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淮沂其乂하고 蒙羽其藝
[傳]二水已治하고 二山已可種藝
[疏]‘徐州’
○傳‘二水’至‘種藝’
○正義曰:‘乂’訓治也, 故云‘二水已治’. 地理志云 “沂水出泰山蓋縣臨樂子山, 南至下邳入泗, 過郡五, 行六百里.”
淮出桐柏山, 發源遠矣. 於此州言之者, 淮水至此而大, 爲害尤甚, 喜得其治, 故於此記之.
地理志云 “蒙山在泰山蒙陰縣西南, 羽山在東海祝其縣南.” 詩云 “藝之荏菽.” 故藝爲種也.


淮水와 沂水가 이미 다스려지고, 蒙山과 羽山이 이미 식물을 심을 수 있게 되었다.
두 물이 이미 다스려지고, 두 산이 이미 식물을 심을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經의 [徐州]
○傳의 [二水]에서 [種藝]까지
○正義曰:乂를 治의 뜻으로 풀이하였기 때문에 “두 물이 이미 다스려졌다.”라고 한 것이다. ≪漢書≫ 〈地理志〉에 “沂水는 泰山郡 蓋縣 臨樂子山에서 나와서 남쪽으로 下邳에 이르러 泗水로 들어가는데, 5개 郡을 지나 600리를 흘러간다.”라고 하였다.
淮水는 桐柏山에서 나오므로 發源이 매우 멀다. 그런데 이 州에서 〈淮水를〉 말한 것은 淮水가 여기에 이르러 커져서 수해가 더욱 심하였기 때문에 다스려지게 됨을 기뻐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 〈회수를〉 기록한 것이다.
〈地理志〉에 “蒙山은 泰山郡 蒙陰縣 서남쪽에 있고, 羽山은 東海郡 祝其縣 남쪽에 있다.”라고 하였다. ≪詩經≫ 〈大雅 生民〉에 “콩을 심으니”라고 했기 때문에 藝를 種이라 한 것이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