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民有不若德하며 不聽罪할새 天旣하여 正厥德이어시니이다
[傳]不順德 言無義 不服罪 不改修 天已信命正其德 謂有永有不永이라
[疏]‘乃訓’至‘厥德’
○正義曰:祖己既私言其事, 乃以道訓諫於王曰 “惟天視此下民, 常用其義.” 言以義視下, 觀其爲義以否.
‘其下年與民 有長者 有不長者’, 言與爲義者長, 不義者短. 短命者, 非是天欲夭民, 民自不修義, 使中道絕其性命.
但人有爲行不順德義, 有過不服聽罪, 過而不改, 乃致天罰, 非天欲夭之也.
天既信行賞罰之命, 正其馭民之德, 欲使有義者長, 不義者短, 王安得不行義事, 求長命也.
[疏]○傳‘言天’至‘絕命’
○正義曰:經惟言‘有永有不永’, 安由義者. 以上句云 “惟天監下民, 典厥義.”
天既以義爲常, 知命之長短, 莫不由義, 故云 ‘天之下年與民, 有義者長, 無義者不長’也.
民有五常之性, 謂仁義禮智信也. 此獨以‘義’爲言者, 五常指體則別, 理亦相通.
‘義’者, 宜也, 得其事宜. 五常之名, 皆以適宜爲用, 故稱‘義’可以總之也.
民有貴賤貧富愚智好醜, 不同多矣, 獨以夭壽爲言者, 鄭玄云 “年命者, 蠢愚之人尤愒焉, 故引以諫王也.”
愒, 貪也. 洪範‘五福’以壽爲首, ‘六極’以短折爲先, 是年壽者, 最是人之所貪, 故祖己引此以諫王也.
[疏]○傳‘不順’至‘不永’
○正義曰:傳亦顧上經, 故‘不順德, 言無義’也. ‘聽’謂聽從, 故以‘不聽’爲‘不服罪’. 言既爲罪過, 而不肯改修也.
‘天已信命正其德’, 言天自信命, 賞有義, 罰無義, 此事必信也. 天自正其德, 福善禍淫, 其德必不差也.
謂民有永有不永, 天隨其善惡而報之, 勸王改過修德以求永也.
이니이다
[傳]祖己恐王未受其言이라 乃復曰 天道其如所言이라하니라


백성들 중에 德을 따르지 않고 죄를 인정치 않는 이가 있자, 하늘이 이미 賞罰의 命을 신실하게 행하여 그 德을 바로잡았다.
‘德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義가 없음을 말하고, ‘罪를 자복하지 않는다.’는 것은 改修하지 않음을 말하고, ‘하늘이 이미 賞罰의 命을 신실하게 행하여 그 德을 바로잡았다.’는 것은 길게도 하고 길지 않게 하기도 함을 이른 것이다.
經의 [乃訓]에서 [厥德]까지
○正義曰:祖己는 이미 그 일을 사사로이 말하고 나서 이에 道를 가지고 王에게 訓諫하기를 “하늘이 이 下民을 살펴보는 데는 항상 그 義를 사용한다.”라고 한 것은 義를 가지고 아래를 살펴보되 그들이 義를 하는지 안 하는지를 관찰함을 말한 것이다.
[其下年與民 有長者 有不長者] 義를 하는 자는 장수를 주고 義를 하지 않는 자는 단명을 줌을 말한 것이다. 단명한 것은 하늘이 백성을 일찍 죽게 하는 것이 아니고, 백성이 스스로 義를 닦지 않아 중도에 그 性命을 끊어지게 한다는 것이다.
다만 사람이 행동을 함에 있어 德義를 따르지 않고, 허물이 있으면 죄를 자복하지 않으며, 허물을 짓고도 고치지 않아 곧 천벌을 부른 것일 뿐이지, 하늘이 일찍 죽게 한 것은 아니다.
