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라 今予 將試以汝遷하여 니라
[傳]自今以往으로 進進於善하라 我乃以汝徙하여 長立汝家리라 卿大夫 稱家
[疏]‘嗚呼’至‘乃家’
○正義曰:盤庚以言事將畢, 欲戒使入之, 故‘嗚呼’而嘆之. 今我告汝, 皆不易之事. 言其難也.
事旣不易, 當長敬我言, 大憂行之, 無相絶遠棄廢之, 必須存心奉行.
汝群臣分輩相與計謀念, 和協以相從, 各設中正於汝心, 勿爲殘害之事.
汝群臣若有不善不道, 隕墜禮法, 不恭上命, 暫逢遇人, 卽爲姦宄而劫奪之, 我乃割絶滅之, 無有遺餘生長.
所以然者, 欲無使易其種類於此新邑故耳. 自今已往哉, 汝當進進於善.
今我將用以汝遷, 長立汝, 使汝在位, 傳諸子孫, 勿得違我言也.
[疏]○傳‘不易之事’
○正義曰:此易讀爲‘難易’之易, ‘不易’言其難也. 王肅云 “告汝以命之不易.” 爲難.
鄭玄云 “我所以告汝者不變易. 言必行之.” 謂盤庚自道己言必不改易, 與孔異.
[疏]○傳‘顚隕’至‘於內’
○正義曰:釋詁云 .” 顚是從上倒下之言, 故以顚爲隕. 越是遺落, 爲墜也.
左傳僖九年齊桓公云 “恐越於下.” 文十八年史克云 “弗敢失墜.” 隕‧越是遺落廢失之意, 故以隕墜不恭爲‘不奉上命’也.
‘暫遇人而劫奪之’, 謂逢人卽劫, 爲之無已. 成十七年 左傳曰 “亂在外爲奸, 在內爲” 是劫奪之事, 故以劫奪解其‘姦宄’也.
[疏]○傳‘劓割’至‘新邑’
○正義曰:五刑截鼻爲劓, 故劓爲割也.
‘育 長’, 釋詁文.
‘不吉之人 當割絶滅之 無遺長其類’, 謂早殺其人, 不使得子孫, 有此惡類也.
‘易種’者, 卽今俗語云 ‘相染易’也. 惡種在善人之中, 則善人亦變易爲惡, 故絶其類, 無使易種於此新邑也.
滅去惡種, 乃是常法, 而言‘於此新邑’, 言己若至新都, 當整齊使絜淸.
[疏]○傳‘自今’至‘稱家’
○正義曰:‘長立汝家’, 謂賜之以族, 使子孫不絶, 左傳所謂‘諸侯命氏’ 是也. 王朝大夫, 天子亦命之氏, 故云‘立汝家’也.


지금부터는 〈善에〉 매진하도록 하라. 지금 나는 너희들을 새 도읍으로 옮겨서 너희들의 집을 영구히 세워주려 한다.”
지금부터는 善에 매진하도록 하라. 나는 너희를 〈새 도읍으로〉 옮겨서 너희들의 집을 장구히 세워주리라는 것이다. 卿大夫를 ‘家’라 일컫는다.
經의 [嗚呼]에서 [乃家]까지
○正義曰:盤庚이 말하는 일이 장차 끝나가려고 하므로 백성들을 경계하여 〈새 도읍으로〉 들어가게 하려고 하였다. 그러므로 ‘嗚呼’라고 하여 탄식한 것이다. “지금 내가 너희들에게 고한 것은 모두 쉽지 않은 일이다.”라고 한 것은 그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일이 이미 쉽지 않으므로 마땅히 나의 말을 길이 공경하여 크게 걱정하면서 행하고, 서로 관계를 끊어 등한히 하여 폐기하지 말아야 하니, 반드시 마음을 간직하여 받들어 행해야 한다.
너희 신하들은 응당 무리를 나누어 서로 더불어 도모하여 생각하고 화협하여 서로 따라서 각각 中正을 너희 마음에 베풀어서 殘害한 일을 하지 말아야 한다.
너희 신하들이 만일 불선한 마음과 부도한 생각을 가져 禮法을 무너뜨리고 上命을 공손히 받들지 아니하여, 잠깐 사람을 만나도 곧 姦宄한 짓을 하고 겁탈을 한다면 나는 즉시 베어 없애어 그 종류를 남겨 기르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하는 목적은 그 종류를 새 도읍으로 옮겨가지 못하게 하려고 해서이다. 그러니 지금 이후로는 너희들은 마땅히 善에 매진하여야 한다.
