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若顚木之有由蘖이라
[傳]言今往遷都하여 更求昌盛 如顚仆之木 有用生蘗哉인저
○蘗 本又作枿이니 馬云 顚木而肄生曰枿이라하니라
天其永我命于玆新邑하사
[傳]言天其長我命於此新邑이니 不可不徙
紹復先王之大業하사 厎綏四方이시니라
[傳]言我徙欲如此
[疏]‘盤庚’至‘四方’
○正義曰:盤庚欲遷於亳之殷地, 其民不欲適彼殷地別有邑居, 莫不憂愁, 相與怨上.
盤庚率領和諧其衆憂之人, 出正直之言以曉告曰 “我先王初居此者, 從舊都來, 於是宅於此地.
所以遷於此者, 爲重我民, 無欲盡殺故. 先王以久居墊隘, 不遷則死, 見下民不能相匡正以生, 故謀而來徙.
以徙爲善, 未敢專決, 又考卜於龜以徙. 旣獲吉兆, 乃曰 ‘其如我所行欲徙之吉.’
先王成湯以來, 凡有所服行, 敬順天命, 如此尙不常安, 可徙則徙, 不常其邑, 於今五邦矣.
今若不承於古, 徙以避害, 則是無知天將斷絶汝命矣. 天將絶命, 尙不能知, 況曰其能從先王之基業乎.
今我往遷都, 更求昌盛, 若顚仆之木, 有用生蘗哉. 人衰更求盛, 猶木死生蘗哉.
我今遷向新都, 上天其必長我殷之王命於此新邑, 繼復先王之大業, 致行其道, 以安四方之人.
我徙欲如此耳, 汝等何以不願徙乎.” 前云 “若不徙以避害, 則天將絶汝命.” 謂絶臣民之命, 明亦絶我殷王之命.
復云 “若遷往新都, 天其長我殷之王命.” 明亦長臣民之命, 也.
[疏]○傳‘亳之別名’
○正義曰:此序先‘亳’後‘殷’, ‘亳’是大名, ‘殷’是亳內之別名. 鄭玄云 “商家自徙此而號曰殷.” 鄭以此前未有殷名也.
中篇云 “殷降大虐.” 將遷於殷, 先正其號, 知於此號爲殷也. 雖兼號爲殷, 而商名不改, , 或稱殷, 又有兼稱殷商.
商頌云 ‘商邑翼翼’〮‧‘撻彼殷武’ 是單稱之也. 又大雅云 ‘殷商之旅’‧‘咨汝殷商’, 是兼稱之也.
亳是殷大名, 故殷社謂之亳社. 其亳, 鄭玄以爲偃師,
皇甫謐以爲梁國穀熟縣, 或云 濟陰亳縣. 說旣不同, 未知誰是.
[疏]○傳‘適之’至‘邑居’
○正義曰:釋詁云 “適‧之, 往也.” 俱訓爲往, 故‘適’得爲之, 不欲往彼殷, 別有新邑居也.
[疏]○傳‘籲和’至‘之言’
○正義曰:‘籲’卽裕也, 是寬裕, 故爲和也. 憂則不和, ‘慼’訓憂也, 故‘率和衆憂之人, 出正直之言.’
詩云 “其直如矢.” 言爲正直之言.
[疏]○傳‘我王’至‘於此’
○正義曰:孔以祖乙圮於相地, 遷都於耿, 今盤庚自遷於殷, 以‘我王’爲祖乙. 此, 謂耿也.
[疏]○傳‘劉殺’至‘殺故’
○正義曰:‘劉 殺’, 釋詁. 水泉鹹鹵, 不可行化, 王化不行, 殺民之道.
先王所以遷此者, 重我民, 無欲盡殺故也.
[疏]○傳‘言民’至‘所行’
○正義曰:不徙所以不能相匡以生者, 謂水泉沈溺, 人民困苦, 不能以義相匡正以生.
又考卜於龜以徙, 周禮太卜 “大遷龜.” 是遷必卜也.
[疏]○傳‘先王’至‘輒遷’
○正義曰:下云‘於今五邦’, 自湯以來數之, 則此言‘先王’, 總謂成湯至祖乙也.
‘先王有所服行’, 謂有典法, 言能敬順天命, 卽是‘有所服行’也.
盤庚言先王敬順天命, 如此尙不常安, 有可遷輒遷, 況我不能敬順天命, 不遷民必死矣, 故不可不遷也.