하늘이 이미 賞罰의 命을 신실하게 행하여 백성을 다스리는 德을 바로잡아 義가 있는 자는 장수를 누리게 하고 義가 없는 자는 단명하게 하는 것이지, 王이 어떻게 義로운 일을 행하지 않고서 장수를 구할 수 있겠는가.
○傳의 [言天]에서 [絕命]까지
○正義曰:經文에서는 오직 ‘길게도 하고 길지 않게도 한다.’라고만 말했을 뿐인데, 어떻게 義에 말미암은 것을 알았는가 하면, 上句에서 “하늘이 下民을 살펴보는 데는 義를 위주로 한다.”라고 했기 때문이다.
하늘이 이미 義를 가지고 떳떳함을 삼았은즉, 수명의 장단이 義에 말미암지 않음이 없음을 알았기 때문에 ‘하늘이 백성들에게 수명을 내림에 義가 있는 자는 장수를 누리고, 義가 없는 자는 장수를 누리지 못하게 하였다.’라고 한 것이다.
백성이 가진 五常의 性은 仁‧義‧禮‧智‧信을 이른다. 여기서 유독 ‘義’만을 가지고 말한 것은 五常은 體를 가리키면 구별되나 이치는 또한 서로 통하기 때문이다.
‘義’는 宜의 뜻으로 그 일의 마땅함을 얻는 것이다. 五常의 이름이 모두 적의함을 가지고 用을 삼았기 때문에 義를 일컬어 총괄할 수 있는 것이다.
백성에게는 貴賤‧貧富‧愚智‧好醜 등 동일하지 않은 것이 많이 있는데, 유독 夭折과 長壽를 가지고 말한 것은, 鄭玄이 “수명은 蠢愚한 사람이 더욱 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끌어다 王을 諫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愒는 貪의 뜻이다. 〈洪範〉의 ‘五福’에서는 壽를 첫머리로 삼았고, ‘六極’에서는 短折을 첫머리로 삼았으니, 이 年壽가 가장 사람들이 탐하는 것이기 때문에 祖己가 이를 끌어다 王을 諫하였던 것이다.
○傳의 [不順]에서 [不永]까지
○正義曰:傳에서는 또한 위의 經文을 고려했기 때문에 ‘德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義가 없음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聽’은 聽從을 이른 때문에 ‘不聽’을 ‘不服罪’로 여긴 것이니, 이미 罪過를 저지르고서 改修하려들지 않음을 말한다.
‘天已信命正其德’은 하늘이 〈賞罰의〉 命을 신실하게 행함으로써 義가 있는 사람에게 상을 주고 義가 없는 사람에게 벌을 줌을 말하니, 이 일은 반드시 믿을 수 있는 것이다. 하늘이 스스로 그 德을 바로잡아 善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음탕한 사람에게는 화를 주니, 그 德은 반드시 어긋나지 않을 것이다.
백성의 수명을 길게도 하고 길지 않게도 한다고 이름은 하늘이 그들의 선악에 따라 보답하는 것이니, 王에게 허물을 고치고 덕을 닦아 장수를 구하도록 권면한 것이다.
이에 다시 말씀드립니다. ‘天道는 제가 말씀드린 바와 같습니다.’
祖己는 王이 자신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을까 염려했기 때문에, 이에 다시 말하기를 “天道는 제가 말씀드린 바와 같습니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孚命 : 蔡傳에서는 “‘孚命’은 妖孽로 符信을 삼아 譴告하는 것이다.[孚命者 以妖孼 爲符信而譴告之]”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和)[知] : 저본에는 ‘和’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汲古閣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知’로 바로잡았다.
역주3 乃曰其如台 : 蔡傳에서는 “‘妖孼이 나를 어떻게 하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其可謂妖孼 其如我何耶]”로 풀이하였다.
역주4 (其)[我] : 저본에는 ‘其’로 되어 있으나, 汲古閣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我’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