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冀州
[傳]堯所都也 先施貢賦役하여 載於書
○州 九州 名義見爾雅音이라 載於書也 馬同하고 鄭韋昭云 載 事也
[疏]‘冀州’
○正義曰:九州之次, 以治爲先後. 以水性下流, 當從下而泄, 故治水皆從下爲始.
冀州, 帝都, 於九州近北, 故首從冀起, 而東南次兗, 而東南次靑, 而南次徐, 而南次揚, 從揚而西次荊,
從荊而北次豫, 從豫而西次梁, 從梁而北次雍, 雍地最高, 故在後也. 自兗已下, 皆準地之形勢, 從下向高, 從東向西.
靑‧徐‧揚三州竝爲東偏, 雍州高於豫州, 豫州高於靑‧徐, 雍‧豫之水從靑‧徐而入海也.
梁高於荊, 荊高於揚, 梁‧荊之水從揚而入海也. 兗州在冀州東南, 冀‧兗二州之水, 各自東北入海也.
冀州之水不經兗州, 以冀是帝都, 河爲大患, 故先從冀起, 而次治兗.
若使冀州之水東入兗州, 水無去處, 治之無益, 雖是帝都, 不得先也.
此經大體每州之始, 先言山川, 後言平地. 靑州‧梁州先山後川, 徐州‧雍州先川後山.
兗‧揚‧荊‧豫有川無山, 揚‧豫不言平地. 冀州田賦之下, 始言‘恒‧衛旣從’. 史以大略爲文, 不爲例也.
每州之下, 言水路相通, 通向帝都之道, 言禹每州事了, 入朝以白帝也.
[疏]○傳‘堯所’至‘書’
○正義曰:史傳皆云堯都平陽, 五子之歌曰 “惟彼陶唐, 有此冀方.” 是冀州堯所都也.
諸州冀爲其先, 治水先從冀起, 爲諸州之首, 記其役功之法.
‘旣載’者, 言先施貢賦役, 載於書也. 謂計人多少, 賦功配役, 載於書籍, 然後徵而用之, 以治水也.
冀州如此, 則餘州亦然, 故於此特記之也. 王肅云 “言已賦功屬役, 載於書籍.” 傳意當然.
鄭云 “載之言事, 事謂作徒役也. 禹知所當治水, 又知用徒之數, 則書於策以告帝, 徵役而治之.” 惟解載字爲異, 其意亦同孔也.


冀州를 이미 서적에 기재하였다.
〈冀州는〉 堯가 도읍한 곳이다. 먼저 貢‧賦‧役을 베풀어서 서적에 기재하였다.
○州는 九州이니, 이름과 뜻이 ≪爾雅音≫에 보인다. 載는 서적에 기재하는 것이니, 馬融도 같은 뜻으로 보았고, 鄭玄과 韋昭는 “載는 事(일)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經의 [冀州]
○正義曰:九州의 차례는 〈홍수를〉 다스리는 순서로 先後를 정하였다. 물의 성질은 아래로 흐르니, 응당 아래로부터 터나가야 하기 때문에 홍수를 다스리는 것은 모두 아래로부터 시작하였다.
冀州는 帝都로서 九州에 있어서 북쪽에 가깝기 때문에 맨 먼저 冀州로부터 〈치수공사를〉 시작해서, 다음은 동남쪽으로 兗州, 그 다음은 동남쪽으로 靑州, 그 다음은 남쪽으로 徐州, 그 다음은 남쪽으로 揚州, 그 다음은 揚州로부터 서쪽으로 荊州,
그 다음은 荊州로부터 북쪽으로 豫州, 그 다음은 豫州로부터 서쪽으로 梁州, 그 다음은 梁州로부터 북쪽으로 雍州 순으로 하였는데, 雍州는 지대가 가장 높기 때문에 맨 뒤에 있게 된 것이다. 兗州로부터 이하는 모두 지대의 형세에 따라서 아래로부터 높은 데로 향해가고 동쪽으로부터 서쪽으로 향해갔다.
靑州‧徐州‧揚州 세 州는 모두 동쪽으로 치우쳤으며, 雍州는 豫州보다 높고 豫州는 靑州‧徐州보다 높아서, 雍州‧豫州의 물은 靑州‧徐州로 해서 바다로 들어간다.