[疏]○傳‘湯遷’至‘國都’
○正義曰:孔以盤庚意在必遷, 故通數‘我往居亳’爲‘五邦’. 鄭‧皆云 “湯自商徙亳, 數商‧亳‧囂‧相‧耿爲五.”
計湯旣遷亳, 始建王業, 此言先王遷都, 不得遠數居亳之前充此數也.
[疏]○傳‘言今’至‘蘗哉’
○正義曰:釋詁云 “櫱, 餘也.” 李巡曰 “櫱, 槁木之餘也.” 郭璞云 “晉衛之間曰櫱.”
是言木死顚仆, 其根更生蘗哉. 此都毁壞, 若枯死之木, 若棄去毁壞之邑, 更得昌盛, 猶顚仆枯死之木用生蘗哉.


〈도읍을 옮겨 창성하기를 구하는 것은〉 마치 쓰러진 나무의 그루터기에서 움이 돋아나는 것과 같다.
지금 가서 도읍을 옮기어 다시 昌盛함을 구하는 것은 마치 쓰러진 나무에서 움이 나오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蘗은 어떤 本에는 또 ‘枿’로 되어 있으니, 馬融은 “쓰러진 나무에서 움이 나오는 것을 ‘枿’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우리가 새 도읍으로 옮겨간다면〉 하늘이 우리의 명을 이 새 도읍에서 길이 보전하게 하시어
하늘이 우리의 命을 이 새 도읍에서 길이 보전하게 하실 것이니, 도읍을 옮기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다.
先王의 大業을 계승하고 회복시켜, 온 세상 사람들을 편안케 해주실 것이다.”
우리가 도읍을 옮기는 것은 이와 같이 하려 해서라고 말한 것이다.
經의 [盤庚]에서 [四方]까지
○正義曰:盤庚이 亳의 殷 땅으로 도읍을 옮기려고 하자, 백성들이 저 殷 땅으로 가서 별도로 거주지를 가지려고 하지 않아 근심걱정을 하면서 서로 더불어 윗사람을 원망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그래서 盤庚은 그처럼 많이 걱정하는 사람들을 거느리고 화합할 목적으로 정직한 말을 꺼내서 효유하기를 “우리 先王께서 처음 여기에 거주하신 것은 옛 도읍으로부터 오셨기에 그래서 이 땅에 거주하시게 된 것이다.
여기로 옮기신 까닭은 우리 백성들을 소중히 여기시기 때문이지, 모두 죽이려고 하신 것은 아니었다. 先王께서는 ‘지대가 낮고 좁은 곳에서 오래 거주해왔기 때문에 옮기지 않으면 죽을 형편이어서, 백성들이 서로 바로잡아가며 살 수 없는 처지라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꾀를 내서 옮겨오시게 된 것이다.
옮기는 것을 좋게 여기셨기 때문이었지, 감히 전적으로 결정하신 것이 아니었고, 또한 옮길 일을 거북껍질에 점을 쳐서 이미 좋은 점괘를 얻었으니, 바로 ‘우리가 이주하려고 한 곳이 좋다.’는 점괘였다.
先王인 成湯 이래로 무릇 일이 있으면 하늘의 命을 공경히 순종하셨고, 이렇게 하고도 오히려 항상 편치 않으시어, 이사 가야 할 형편이 되면 이사 가셨기 때문에 일정한 도읍을 갖지 못하고 옮기신 곳이 지금까지 다섯 군데나 되었다.
지금 옛날을 계승하여 도읍을 옮겨 해를 피하지 않는다면 이는 하늘이 장차 너희 命을 끊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늘이 장차 명을 끊을지도 오히려 모르는 일이거늘, 하물며 先王의 功業을 잘 따를 수 있겠는가.
지금 우리가 도읍을 옮겨가서 다시 昌盛함을 구하는 것은 마치 쓰러진 나무에서 싹이 나오는 것과 같은 일이다. 사람이 쇠약한데 다시 왕성함을 구하는 것은 마치 나무가 죽었는데 싹이 나오는 것과 같은 예이다.
우리가 지금 새 도읍으로 옮겨간다면 하늘은 반드시 우리 殷나라 王의 命을 이 새 도읍에서 길이 보전시키어 先王들의 大業을 계승하고 회복하여, 그 도를 잘 행해서 온 세상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줄 것이다.
