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惟尹 躬先見于西邑夏하니 有終한대 相亦惟終이러니
[傳]周 忠信也 言身先見夏君臣用忠信有終이라 夏都在亳西
其後嗣王 罔克有終한대 相亦罔終하니
[傳]言桀君臣 滅先人之道德하여 不能終其業以取亡이라
嗣王 戒哉하사 祗爾 厥辟하소서 辟不辟이면 忝厥祖하리이다
[傳]以不終으로 爲戒愼之至 敬其君道 則能終이라 辱也 爲君不君이면 則辱其祖니라


제가 몸소 전에 서쪽에 도읍을 세웠던 夏나라를 살펴보니,〈夏나라의 先王이〉忠信으로 유종의 美를 거두니, 보필하는 宰相 역시 마무리를 잘 하였는데,
周는 忠信의 뜻이다. 〈伊尹이〉 몸소 먼저 夏나라의 君臣들이 忠信으로 유종의 미를 거둔 것을 보았다는 말이다. 夏나라의 도읍은 亳의 서쪽에 있었다.
그 뒤에 嗣王(桀)이 유종의 미를 거두지 못하자, 보필하는 宰相 역시 마무리를 잘 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런데 뒤에〉 桀의 君臣은 先人의 道德을 멸하여 능히 그 業을 마무리하지 못함으로써 멸망을 취하게 되었다고 말한 것이다
嗣王(太甲)께서는 경계하시어 당신의 임금이 된 도리를 경건히 지키소서. 임금이 임금답지 못하면 당신의 할아버지를 욕되게 할 것입니다.”
마무리를 잘 하지 못한 것을 가지고 지극한 戒愼을 삼으니, 임금의 도리를 경건히 지키면 마무리를 잘할 수 있을 것이다. 忝은 辱의 뜻이니, 임금이 임금답지 못하면 그 할아버지를 욕되게 할 것이다.


역주
역주1 : 蘇軾(書傳)은 由의 뜻으로, 蔡沈은 以의 뜻으로 풀이하였다.
역주2 : 孔安國과 蔡沈은 다 周를 忠信의 뜻으로 보았으며, ≪尙書注疏考證≫에 의하면 “宋代 魯齋 王柏은 ‘周는 응당 君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고, 金履祥은 ‘古文에 君字와 周字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오류가 생겼다. 呉氏의 ≪經說≫에도 「마땅히 君으로 적어야 한다.」고 했다.’”라고 하였으며, 조선시대 權近은 그의 ≪書淺見錄≫에서 “先儒가 周字를 君字의 오기로 보았으니, 매우 文義에 합한다. 이 篇은 今文에 없는 것이니, 孔安國이 古文을 정할 때에 周와 君은 古字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잘못 傳한 것인가?”라고 하고, 洪奭周는 그의 ≪尙書補傳≫에서 “忠信을 ‘周’라고 한 것은 춘추시대 사람의 말이다. 그러나 忠信을 周의 道로 삼는 것은 가하지만, 곧장 周를 가지고 忠信의 풀이로 삼는 것은 불가하다. 하물며 夏나라와 殷나라가 교차하는 시점에서 아래로 쇠망한 周나라 천여 년 이후의 말을 한다는 것은 이치상 반드시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다. 또 忠信을 周로 여긴 것은 〈周官〉에 ‘德을 행하면 마음이 안일하다.[作德心逸]’고 한 것과 같다. 만일 ‘自周’를 忠信으로 삼는다면 德을 행하는 것을 또한 스스로 안일하다고 이를 수 있겠는가? 나의 생각에 옛사람은 신중하고 주밀하여 자세히 갖춘 것을 일러 ‘周’라고 하였으니, 여기서 이른바 ‘自周’ 또한 아마 상세하고 신중한 뜻이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