梁州는 荊州보다 높고 荊州는 揚州보다 높으니, 梁州‧荊州의 물은 揚州로 해서 바다로 들어간다. 兗州는 冀州의 동남쪽에 자리 잡고 있으니, 冀州‧兗州 두 州의 물은 각각 동북쪽으로부터 바다로 들어간다.
冀州의 물이 兗州를 경유하지 않지만, 冀州가 바로 帝都이고 河水가 큰 禍患이 되었기 때문에 먼저 冀州로부터 〈공사를〉 시작해서 다음으로 兗州〈의 홍수〉를 다스린 것이다.
가사 冀州의 물이 동쪽으로 兗州에 들어갔다면 물이 갈 곳이 없으므로 치수해보았자 아무런 이익 될 것이 없으니, 아무리 帝都라 하더라도 먼저 〈공사를 시작〉할 필요가 없다.
이 經에서는 대체적으로 매 州의 始端에서 먼저 山川을 말하고 뒤에 平地를 말하였다. 靑州‧梁州에서는 산을 먼저, 하천을 뒤에 말하였고, 徐州‧雍州에서는 하천을 먼저, 산을 뒤에 말하였다.
兗州‧揚州‧荊州‧豫州에는 하천만 있고 산은 없으므로 揚州‧豫州에서는 평지를 말하지 않았다. 冀州의 경우 田賦의 아래에서 비로소 ‘恒水와 衛水가 이미 다스려져 옛날 물길을 따랐다.’라고 말한 것은 史官이 대략적으로 문장을 만든 것이지, 규례를 만든 것은 아니다.
매 州의 아래에 水路가 서로 통한 점을 말하였으니, 帝都로 향하는 길을 통하게 한 것이다. 禹가 매 州의 공사가 끝날 때마다 조정에 들어와서 帝舜에게 보고했음을 말한다.
○傳의 [堯所]에서 [於書]까지
○正義曰:역사서에서는 모두 堯는 平陽에 도읍하였다고 하였고, 〈五子之歌〉에서는 “저 陶唐으로부터 이 冀州 지방을 소유하였다.”라고 하였으니, 이 冀州가 바로 堯가 도읍한 곳이다.
모든 州에서 冀州가 첫 번째이다. 홍수를 다스림에 먼저 冀州로부터 시작함은 모든 州의 우두머리이기 때문이니, 그 役功을 기재하는 법이다.
[旣載] 먼저 貢‧賦‧役을 시행하여 서적에 기재함을 말한다. 인구의 多少 및 賦功과 配役(役을 맡김)을 계산해서 서적에 기재한 다음 徵用하여 홍수를 다스림을 이른 것이다.
冀州에서 이와 같이 하였다면, 나머지 州들도 그렇게 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특별히 기재한 것이다. 王肅은 “이미 賦功‧屬役(役을 맡김)한 일을 서적에 기재함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孔傳의 뜻이 당연히 옳다.
鄭玄은 “載는 일[事]을 말하니, 일은 徒役을 함을 이른다. 禹는 마땅히 홍수를 다스려야 할 바를 알았고, 또 徒役을 쓸 수 있는 수를 알았으니, 서책에 적어서 帝舜에게 보고하고 徒役을 징발하여 홍수를 다스린 것이다.”라고 하였다. 오직 ‘載’字를 풀이한 것만이 다를 뿐 그 뜻은 또한 孔傳과 같다.


역주
역주1 旣載 : 蔡傳에서는 載를 始의 뜻으로 보아 下文의 ‘壺口’에 붙여서 ‘壺口山에서부터 이미 다스리기 시작하여’라고 풀이하였다. 그러나 淸代 兪樾은 “‘旣載壺口 治梁及岐’는 下文의 ‘旣修太原 至于岳陽’과 글뜻이 동일하니, 예전에 ‘冀州旣載’를 1句로 읽은 것은 잘못이다. 蔡傳에서 ‘〈공사를〉 시작해서 다스리는 것을 載라 한다.[經始治之 謂之載]’고 하였는데, ‘旣’라 말하고 또 ‘始’라 말한 것은 너무도 말이 안 된다. ≪白虎通≫ 〈四時篇〉에 ‘載는 成의 뜻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旣載壺口’는 ‘禹가 壺口를 다스려 이미 이루고 나서 이에 梁山과 岐山을 다스렸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群經平議≫
역주2 (至)[於] : 저본에는 ‘至’로 되어 있으나, 孔安國의 傳에 의거하여 ‘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