내가 도읍을 옮기는 목적은 이와 같이 하려고 해서일 뿐인데, 너희는 왜 옮기는 것을 원하지 않느냐?”라고 하였다. 앞에서 이르기를 “만일 옮겨가 해를 피하지 않는다면 하늘이 장차 너희 명을 끊을 것이다.”라고 한 것은 臣民의 명을 끊는다는 점을 이르는 동시에 또한 우리 殷나라 왕의 명을 끊는다는 점도 밝힌 것이며,
다시 이르기를 “만일 새 도읍으로 옮겨간다면 하늘이 우리 殷나라 王의 命을 길이 보전시킬 것이다.”라고 한 것은 또한 臣民의 命을 길이 보전시킬 것이란 점도 밝히고 있으니, 이것이 바로 互文이다.
○傳의 [亳之別名]
○正義曰:이 書序에서 亳을 먼저 말하고, 殷을 뒤에 말한 것은 亳이 바로 큰 이름이고, 殷이 바로 亳 안의 딴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鄭玄은 “商나라가 이곳으로 도읍을 옮기면서부터 국호를 ‘殷’이라 했다.”라고 하였으니, 鄭玄은 이 전에 ‘殷’이란 이름이 없었다고 여긴 것이다.
中篇에서 “殷나라에 하늘이 큰 재난을 내리거늘”이라고 한 것은 장차 殷 땅으로 도읍을 옮기려고 하면서 먼저 그 국호를 바로잡은 것이니, 여기에서 국호를 ‘殷’으로 하였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비록 겸해서 국호를 ‘殷’이라 했으나 ‘商’이란 이름을 고치지 않았으니, 더러는 ‘商’으로, 더러는 ‘殷’으로 칭하였고, 또는 ‘殷商’으로 兼稱한 경우도 있었다.
≪詩經≫ 〈商頌〉에서 말한 ‘商邑翼翼’〮과 ‘撻彼殷武’는 바로 單稱한 것이고, 또 ≪詩經≫ 〈大雅〉에서 말한 ‘殷商之旅’와 ‘咨汝殷商’은 바로 겸칭한 것이다.
亳은 바로 殷 땅의 큰 이름이기 때문에 殷社를 ‘亳社’라고 하였다. 亳에 대하여 鄭玄은 “偃師이다.”라고 하고,
皇甫謐은 “梁國 穀熟縣이다.”라고 하고, 혹자는 “濟陰 亳縣이다.”라고 하여 說들이 이미 같지 않으니, 누가 옳은지 알지 못하겠다.
○傳의 [適之]에서 [邑居]까지
○正義曰:≪爾雅≫ 〈釋詁〉에 “適과 之는 往이다.”라고 하여 〈適과 之를〉 모두 往의 뜻으로 풀이하였기 때문에 適이 之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저 殷 땅으로 가서 별도로 새 읍의 거주지를 가지려고 하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
○傳의 [籲和]에서 [之言]까지
○正義曰:籲는 곧 裕이니, 바로 寬裕의 뜻이기 때문에 “和의 뜻이다.”라고 한 것이다. 걱정하면 和諧하지 못하고, 慼은 憂(걱정)의 뜻으로 풀이하기 때문에 ‘여러 걱정하는 사람을 거느리고 화합하기 위하여 정직한 말을 해서 효유했다.’라고 한 것이다.
≪詩經≫에서 “그 곧기가 화살과 같다.”라고 했기 때문에 ‘矢言’을 ‘정직한 말’로 여긴 것이다.
○傳의 [我王]에서 [於此]까지
○正義曰:孔安國은 祖乙이 相 땅이 무너져서 耿 땅으로 도읍을 옮기었고 지금 盤庚이 耿 땅에서 殷 땅으로 도읍을 옮기었기 때문에 ‘我王’을 祖乙로 여긴 것이다. ‘此’는 耿 땅을 이른다.
○傳의 [劉殺]에서 [殺故]까지
○正義曰:[劉 殺] ≪爾雅≫ 〈釋詁〉의 글이다. 물이 스며들어서 교화를 제대로 행할 수 없으니 왕의 교화가 행해지지 못하는 것은 백성을 죽이는 길이다.
先王이 저기를 버리고 여기로 도읍을 옮긴 까닭은 우리 백성을 소중히 여기어 다 죽이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傳의 [言民]에서 [所行]까지
○正義曰:‘도읍을 옮기지 않고서는 도저히 서로 바로잡아가며 살 수 없다.’는 식으로 말한 것은 물이 스며들기 때문에 인민이 困苦에 시달려서 의리를 가지고 서로 바로잡아가며 살 수 없음을 이른 것이다.
