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汝萬民 乃不하여 曁予一人으로 猷同心하면
[傳]不進進하여 謀同心徙
先后丕降與汝罪疾하사 曰 曷不曁朕幼孫으로오하시리니
[傳]言非但罪我 亦將罪汝 幼孫 盤庚自謂 同心이라
[傳]湯有明德在天하여 見汝情하고 下罰汝하리니 汝無能道 言無辭
[疏]‘失于’至‘能迪’
○正義曰:盤庚以民不願遷, 言神將罪汝, 欲懼之使從己也.
我所以必須徙者, 我今失於政敎, 陳久於此, 民將有害,
高德之君成湯, 必忿我不徙, 大乃重下罪疾於我, 曰 “何爲殘虐我民而不徙乎.”
我旣欲徙, 而汝與萬民, 乃不進進與我一人謀計同心,
則我先君成湯, 大下與汝罪疾, 曰 “何故不與我幼孫盤庚, 有相親比同心徙乎.”
汝不與我同心, 故湯有明德, 從上見汝之情, 其下罪罰於汝, 汝實有罪, 無所能道. 言無辭以有解說也.
[疏]○傳‘崇重’至‘徙乎’
○正義曰:‘崇 重’, 釋詁文. 又云 “塵, 久也.” 孫炎曰 “陳居之久, 久則生塵矣.” 古者‘陳’‧‘塵’同也, 故‘陳’爲久之義.
[疏]○傳‘不進’至‘心徙’
○正義曰:物之生長, 則必漸進, 故以‘生生’爲進進. 王肅亦然.
‘進進’是同心願樂之意也. 此實責群臣而言‘汝萬民’者, 民心亦然, 因博及之.
[疏]○傳‘湯有’至‘無辭’
○正義曰:訓‘爽’爲明, 言其見下, 故稱‘明德’. 詩稱“三后在天.” 死者精神在天, 故言下見汝.


너희 만백성이 진취적으로 나아가 나 한 사람과 마음을 같이하기를 도모하지 않으면,
진취적으로 나아가 마음을 같이하여 옮기기를 도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先后께서 너희들에게 罪疾을 무겁게 내리며 말씀하기를 ‘어찌하여 朕의 어린 손자와 마음을 같이 하지 않는가.’라고 하실 것이다.
단지 나에게만 죄를 줄뿐 아니라, 또한 장차 너희에게도 죄를 줄 것이란 말이다. 幼孫은 盤庚 자신을 이른다. 比는 마음을 같이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成湯이 爽明한 德을 가지고 위에 계시어 너희에게 벌을 내리실 것이니, 너희는 뭐라고 해명할 수 없을 것이다.
成湯이 明德을 가지고 하늘에 계시면서 너희 실정을 굽어보고 너희에게 벌을 내리실 것이니, 너희는 뭐라고 해명할 수 없을 것이다. 곧 할 말이 없을 것이란 말이다.
經의 [失于]에서 [能迪]까지
○正義曰:盤庚은 백성들이 옮기기를 원치 않기 때문에 神明한 임금이 장차 너희에게 죄를 줄 것이라고 말하여 그들을 두렵게 해서 자기를 따르도록 하려고 하였다.
내가 반드시 옮기려고 하는 것은, 내가 지금 政敎를 그르치고 여기에 오래 머물면 백성들에게 장차 해가 있을 것이니,
高德의 임금이신 成湯이 반드시 내가 옮기지 않은 것에 분노하여 나에게 罪疾을 매우 무겁게 내리며 말씀하기를 “어찌하여 우리 백성들을 殘虐하게 하고 옮기지 않았느냐.”라고 하실 것이다.
나는 이미 옮기려고 하는데 너희가 만백성과 더불어 진취적으로 나아가 나 한 사람과 마음을 같이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면
나의 先君이신 成湯께서 너희에게 罪疾을 크게 주면서 말씀하기를 “무엇 때문에 나의 어린 손자인 盤庚과 더불어 서로 친하게 지내고 마음을 같이해서 옮기지 않느냐.”라고 하실 것이다.
너희가 나와 더불어 마음을 같이하지 않기 때문에 湯임금이 明德을 가지고 위에서 너희의 실정을 보고서 너희에게 罪罰을 내리실 것이니, 너희에게 실제로 죄가 있으므로 뭐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곧 해명할 말이 없을 것이란 말이다.
○傳의 [崇重]에서 [徙乎]까지
○正義曰:[崇 重] ≪爾雅≫ 〈釋詁〉의 글이다. 또 “塵은 久의 뜻이다.”라고 하였는데, 孫炎은 “陳은 거주를 오래하는 것이니, 오래하면 먼지가 생기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옛날에는 陳과 〮塵이 같았기 때문에 陳이 久의 뜻이 된 것이다.
○傳의 [不進]에서 [心徙]까지
○正義曰:만물의 生長은 반드시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生生’을 ‘進進’의 뜻으로 본 것이다. 王肅도 그렇게 보았다.
‘進進’은 바로 마음을 같이해서 즐기기를 원하는 뜻이다. 이는 실로 신하들을 꾸짖는 것인데, ‘너희 만백성’이라 말한 것은 民心도 역시 그런 상태이기 때문에 따라서 널리 언급한 것이다.
○傳의 [湯有]에서 [無辭]까지
○正義曰:爽은 明의 뜻으로 풀이하니, 아래를 굽어봄을 말하기 때문에 ‘明德’이라 칭한 것이다. ≪詩經≫ 〈大雅 下武〉에 “세 분 임금님이 하늘에 계신다.”라고 하였듯이 死者의 精神이 하늘에 있기 때문에 “아래로 너희를 굽어본다.”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生生 : 蔡傳에서는 ‘樂生興事’로 보아 “삶을 즐기며 열심히 일을 하면 생활이 윤택해질 것이니, 이것을 ‘生生’이라 이른다.[樂生興事 則其生也厚 是謂生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 孔傳에서는 ‘同心’, 蔡傳에서는 ‘同事’로 풀이하였다.
역주3 有爽德……汝罔能迪 : 蔡傳에서는 爽을 失의 뜻으로, 迪을 道의 뜻으로 보아 “너희들이 잘못된 일을 하면 위에서 너희들에게 벌을 내리실 것이니, 너희들은 스스로 면할 길이 없을 것이다.[汝有失德 自上其罰汝 汝無道以自免]”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后] : 저본에는 없으나, “毛本에 ‘神’자 아래에 ‘后’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