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岷山 導江하사 東別爲沱하시며
[傳]江 東南流하고 東行이라
[疏]傳‘江東’至‘東行’
○正義曰:以上云‘浮于江‧沱‧潛‧漢’, 其次自南而北, 江在沱南, 知‘江東南流而沱東行’.
又東至于澧하시며
[傳]澧 水名이라
[疏]傳‘澧 水名’
○正義曰:鄭玄以此經自‘導弱水’已下, 言‘過’言‘會’者, 皆是水名, 言‘至于’者, 或山或澤, 皆非水名, 故以‘合黎’爲山名, ‘澧’爲陵名.
鄭玄云 “今長沙郡有澧陵縣.” 其以陵名爲縣乎. 孔以‘合黎’與‘澧’皆爲水名, 弱水餘波入于流沙, 則本源入合黎矣,
合黎得容弱水, 知是水名. 楚辭曰 “余佩兮澧浦.” 是澧亦爲水名.
過九江하여 至于東陵하시며
[傳]江分爲九道하니 在荊州 東陵 地名이라
[疏]傳‘江分’至‘地名’
○正義曰:九江之水, 禹前先有其處. 禹今導江, 過歷九江之處, 非是別有九江之水.
東迆北會하시며
[傳]迆 溢也 東溢分流라가 都共北會爲彭蠡
○迆 馬云 靡也
[疏]傳‘迆溢’至‘彭蠡’
○正義曰:‘迆’, 言靡迆. 邪出之言, 故爲溢也. 東溢分流, 又都共聚合, 北會彭蠡, 言散流而復合也.
鄭云 “東迆者爲南江.” 孔意或然. ‘至’之與‘會’, 史異文耳.
東爲中江하여 入于海하시다
[傳]有北하고 有中하니 可知
[疏]傳‘有北有中 南可知’
○正義曰:地理志云 “南江, 從會稽吳縣南, 東入海,
中江, 從丹陽湖縣西, 東至會稽陽羨縣, 東入海, 北江, 從會稽毗陵縣北, 入于海.”


岷山에서 江水를 유도하시어 동쪽으로 별도로 沱水가 되게 하시며,
江水는 동남쪽으로 흐르고, 沱水는 동쪽으로 흘러간다.
傳의 [江東]에서 [東行]까지
○正義曰:위에서 ‘江水‧沱水‧潛水‧漢水에 배를 띄워’라고 하였는데, 그 순서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고, 江水는 沱水의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江水는 동남으로 흐르고, 沱水는 동쪽으로 흘러감’을 안 것이다.
또 동쪽으로 澧水에 이르게 하시며,
澧는 물 이름이다.
傳의 [澧 水名]
○正義曰:鄭玄은 이 經文의 ‘導弱水’로부터 이하에서 ‘過’라고 말하고 ‘會’라고 말한 것(곧 지나는 대상과 모이는 대상)은 모두 물 이름이고, ‘至于’라고 말한 것(곧 이르는 대상)은 혹은 산, 혹은 못으로 모두 물 이름이 아니었기 때문에 合黎는 산 이름으로, 澧는 구릉 이름으로 여겼다.
그래서 鄭玄은 “지금 長沙郡에 澧陵縣이 있다.”라고 하였으니, 어찌 구릉 이름으로 고을을 이름할 수 있겠는가. 孔安國은 合黎와 澧를 모두 물 이름으로 여겼는데, 弱水의 남은 물결이 流沙로 들어갔으면 本源이 合黎로 들어갈 것이다.
合黎가 弱水를 수용하게 된 셈이니, 이래서 물 이름임을 안 것이다. ≪楚辭≫에 “나의 패옥을 澧浦에 풀어 놓았다.”라고 하였으니, 이 澧 또한 물 이름이다.
九江을 지나 東陵에 이르게 하시며,
江水가 나뉘어 아홉 길이 되니, 荊州에 있다. 東陵은 땅 이름이다.
傳의 [江分]에서 [地名]까지
○正義曰:九江의 물은 禹 이전에 이미 그 곳이 있었다. 禹가 지금 江水를 유도하여 九江의 곳을 지나가는 것이지, 따로 九江의 물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동쪽으로 넘쳐 북쪽으로 모여 彭蠡[匯]가 되게 하시며,
迆는 溢의 뜻이다. 동쪽으로 넘쳐 나뉘어져 흐르다가 모두 함께 북쪽으로 모여 彭蠡가 된다.
○迆는 馬融이 “靡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傳의 [迆溢]에서 [彭蠡]까지
○正義曰:‘迆’는 구불구불하게 흘러감을 말한다. 비스듬하게 나감을 말하였기 때문에 ‘溢’의 뜻이라 한 것이다. 동쪽으로 넘쳐 나뉘어져 흐르다가 또 모두 함께 모여서 합쳐져 북쪽으로 彭蠡에 모임은 흩어져 흐르다가 다시 합쳐짐을 말한 것이다.
鄭玄은 “동쪽으로 넘친 것은 南江이 되었다.”라고 하였으니, 孔安國의 생각도 혹 그랬을 것이다. ‘至’와 ‘會’는 史官이 문체를 다르게 한 것일 뿐이다.
동쪽으로 中江이 되어 바다로 들어가게 하셨다.
北이 있고 中이 있으니, 南이 있음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傳의 [有北有中 南可知]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南江은 會稽郡 吳縣 남쪽에서부터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가고,
中江은 丹陽郡 蕪湖縣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會稽郡 陽羨縣에 이르러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가고, 北江은 會稽郡 毗陵縣 북쪽에서부터 동쪽으로 바다에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濯)[遺] : 저본에는 ‘濯’으로 되어 있으나, ≪楚辭≫에 의거하여 ‘遺’로 바로잡았다. 遺는 離의 뜻이다.
역주2 (于)[爲] : 저본에는 ‘于’로 되어 있으나, 孔傳과 大全本 등에 의거하여 ‘爲’로 바로잡았다.
역주3 (無)[蕪] : 저본에는 ‘無’로 되어 있으나, 福建本‧汲古閣本‧武英殿本‧薈要本에 의거하여 ‘蕪’로 바로잡았다.
역주4 [東] : 저본에는 없으나, ≪漢書≫ 〈地理志〉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