또 “이주할 일을 거북껍질에 점을 쳐봐야 한다.”는 것은 ≪周禮≫ 〈太卜〉에 “도읍을 옮길 때에는 거북점을 쳤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도읍을 옮기려면 반드시 거북점을 쳐봐야 한다는 것이다.
○傳의 [先王]에서 [輒遷]까지
○正義曰:아래에서 말한 ‘지금까지 다섯 군데나 된다.’란 것은 湯임금 이후부터 센다면 여기서 말한 ‘先王’은 成湯에서 祖乙까지를 총칭한 것이다.
[先王有所服行] 服行할 일에 典法이 있음을 이르는 것으로 능히 하늘의 命을 경건히 순종함을 말하니, 곧 이것이 ‘服行할 바가 있다.’라는 것이다.
盤庚이 “先王께서는 하늘의 命을 경건히 순종하셨지만, 이와 같이 해도 오히려 항상 편치 않아서 도읍을 옮길 만한 데가 있으면 문득 옮기셨다. 하물며 우리는 능히 하늘의 命을 경건히 순종하지 못하는데, 도읍을 옮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반드시 죽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도읍을 옮기지 않을 수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傳의 [湯遷]에서 [國都]까지
○正義曰:孔安國은 盤庚의 뜻이 도읍을 꼭 옮기려는 데 있기 때문에 ‘우리는 가서 亳에 거주할 것이다.’라고 한 것까지 통틀어 세면 ‘다섯 군데’가 된다. 鄭玄과 王肅은 모두 “湯임금이 商에서 亳으로 옮겼으니, 세어보면 商‧亳‧囂‧相‧耿 다섯 군데가 된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따져보면, 湯임금은 이미 亳으로 옮기고서야 비로소 王業을 세웠고 여기서는 先王이 도읍을 옮긴 일을 말하였으니, 멀리 亳에 거주하기 이전까지 쳐서 이 숫자를 꼭 채울 수는 없다.
○傳의 [言今]에서 [蘗哉]까지
○正義曰:≪爾雅≫ 〈釋詁〉에 “櫱은 餘(움)의 뜻이다.”라고 하였고, 李巡은 “櫱은 마른 나무에서 나는 움이다.”라고 하였으며, 郭璞은 “晉나라와 衛나라의 사이에서는 〈움을〉 ‘櫱’이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이는 나무가 죽어 쓰러지고 그 뿌리에서 다시 움이 나는 것을 말한다. 이 도읍이 헐어진 것이 마치 말라죽은 나무 같으니, 만일 무너진 도읍을 버리고 다시 창성할 곳을 얻는다면 쓰러져 죽은 나무에서 움이 돋아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互文 : 두 글의 뜻이 서로 통하는 것을 말한다.
역주2 (名)[明] : 저본에는 ‘名’으로 되어 있으나, “살펴보건대 ‘明’으로 쓰고 아랫구에 붙이는 것이 또한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明’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或稱商] : 저본에는 ‘或稱商’이 없으나, “宋板에는 ‘或稱殷’ 위에 ‘或稱商’ 3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4 (也)[地]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살펴보건대 ‘也’는 마땅히 ‘地’가 되어야 한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地’로 바로잡았다.
역주5 (也)[地]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也’가 ‘地’로 되어 있으니,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地’로 바로잡았다.
역주6 [故以矢] : 저본에는 ‘故以矢’가 없으나, “宋板에는 ‘故以矢言爲正直之言’으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欲)[耿] : 저본에는 ‘欲’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欲’이 ‘耿’으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耿’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云)[文] : 저본에는 ‘云’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云’이 ‘文’으로 되어 있으니,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文’으로 바로잡았다.
역주9 (決欲)[去彼] : 저본에는 ‘決欲’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去彼’로 바로잡았다.
역주10 (考自)[則貞] : 저본에는 ‘考自’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考自’가 ‘則貞’으로 되어 있으니, 살펴보건대 고치는 것이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則貞’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1 [行] : 저본에는 ‘行’이 없으나, “毛本에는 ‘謂’ 아래에 ‘行’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2 (注)[王] : 저본에는 ‘注’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注’가 ‘王’으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王’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