝也.” 强能勝重, 是堪任之義, 故爲任也. 我今不委任貪貨之人.
以‘恭’爲奉, 人有向善而心不決志, 故美其人能果敢奉用進進於善者, 言其人好善不倦也. ‘鞠’訓爲窮, ‘鞠人’, 謂窮困之人.
‘謀人之保居’, 謂謀此窮人之安居. 若人之窮困, 能謀安其居, 愛人而樂安存之者, 則我式序而敬之.
詩云 “式序在位.” 言其用次序在官位也. 鄭‧王皆以‘鞠’爲養, 言“能謀養人安其居者, 我則次序而敬之.” 與孔不同.


朕은 財貨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임을 맡기지 않고, 과감하게 善에 매진하는 사람과 곤궁한 사람을 보거든 능히 그들을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이면 〈나는〉 차서에 따라 경건하게 임용하겠노라.
肩은 任의 뜻이다. 나는 財貨를 탐하는 사람을 임용하지 않고, 과감하게 善에 매진하는 사람과 곤궁한 사람을 보거든 능히 그들을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이면 나는 차서에 따라 경건하게 〈임용〉하겠노라.
經의 [嗚呼]에서 [敍欽]까지
○正義曰:도읍을 옮기는 일이 이미 끝났기 때문에 탄식하며 경계하기를 “嗚呼라. 나라의 長伯 및 뭇 관원의 長과 百執事들은 부디 모두 서로 더불어 隱括하여 함께 善政을 하도록 하라.
나는 힘써 너희들이 善을 하도록 크게 도울 것이니, 너희들은 응당 우리의 뭇 백성을 思念하고 愛敬해야 한다. 나는 財貨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임을 맡기지 않고,
과감하게 善에 매진하는 사람과 곤궁한 사람을 보거든 능히 그들을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이 있으면 나는 차서에 따라 경건하게 임용할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傳의 [國伯]에서 [善政]까지
○正義曰:‘邦伯’은 邦國의 伯과 諸侯의 師長이기 때문에 東‧西 二伯 및 九州의 牧으로 여긴 것이다.
鄭玄이 ≪禮記≫에 注를 달기를 “殷나라는 州長을 ‘伯’이라 했고, 虞나라와 夏나라 및 周나라는 모두 ‘牧’이라 했다.”라고 하였다. 여기는 殷나라 시대인데 ‘牧’이라 말한 것은, 이는 곧 鄭玄이 요약한 것이고, 孔安國의 생각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총칭하여 ‘牧’이라고 한 것이다.
‘師’는 衆으로 풀이하니, ‘衆長’은 뭇 벼슬아치의 長이기 때문에 三公과 六卿으로 여긴 것이다. ‘百執事’는 大夫 이하 모든 職事를 가진 벼슬아치가 모두 이러한 자들이다.
여기서는 뭇 신하를 총괄하여 신칙하였기 때문에 二伯 이하 및 執事의 사람들을 모두 경계하였다. ≪爾雅≫ 〈釋言〉에 “‘庶幾’는 尙(부디)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반복해서 서로 풀이하였기 때문에 ‘尙’을 庶幾라고 하였다.
‘庶’는 幸의 뜻이고, ‘幾’는 冀의 뜻이다. ‘隱’은 은밀히 살핌을 이른다. 서로 더불어 깊이 살피고 유심히 점검하여 함께 善政을 하기를 바란다는 말이니, 곧 마음을 같이 하여 함께 善을 하도록 하고자 해서이다.
‘隱括’은 필시 舊語일 텐데, 본디 어느 책에서 나왔는지 알 수 없다. 何休의 〈公羊傳解詁序〉에 “隱括使就繩墨焉(바로잡아서 먹줄에 맞게 했다.)”라고 하였다.
○傳의 [簡大]에서 [衆民]까지
○正義曰:[簡 大] ≪爾雅≫ 〈釋詁〉의 글이다. 또 “相과 助는 慮의 뜻이다.”라고 하여 모두 ‘慮’로 풀이하였으니, 이 ‘相’은 助의 뜻이 될 수 있다.
盤庚은 신하들로 하여금 마음을 같이해서 善을 하게 하려고 하였으니, 곧 힘을 써 크게 도와서 모두 우리의 뭇 백성을 생각하고 공경하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傳의 [肩任]에서 [敬之]까지
○正義曰:≪爾雅≫ 〈釋詁〉에 “肩은 勝의 뜻이다.”라고 하였고, 郭舍人의 注에 “肩은 强이 이긴 것이다.”라고 하였다. 强이 능히 重을 이기니 이는 堪任의 뜻이기 때문에 ‘任의 뜻이다.’라고 한 것이다. 그래서 ‘나는 지금 재화를 탐하는 사람에게 위임하지 않겠다.’라고 한 것이다.
‘恭’을 奉의 뜻으로 여기어, 사람이 善으로 향해 가더라도 마음에 결단성이 없기 때문에 그 사람이 능히 과감하게 善에 매진하는 것을 아름답게 여기는 것은, 그 사람이 善을 좋아하여 게으름을 부리지 않는 점을 말한 것이다. ‘鞠’을 窮의 뜻으로 풀이하니, ‘鞠人’은 窮困한 사람을 이른다.
[謀人之保居] 이런 곤궁한 사람이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함을 이른다. 만일 사람의 곤궁함을 보거든 그들이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능히 모색하고, 사람을 사랑하여 즐겁고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보존시키는 사람이면 나는 순서에 따라 임용하여 공경한다는 것이다.
≪詩經≫ 〈周頌 時邁〉에 “지위에 있는 자들을 차서대로 앉힌다.”라고 하였으니, 차서에 따라 官位에 둠을 말한 것이다. 鄭玄과 王肅은 모두 ‘鞠’을 養의 뜻으로 보아 “능히 사람을 길러주어 그들을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이면 나는 차서에 따라 임용하여 공경하겠노라.”고 말하였으니, 孔安國의 해석과 같지 않다.


역주
역주1 朕不肩好……敍欽 : 蔡傳에서는 ‘生生’을 生業에 종사한다는 뜻으로, ‘鞠’을 養의 뜻으로 보아, “나는 財貨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임을 맡기지 않고, 오직 백성을 공경함에 용감하고 생업에 종사함을 생각해서 사람들을 길러주고 사람들의 편안한 삶을 도모하는 사람만을 나는 벼슬에 서용하고 존경하여 예우하겠노라.[我不任好賄之人 惟勇於敬民 以其生生爲念 使鞠人謀人之保居者 吾則敍而用之 欽而禮之]”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用降我凶德……朕不肩好貨 : 洪奭周는 “〈盤庚 下篇〉은 대체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으니, 이를테면 ‘用降我凶德’과 ‘亂越我家’ 따위 같은 것이 모두 말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였고, ‘肆予沖人’과 ‘朕不肩好貨’ 두 文節은 더욱 이해할 수 없으니, 마땅히 의심스런 부분으로 치부해야 할 것이다. 蔡傳의 해석은 대체로 牽强附會한 것인데, ‘宏玆賁’을 ‘너희를 위하여 이 큰 사업을 확대하려 한다.’고 풀이한 것은 더욱 본뜻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尙書補傳≫
역주3 : 두 ‘慮’자에 대하여 浦鏜은 모두 “‘勴’자의 잘못이다.”라고 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