지금 나는 너희들을 이주시켜 너희들의 집을 장구히 세워서 너희들로 하여금 官位에 있게 하고 〈그 관위를〉 자손들에게 전하게 하려고 하니, 나의 말을 어기지 말도록 하라.”고 하였다.
○傳의 [不易之事]
○正義曰:이 易는 ‘難易’의 易로 읽으니, ‘不易’는 그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王肅은 “너희들에게 命하기 쉽지 않은 것을 가지고 고한다.”라고 하였으니, 또한 ‘不易’를 難으로 여긴 것이다.
鄭玄은 “내가 너희들에게 고한 것은 變易하지 않으니, 한 말은 반드시 행한다.”라고 하여 盤庚이 스스로 자기가 한 말을 반드시 改易하지 않을 것이란 점을 일렀으니, 孔安國의 견해와 다르다.
○傳의 [顚隕]에서 [於內]까지
○正義曰:≪爾雅≫ 〈釋詁〉에 “隕은 落의 뜻이다.”라고 하고, “隕은 墜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顚’은 바로 위에서 아래로 거꾸러진다는 말이기 때문에 顚을 隕이라고 한 것이다. 越은 바로 遺落으로 墜의 뜻이 된다.
≪春秋左氏傳≫ 僖公 9년 조에 齊 桓公이 “아마도 당 아래로 굴러 떨어질 듯싶다.”라고 하였고, 文公 18년 조에 史克이 “감히 失墜하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隕과 越이 바로 遺落과 廢失의 뜻이기 때문에 실추하여 공손하지 않은 것을 ‘上命을 받들지 않은 것’으로 여긴 것이다.
[暫遇人而劫奪之] 사람을 만나면 곧 겁탈을 하되 그런 일을 계속함을 이른 것이다. 成公 17년 조의 ≪春秋左氏傳≫에 “나라 밖에서 일어나는 亂을 ‘奸’이라 하고, 나라 안에서 일어나는 亂을 ‘宄’라 한다.”라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겁탈하는 일이기 때문에 ‘劫奪’을 가지고 ‘姦宄’를 풀이한 것이다.
○傳의 [劓割]에서 [新邑]까지
○正義曰:五刑에 코 베는 것을 ‘劓’라고 했기 때문에 劓를 割의 뜻으로 여긴 것이다.
[育 長] ≪爾雅≫ 〈釋詁〉의 글이다.
[不吉之人 當割絶滅之 無遺長其類] 그 사람을 일찌감치 죽이어 자손을 얻어 그런 惡類가 있지 못하게 함을 이른다.
[易種] 곧 지금 俗語에서 “서로 물들어 바뀌다.”라는 것이다. 나쁜 종자가 善人 속에 있으면 善人도 變易하여 惡人이 되기 때문에 그 類를 잘라서 새 도읍에 종자를 옮겨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나쁜 종자를 없애는 것은 바로 常法인데, 굳이 ‘이 새 도읍에’라고 말한 것은 자기가 새 도읍에 이르거든 응당 정제하여 깨끗이 하겠다고 말한 것이다.
○傳의 [自今]에서 [稱家]까지
○正義曰:[長立汝家] 족속을 주어서 자손이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니, ≪春秋左氏傳≫에 이른바 “諸侯에게는 氏를 명명한다.”라는 것이 이것이다. 王朝의 大夫는 天子가 또한 氏를 명명할 수 있기 때문에 “너희들의 집을 세워준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往哉生生 : 蔡傳에서는 ‘새 도읍으로 가서 생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보았다.
역주2 永建乃家 : 蔡傳에서는 “너희들의 집을 영구히 세워주어 자손들의 무궁한 業으로 삼고자 한다.[永立乃家 爲子孫無窮之業]”로 풀이하였다.
역주3 (臣)[當] : 저본에는 ‘臣’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아래의 ‘臣’자가 ‘當’으로 되어 있으니,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當’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家] : 저본에는 ‘家’자가 없으나, “宋板에는 ‘長立汝’ 아래에 ‘家’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5 [亦以不易] : 저본에는 ‘亦以不易’가 없으나, “宋板에는 ‘爲’ 위에 ‘亦以不易’ 4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6 隕落[也] 隕墜[也] : 저본에는 ‘落’자와 ‘墜’자 아래에 모두 ‘也’자가 없으나, “宋本에는 ‘落’과 ‘墜’ 아래에 모두 ‘也’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각각 보충하였다.
역주7 (越也) : 저본에는 ‘越也’가 있으나, “浦鏜이 이르기를 ‘越也 2자는 衍文인 듯하다.’라고 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8 [隕] : 저본에는 ‘隕’자가 없으나, “毛本에는 ‘怨’ 아래에 ‘隕’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9 : ≪春秋左氏傳≫에는 ‘軌’로 되어 있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